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한국무속신앙사전
[마을](/topic/마을)제의를 주관하는 사람들 가운데 제의의 주장(主將)이 되는 사람.
definition
[마을](/topic/마을)제의를 주관하는 사람들 가운데 제의의 주장(主將)이 되는 사람.
mp3Cnt
0
wkorname
백민영
정의[마을](/topic/마을)제의를 주관하는 사람들 가운데 제의의 주장(主將)이 되는 사람.
정의[마을](/topic/마을)제의를 주관하는 사람들 가운데 제의의 주장(主將)이 되는 사람.
내용각 지역과 [마을](/topic/마을)에 따라 당주, [화주](/topic/화주), 도신 등의 명칭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유교식 마을제의를 지내는 지역에서는 동제를 지내기 전에 [대동회](/topic/대동회)를 열어 [제관](/topic/제관)을 선정한다. 마을 사람들 가운데 [생기복덕](/topic/생기복덕)을 가려 궂은일을 당하지 않은 깨끗한 사람을 뽑는다. 간략하게 지내는 마을제의에서는 제주를 한 사람만 뽑아 [헌관](/topic/헌관)․축관 등을 겸하게 하지만 비교적 규모가 큰 제의에서는 제주․헌관․축관․집사 등을 뽑는다.

지역에 따라서는 [대잡이](/topic/대잡이)를 통해 제주를 선정하기도 한다. 부산 두호마을동제나 안동 가송리동제에서는 서낭대를 내려 제주를 뽑았다. 서낭대를 들고 가가호호 방문하여 서낭대가 멈추는 집에 들어간다. 집주인은 [자리](/topic/자리)를 펴고 상을 차려 서낭대를 맞이한다. 서낭대를 받은 사람은 그해 제주로 선정되어 제의를 주관하는 일을 맡는다.

선정된 제관은 제의를 지내기 며칠 전부터 금기에 들어간다. 특히 제주는 다른 제관들에 비해 가려야 할 사항이 많다. 제의의 주장이기 때문에 더욱더 부정을 가리고 몸가짐을 바르게 해야 한다.
참고문헌한국 민속학 개론 (최운식 외, 민속원, 1998)
[마을](/topic/마을)신앙으로 보는 우리 문화 이야기 (이필영, 웅진닷컴, 2000)
내용각 지역과 [마을](/topic/마을)에 따라 당주, [화주](/topic/화주), 도신 등의 명칭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유교식 마을제의를 지내는 지역에서는 동제를 지내기 전에 [대동회](/topic/대동회)를 열어 [제관](/topic/제관)을 선정한다. 마을 사람들 가운데 [생기복덕](/topic/생기복덕)을 가려 궂은일을 당하지 않은 깨끗한 사람을 뽑는다. 간략하게 지내는 마을제의에서는 제주를 한 사람만 뽑아 [헌관](/topic/헌관)․축관 등을 겸하게 하지만 비교적 규모가 큰 제의에서는 제주․헌관․축관․집사 등을 뽑는다.

지역에 따라서는 [대잡이](/topic/대잡이)를 통해 제주를 선정하기도 한다. 부산 두호마을동제나 안동 가송리동제에서는 서낭대를 내려 제주를 뽑았다. 서낭대를 들고 가가호호 방문하여 서낭대가 멈추는 집에 들어간다. 집주인은 [자리](/topic/자리)를 펴고 상을 차려 서낭대를 맞이한다. 서낭대를 받은 사람은 그해 제주로 선정되어 제의를 주관하는 일을 맡는다.

선정된 제관은 제의를 지내기 며칠 전부터 금기에 들어간다. 특히 제주는 다른 제관들에 비해 가려야 할 사항이 많다. 제의의 주장이기 때문에 더욱더 부정을 가리고 몸가짐을 바르게 해야 한다.
참고문헌한국 민속학 개론 (최운식 외, 민속원, 1998)
[마을](/topic/마을)신앙으로 보는 우리 문화 이야기 (이필영, 웅진닷컴, 2000)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남해안별신굿의 음악적 특징허지현1998
민속원한국의 무속장단임수정1999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경기도당굿 군웅거리 장단 연구변남섭2004
국립민속국악원시나위권 무속음악의 장단과 음조직 연구박정경2007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