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라

한국무속신앙사전
추라
폭 0.5㎜에 길이 약 1㎝ 정도 작게 잘려진 미세한 종이들이 모여 만들어진 꽃으로 작약, [담배](/topic/담배)꽃, 설중화라고 부르기도 한다. 색깔은 흰색이고 지화 상부에 꽃심이 있다. 지화 모양은 위가 잘려나간 원뿔형이고 꽃받침이 있다.
definition
폭 0.5㎜에 길이 약 1㎝ 정도 작게 잘려진 미세한 종이들이 모여 만들어진 꽃으로 작약, [담배](/topic/담배)꽃, 설중화라고 부르기도 한다. 색깔은 흰색이고 지화 상부에 꽃심이 있다. 지화 모양은 위가 잘려나간 원뿔형이고 꽃받침이 있다.
mp3Cnt
0
wkorname
심상교
정의폭 0.5㎜에 길이 약 1㎝ 정도 작게 잘려진 미세한 종이들이 모여 만들어진 꽃으로 작약, [담배](/topic/담배)꽃, 설중화라고 부르기도 한다. 색깔은 흰색이고 지화 상부에 꽃심이 있다. 지화 모양은 위가 잘려나간 원뿔형이고 꽃받침이 있다.
내용추라는 잘게 썬다는 뜻이다. 얇은 화지 20장을 겹친 다음 둥근 종이 바깥에서 안쪽을 향해 가위로 잘라 4~5등분한 다음 등분된 종이의 일부를 가위로 아주 잘게 썬 다음 이를 펴서 만든 꽃이다. 추라의 꽃심은 꽃의 암술이나 수술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풍성한 지화의 가운데 윗부분을 장식한다. 꽃심은 잘게 썰어져 꽃대에 가장 먼저 끼워진다. 따라서 꽃심은 지화의 가장 윗부분을 장식하게 된다. 꽃심은 안쪽 원과 바깥 원 등 두 개의 원으로 이뤄지는데 안쪽 원이 바깥부분보다 짙은 색으로 만들어진다. 꽃이 아름답고 조화롭게 하기 위해 꽃의 가운데 부분을 더 짙게 만드는 것이다. 추라가 흰색 화지로 만들어지면 꽃심은 남색이나 분홍색으로 장식된다.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의 지화는 굿상 전체를 뒤덮듯 장식된다. 10개에서 16개나 31개 정도의 지화를 한 묶음으로 하여 9개 또는 10개 묶음 약 146송이의 지화가 굿상 뒤편에 위치하는데 서로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병풍](/topic/병풍)’처럼 둘러쳐져 있는 형상이다. 지화는 모래가 담긴 큰 화분에 1미터 이상의 꽃대로 장식되어 넓게 퍼진 상태가 강조된다. 때문에 높이보다 좌우로 배열된 모습으로 인식된다.

동해안별신굿에서 지화를 차려놓는 것은 “산 사람도 자신을 위해 조[화로](/topic/화로)운 장식을 하는데 [조상신](/topic/조상신)이나 골매기신, [서낭신](/topic/서낭신)을 모셔와 굿을 하는데 그냥 할 수 없어 멋을 내고 분위기를 위해 꽃장식을 하는 것이고 그 상태에서 음식을 차리고 잔을 올려야 신에게 조금이라도 정성을 들이고 조금이라도 화려하게 보이게 된다.”라는 이유 때문이다. 그리고 “맨바닥에서 밥드시고 굿받으시는 것보다 꽃밭에서 굿을 받으라는 목적”에서 지화를 차려 놓는다고 한다. 지화를 놓고 굿을 하면 “골매기 서낭신이나 성주신 등이 꽃밭에 앉아 굿을 받게 되는 것”이라고 무당들은 말한다.

이상을 통해 볼 때 동해안별신굿 지화는 신이 굿판에 하강하거나 깃들기를 희망하는 신성공간 마련의 정신이 강하게 표현된 경우라 할 수 있다. 신이 내려와 지화에 정좌해서 인간세계와 소통하고 산사람의 굿과 정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지화인 셈이다.
참고문헌한국의 민속지화에 관한 연구 (강신영,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한국지화에 관한 연구 Ⅱ- [김석출](/topic/김석출)씨의 기법을 중심으로 (김태연, 산업기술연구, 대구대학교산업기술연구소, 1985)
한국전통지화에 관한 연구 (박기복,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한국무가집4 (김태곤 편, 집문당, 1992)
무화연구 (1) (김태연, 한국무속학 3, 한국무속학회, 2001)
서울굿 신화 연구 (양종승·최진아, 한국무속학 4, 한국무속학회, 2002)
지화 연구 (김명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 지화 연구 Ⅰ (심상교, 한국무속학 6, 한국무속학회, 2003)
형태추라는 먼지털이의 수술처럼 아래는 묶이고 위쪽이 퍼져나간 작은 꽃 40~50개가 꽃 전체를 형성한다. ‘수염’처럼 ‘확 퍼져’ 나간 모양을 하고 있는 꽃이라 하여 추라꽃이라 고 말하기도 한다.
추라
64679
추라
추라
64678
추라
추라
64644
추라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