전국향토문화유적 141 페이지 > clubrichtour
cht.clubrichtour
cht
景點
文化設施
慶典/表演/活動
休閒運動
住宿
購物
飲食
交通
메인
文化設施
慶典/表演/活動
休閒運動
住宿
購物
飲食
交通
0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지역
시/도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서울특별시
세종특별자치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시/군/구
키워드
통합검색
번호
제목
2570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용수마을방사탑 1호
방사탑은 마을의 어느 한 방위에 불길한 징조가 보인다거나 어느 한 지형의 기가 허한 곳에 쌓아두는 돌탑으로. 부정과 악의 출입을 막아 마을을 평안하게 하고자 하는 신앙의 대상물이다.
513
2022.06.13
2569
경기도 > 포천시
이범영 선생 공적비
독립지사 이범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550
2021.09.30
2568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골왓마을방사탑 5호
방사탑은 마을의 어느 한 방위에 불길한 징조가 보인다거나 어느 한 지형의 기가 허한 곳에 쌓아두는 돌탑으로. 부정과 악의 출입을 막아 마을을 평안하게 하고자 하는 신앙의 대상물이다.
591
2022.06.13
2567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골왓마을방사탑 4호
방사탑은 마을의 어느 한 방위에 불길한 징조가 보인다거나 어느 한 지형의 기가 허한 곳에 쌓아두는 돌탑으로. 부정과 악의 출입을 막아 마을을 평안하게 하고자 하는 신앙의 대상물이다.
530
2022.06.13
2566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골왓마을방사탑 3호
방사탑은 마을의 어느 한 방위에 불길한 징조가 보인다거나 어느 한 지형의 기가 허한 곳에 쌓아두는 돌탑으로. 부정과 악의 출입을 막아 마을을 평안하게 하고자 하는 신앙의 대상물이다.
485
2022.06.13
2565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골왓마을방사탑 2호
방사탑은 마을의 어느 한 방위에 불길한 징조가 보인다거나 어느 한 지형의 기가 허한 곳에 쌓아두는 돌탑으로. 부정과 악의 출입을 막아 마을을 평안하게 하고자 하는 신앙의 대상물이다.
490
2022.06.13
2564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골왓마을방사탑 1호
방사탑은 마을의 어느 한 방위에 불길한 징조가 보인다거나 어느 한 지형의 기가 허한 곳에 쌓아두는 돌탑으로. 부정과 악의 출입을 막아 마을을 평안하게 하고자 하는 신앙의 대상물이다.
489
2022.06.13
2563
경기도 > 포천시
조영원 선생 공적비
독립지사 조영원을 기리기 위해 세운비
496
2021.09.30
2562
경기도 > 포천시
만세교리 태봉
조선후기 용주의 태실
510
2021.09.30
2561
경기도 > 포천시
성석린 선생 묘
조선전기 문신 성석린의 묘
516
2021.09.30
2560
경기도 > 포천시
성여완 선생 묘
고려후기 및 조선전기 문신 성여완의 묘
530
2021.09.30
2559
울산광역시 > 남구
처용암
처용암은 처용랑과 개운포의 설화가 깃들어 있는 바위다. 신라 헌강왕(875-886)이 개운포에 놀이를 와서 쉬고 있을때 갑자기 운무가 가려 앞을 볼 수 없게 되자 왕이 즉시 영을 내려 이 근처에 절을 세우도록 하였다(현, 울주군 청량면 망해사). 그러자 운무는 씻은 듯이 걷히고 해가 떠 동해용왕이 크게 기뻐하여 바다에서 일곱왕자를 거느리고 나타나 춤을 추었는데 이 왕자들 중 처용이 바위에서 나왔다 하여 처용암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513
2021.09.28
2558
울산광역시 > 남구
성암동패총
이 성암동 패총은 신석기인들의 생활 폐기물인 조개 껍데기와 짐승뼈, 물고기뼈, 석기나 토기의 파편 등이 남아 있는 조개무지 유적으로 이 지역에 살았던 신석기인들의 생활 모습과 당시의 자연 환경 등을 짐작할 수 있는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수습된 유물로는 덧무늬토기, 빗살무늬토기, 돌도끼, 그물추, 돌고래뼈, 피뿔고동, 참굴, 떡조개 등이 있다.
543
2021.09.28
2557
울산광역시 > 남구
이휴정
이 정각은 본래 울산도호부의 객사였던 학성관의 남문루로서 현재의 울산고등학교 교문 근처에 있었다. 1940년에 학성 이씨 월진문회에서 이를 사들여 현재 위치에 옮겨 지으면서 이휴정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537
2021.09.28
2556
울산광역시 > 동구
방파제축조기념비
일제강점기에 방어진 항구의 방파제를 축조
500
2021.09.28
초기화
날짜순
조회순
정렬
검색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Search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또는
그리고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Category
추천여행코스
전국캠핑장정보
전국명소갤러리
전국둘레길
한국민속신앙사전
전국지역특화거리
전국시티투어정보
전국문화축제
전국도시공원정보
전국농어촌체험휴양마을
전국박물관미술관정보
전국향토문화유적
전국공연행사정보
전국휴양림
전국길관광정보
전국가로수길정보
전국전통시장
전국관광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