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쇠방울

한국무속신앙사전
서울굿에서 쓰이는 방울이 7개 달린 무구로, 구비전승 과정에서 와전되어 ‘쥘쇠방울’이라고도 불린다.
definition
서울굿에서 쓰이는 방울이 7개 달린 무구로, 구비전승 과정에서 와전되어 ‘쥘쇠방울’이라고도 불린다.
mp3Cnt
0
wkorname
이명숙
정의서울굿에서 쓰이는 방울이 7개 달린 무구로, 구비전승 과정에서 와전되어 ‘쥘쇠방울’이라고도 불린다.
참조[칠성방울](/topic/칠성방울)
참고문헌한국의 무 (조흥윤, 정음사, 1983)
한국민속논고 (장주근, 계몽사, 1986)
무당 귀물 연구-「[삼국유사](/topic/삼국유사)」의 삼부인과 무당의 거울·칼·방울을 중심으로 (양종승, 생활문물연구 2, 국립민속박물관, 2001)
서울지역 무구의 신화·의례적 기능 연구 (이명숙, 한국무속학 8, 한국무속학회, 2004)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서울시·경기도·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Bangul es el término que hace referencia a un sonajero hecho de latón o cobre, utilizado como un medio chamánico para los rituales.

El origen de los sonajeros chamánicos se remonta a la Edad de Bronce en la península coreana, tal como se refl eja en las reliquias antiguas incluyendo el sonajero con ocho brazos, paljuryeong; el sonajero pegado al palo, yuangnyeong, el sonajero de doble punta, ssangduryeong; y el sonajero de doble punta en forma de anillo, hwansangssangduryeong, y se asume que todos estos sonajeros servían como medios para los rituales religiosos. Los citados sonajeros se denominan muryeong, que tienen una forma de campana de madera que se utiliza en los rituales budistas llamada moktak. Existen dos tipos de bangul: uno tiene una pequeña campanilla que le hace sonar, y otro está compuesto por varios cascabeles que tintinean para crear el sonido. Algunos chamanes inician su carrera después de haber recogido o adquirido un sonajero en su sueño. En un ritual la iniciación chamánica llamado naerimgut, el chamán mayor que sirve como padre espiritual pone a prueba al chamán iniciado para confi rmar su cualifi cación haciéndole encontrar un sonajero y un abanico ocultos. El bangul sirve también como un símbolo del estatus y el papel de la profesión chamánica.

Se dice que a los dioses les encanta el sonido metálico al mismo tiempo, lo temen, por lo tanto los sonajeros chamánicos lo utilizan como para llamar o alejar a los espíritus. Los bangul son necesarios para la mayoría de los rituales oficiados por un chamán mayor entre los chamanes poseídos al invitar a los dioses; estar en la canalización en trance; demostrar los poderes sobrenaturales de los dioses; y acompañar a los espíritus de los muertos en su viaje al submundo. En otras palabras los sonajeros son un instrumento fundamental para los chamanes poseídos. En el ámbito del chamanismo coreano, existen varios tipos diferentes de los sonajeros utilizados en los rituales o sesiones de la adivinación: gunungbangul, chilseongbangul, daesinbangul y sangsoebangul.

El gunungbangul es un sonajero largo que está pegado a un palo que se utiliza en el segmento del dios de la guerra llamado gununggeori como parte de los rituales realizados en la provincia de Hwanghae-do. El sonajero de las siete estrellas llamado chilseongbangul está compuesto por siete cascabeles, cada uno tiene un carácter chino grabado 壽 (longevidad) or 福 (fortuna). Sacudir de este sonajero tiene por objeto brindar por la longevidad y la buena fortuna a los humanos. Por otro lado, el daesinbangul comprende un montón de las doce campanillas, utilizado en gran medida en los rituales o sesiones de adivinación.
Bangul is a rattle made of brass or copper, used as a shamanic tool in rituals.

