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학

한국무속신앙사전
백학
황해도굿에서 굿청에 장식되는 종이로 만든 학.
definition
황해도굿에서 굿청에 장식되는 종이로 만든 학.
mp3Cnt
0
wkorname
김창호
정의황해도굿에서 굿청에 장식되는 종이로 만든 학.
내용백학(白鶴)은 황해도굿의 굿청 중앙에 세워진 깃대에서 오방으로 늘어진 오색 만장발과 더불어 장식되는 종이로 만든 학을 말한다. 학은 일반적으로 십장생(十長生)의 하나로서 장수를 의미하기도 하고 고고한 선비의 기품을 표현하는 상징물로 여겨지기도 한다. 무(巫)의 경우에 신선(神仙)이 하강할 때 타고 내려오는 상서로운 [동물](/topic/동물)로 여기는데 이는 도교(道敎)의 영향을 수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황해도굿의 굿청에는 총 네 마리의 학을 동서남북 방향으로 장식하며 굿이 시작할 때 달아 끝날 때 까지 두고 마지막 날 내려 모두 불에 태운다. 몸체는 대나무를 저며 만든 살대를 엮어 만든 후 [한지](/topic/한지)를 붙이고 그 위에 깃과 날개, 머리와 다리 등을 붙여 채색한다. 제작된 백학의 모습은 매우 사실적인데 신비로운 느낌이 들 정도이다. 보통 크기는 약 1m 내외로 제작되며 청학과 백학 두 [가지](/topic/가지)로 제작해 장식된다.
참고문헌큰무당 우옥주 유품 (국립민속박물관, 1995)
황해도굿에 쓰이는 종이 신화와 신구의 종류, 형식, 상징성 고찰 (양종승, 한국무속학 13, 한국무속학회, 2006)
백학
64930
백학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