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9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수산본향당
    651 2023.02.27
    서귀포시 성산읍 수산리(水山里)의 본향당. 울뤠루 하로산당이라고도 한다. 2005년 4월 6일에 ‘제주도 민속자료 제9-4호’로 지정되었으며,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수산리 451[번지](/topic/번지)에 있다.
  • 시루
    570 2023.02.27
    증기를 이용하여 [곡물](/topic/곡물)을 찌는 조리 용구이자 의례 용구. 쌀이나 잡곡 등을 가루 내어 떡을 찌는 조리 용구이며, 증기가 곡물에 닿기 쉽도록 바닥에 구멍이 숭숭 뚫려 있다. 신에게 치성을 드릴 때는 떡을 쪄서 시루째 올리기도 한다. 이는 시루가 조리 용구이자 의례 용구였음을 보여준다.
  • 신병
    674 2023.02.27
    한국의 강신무가 무당이 되기 위해 필수적으로 거치는 강신체험 현상의 하나. 무병이라고도 하지만, 무당이 앓는 모든 병을 의미할 수 있어서 신병이라고 칭한다. 신병은 강신무가 영력을 지닐 수 있는 계기가 되는 동시에 원천이기도 하다.
  • 싹불이가면
    676 2023.02.27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의 [굿놀이](/topic/굿놀이)인 ‘[탈굿](/topic/탈굿)’을 연행할 때 남무(男巫) 가운데 한 사람이 ‘싹불이’라는 극 중 인물로 가장하기 위하여 얼굴에 쓰는 탈.
  • 안칠성
    680 2023.02.27
    제주도지역에서 고팡(광)에 좌정하여 [곡물](/topic/곡물)을 지켜 부자가 되게 해주는 신.
  •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 임천리에서 지내는 [마을](/topic/마을)제사. 임천리는 관내 3개 반이 있다. 반별로 제향하지 않고 리 단위로 모여 제향한다. 주민은 90여 가구가 살고 있다. 임천리는1945년 이후 북한 치하에 있었으며 당시에 인근 마을에서는 미신 타파를 이유로 마을마다 마을 제의가 사라졌으나 임천리는 밤에 몰래 제향하면서 그 전통을 유지해 왔다. 임천리에는 산신제와 서낭제 두 개의 마을 제의가 있다.
  • 연기군 남면 양화리에서 전승되는 원수산 산신제의 홀기(笏記)와 [축문](/topic/축문) 등 제반 의례절차를 기록한 동계문서.
  • 영돈
    689 2023.02.27
    씻김굿에서 망자의 모습을 상징하는 무구. 씻김굿의 중반부 중 씻김 절차에서 사용된다. 지역에 따라 ‘영돗’, ‘영대’ 등으로도 불린다.
  • 영험담
    586 2023.02.27
    동신(洞神)신화, [[마을](/topic/마을)신화](/topic/마을신화) 등으로 명명되는 당신화(堂神話)의 한 [유형](/topic/유형). 마을의 당신(堂神) 주변에서 지속적으로 형성․전승되어 현존하는 신격의 정당성을 말하는 현재적인 신화이다.
  • 충청북도 옥천군 동이면 청마리에 있는 탑신당, 솟대, 천하대[장군](/topic/장군), 지하대장군 등을 아우르는 용어. 1976년 12월 21일에 ‘충청북도 민속자료 제1호’로 지정되었다.
  • 왕신단지
    647 2023.02.27
    미혼 처녀의 [혼백](/topic/혼백)을 [봉안](/topic/봉안)한 신인 왕신의 신체.
  • 우물제
    542 2023.02.27
    [우물](/topic/우물)에 있는 용신(龍神)을 대상으로 행해지는 제의. [샘제](/topic/샘제) 또는 용제라고도 불린다.
  • 월악산신제
    577 2023.02.27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월악산신당에서 매년 음력 정월과 시월에 지내는 산신제.
  • 이어인년
    670 2023.02.27
    중요무형문화재 제9호 은산별신제 보[유자](/topic/유자)(무녀).
  • 전라북도 임실군 관촌면 구암리에서 전승되는 [마을](/topic/마을)제의. 화재를 방지하고 마을의 풍요를 기원하는 마을신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