Shamanic rattles, also called muryeong, date back to the Bronze Age on the Korean peninsula, as shown by ancient relics including paljuryeong (eight-arm rattle), yuangnyeong (rattle attached to pole), and ssangduryeong (double-headed rattle), hwansangssangduryeong (ring-type double-headed rattle), all assumed to have served as tools for religious rituals. There are two types of bangul: one with a ball inside the rattle to make sounds, the other comprising many rattles that clink together to create sound.

As a shaman begins her career, she goes around soliciting metal from households, to be melted and made into a rattle. Some shamans are initiated into the calling after experiencing a dream of finding or acquiring a rattle. In a possession ritual (naerimgut), the senior shaman, or spirit mother, tests the possessed shaman of her qualification by ordering her to find the hidden shamanic rattle and fan. A shaman’s rattle also serves as a symbol of her status and role.

The gods are known to be drawn to and at the same time have a fear for metallic noise, and rattles are used to either call or chase away the spirits. Rattles are used in almost all rituals officiated by a senior possessed shaman (gangsinmu): when inviting the gods; when trance channeling; when demonstrating the supernatural powers of the gods; when guiding the dead to the underworld. The rattle, in other words, is a vital tool for possessed shamans.

There are several different types of rattles used in Korean shamanism. [[Gunung](/topic/MartialHeroDeity)](/topic/Gunung)bangul is a large rattle attached to a pole, used in gununggeori, the segment for worshipping Gunung (Martial Hero God) in Hwanghae Province rituals. [[Chilseong](/topic/SevenStars)](/topic/Chilseong)bangul, or the Seven Stars rattle, is comprised of seven rattles, each engraved with the Chinese character 壽 (longevity) or 福 (fortune), and the shaking of this rattle is aimed at bringing longevity and good fortune to man. Daesinbangul comprises a bundle of twelve rattles, widely used in rituals and in divination.
指巫师举行巫术时摇出响声,由黄铜或铜制作的巫祭用具。

根据对出土遗物的考证,韩国巫师铃铛的历史可追溯至青铜时代。青铜器遗物有八珠铃,有颚铃,双头铃及环状双头铃等。据推定,这些铃铛主要使用于宗教仪礼。巫师使用的铃铛一般称为巫师铃铛或巫铃。铃铛的形状如木鱼,铃体一侧略有开口。铃铛有两种,一种是利用铃铛内的铃舌出声;另一种则捆绑了若干个铃铛,使其相互碰撞出声。

巫师们成为巫师时,会到各个人家化缘,将所得黄铜熔化铸制铃铛。还有梦见拾到铃铛或获得铃铛而入门做巫师的情况。降神巫祭,师傅也会让弟子寻来铃铛或扇子,以测其是否具备成为巫师的资格。铃铛是举行巫术时的咒力巫祭用具,也是体现巫师身份的象征物。

由于神既喜爱又畏惧金属声,因此巫师会通过铃铛声招神或驱神。在降神巫权的老巫师请拜,传达神谕,显灵和引导亡者上黄泉路的几乎全部巫术中都会使用铃铛。因而在降神巫中,铃铛为必备巫祭用具。占卜或举行巫术时使用的铃铛可分为军雄铃铛,七星铃铛,大神铃铛,“上倠”铃铛。

军雄铃铛用于黄海道祭的军雄祭程中,尺寸较大,通常捆绑在军雄竿末端使用。七星铃铛的铃数与七星的“七”相配。七星铃铛的七个铃上刻有“寿”或“福”字,巫俗中巫师进行巫术时摇晃铃铛具有向人赐福的象征之意。大神铃铛捆绑十二个铃发声,被用在占卜和巫术中,是使用最广泛的铃铛。
내용『[삼국유사](/topic/삼국유사)(三國遺事)』 「고조선」편에는 환인의 서자 환웅이 인간 세상에 올 때 천부인(天符印) 세 개를 [가지](/topic/가지)고 내려왔다고 기록되어 있다. 문헌과 현장을 종합하여 학자들은 삼부인 중 하나가 방울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서울굿에서 쓰이는 칠쇠방울도 천부인 중 하나의 맥락 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

칠쇠방울은 재수굿에서는 불사거리, 산신도당거리, 조상거리, 계면거리에서 쓰이고, 불사거리와 사신도당거리 내의 부속거리인 호구와 말명을 놀 때도 쓰인다. 진오귀굿에서는 초영실거리, 뜬대왕, 말미, [도령돌기](/topic/도령돌기) 등에서 쓰인다. 즉, 방울은 각 거리의 서두에 신을 청배하는 과정에서 주로 쓰인다. 무당은 신을 청배하기 위해 방울을 높이 쳐들어 흔들며 신이 오시기를 청한다. 또 신이 강림해서 [재가집](/topic/재가집)에게 공수를 줄 때도 쓰인다. 이때는 무당이 방울을 가슴 높이에서 흔들며 재가집을 바라보고 공수를 준다.

신화를 부르는 말미거리와 도령돌기에서는 방울의 상징성이 잘 드러난다. 바리공주 신화에서는 저승여행 중에 ‘낭화’라고 표현된 것을 흔들어 지옥 철성을 깨뜨리고 갇혀 있는 중생들을 구한다. 도령거리에서도 바리공주가 방울을 흔들며 ‘방울도령’을 돈다. 이를 통해 저승 가는 길의 여러 장애물을 헤치고 망자를 저승으로 무사히 인도하게 된다.

즉 서울굿의 방울은 신을 청배하고, 청배된 신이 무당을 통해 말하고 행동하도록 주술적인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 진오귀굿에서는 망자를 저승으로 무사히 인도하는 도구가 되어 준다.

신화와 의례에서뿐 아니라 무당 개인에게도 방울은 중요한 무구이다. 방울은 무당이 갖추어야할 가장 중요한 도구로, 무당들은 입문 시에 여러 집을 돌아다니며 놋쇠를 걸립하여 이를 녹여 방울을 만든다. 그리고 방울을 실제로 줍거나, 얻는 꿈을 꾸고 무당에 입문하기도 한다. [내림굿](/topic/내림굿)을 받을 때는 스승 무당이 방울과 부채를 찾아오게 해서 무당이 될 자격이 있는지를 시험하기도 한다. 방울은 굿에서 쓰이는 주술적인 무구이기도 하지만, 무당이라는 신분을 나타내주는 상징물이기도 하다.
형태방울은 놋쇠로 만든 Y자형의 양쪽 [가지](/topic/가지)에 각각 3개와 4개의 방울이 달려있고, 아래로 14㎝ 정도의 손잡이가 달려 있다. 각각의 방울 속에는 작은 놋쇠 구슬이 들어 있어서 흔들 때마다 짤랑짤랑 소리를 낸다. 손잡이 아래에는 둥근 구멍이 뚫려 있어서 끈을 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끈을 ‘방울끈’이라고 하며 길이는 40~100㎝ 내외이다. 방울을 보관할 때는 방울끈으로 방울 전체를 감싸서 보관한다.

달린 방울이 모두 7개여서 ‘칠쇠방울’이라고 불리며, 혹은 ‘[칠성방울](/topic/칠성방울)’이라고도 한다. 3개의 방울은 남자를 상징하고, 4개의 방울은 여자를 상징한다고 한다. 요즘은 약간 변형되어 동서남북 사방을 상징하는 †형 네 가지에 각각 3개씩의 방울이 달린 것을 많이 사용한다.

무당들은 굿을 하는 도중에 방울이 떨어지면, 방울 주인인 무당에게 [재가집](/topic/재가집)으로부터 굿 의뢰가 들어온다는 뜻으로 “굿이 나겠다”며 좋은 징조로 받아들인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