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77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액막이
    646 2023.02.27
    액운이 들 것으로 예상되면 정초에 액을 막기 위해 하는 주술적 의례.
  • 756 2023.02.27
    집안의 재물을 관장하는 신격.
  • 염전고사
    705 2023.02.27
    염전의 주인들이 소금이 많이 생산되고 소금 일을 무사히 하게 해 달라고 기원하는 제의. 염전고사는 지역에 따라 [벗고사](/topic/벗고사), 벌막고사, 소금고사라고도 부른다.
  • 영산대감춤
    682 2023.02.27
    황해도굿의 영산할아뱜ㆍ할먐거리에서 탈을 머리에 얹고 [탈춤](/topic/탈춤) 형식으로 추는 춤.
  • 오방신장
    638 2023.02.27
    다섯 방위(方位)를 관장하여 지키는 수호신. 오방신(五方神), 오방[장군](/topic/장군)(五方將軍)이라고도 한다.
  • 옹기가마고사
    673 2023.02.27
    옹기를 만드는 장인들이 옹기 가마에 불을 지피기 전에 가마소성 작업이 잘 이루어지기를 기원하면서 드리는 [고사](/topic/고사). 장인에 따라 방법이나 상차림, 장소가 일부 다르기는 하지만 대부분 옹기 가마 앞에서 고사상을 차려 놓고 절을 하면서 옹기가 잘 구워지기를 기원한다.
  • 용수동당산
    749 2023.02.27
    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에서 동제를 지내는 제당. 1995년 5월 12일에 ‘대구광역시 민속자료 제4호’로 지정되었다.
  • 보부상이나 이후 선질꾼들의 신앙 처소로서의 기능과 함께 세상을 뜬 보부상과 선질꾼들을 위한 재사(齋舍) 기능을 함께 하던 제당.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소광리에 있다.
  • 유두고사
    631 2023.02.27
    음력 6월 보름 유두날에 지내는 [고사](/topic/고사), 유두제, [유두천신](/topic/유두천신)(流頭薦新)이라고도 한다. 가정에서 지내기도 하고 논밭에 나가서 지내기도 한다. 벼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면서 한여름에 [수확](/topic/수확)되는 밭곡식과 과실 등의 수확을 기리는 [천신](/topic/천신)제의 성격이 강하다.
  • 인업
    687 2023.02.27
    인업은 가족 가운데 복이 있는 사람에게 붙어 다니면서 그 사람에게 복을 준다는 업신. 인업은 모양이 그 사람과 같다고 한다. [동물](/topic/동물)업과 마찬[가지](/topic/가지)로 재복신(財福神)으로서 집안의 재복과 가택을 수호하는 신이다.
  • 자삼
    662 2023.02.27
    동해안 지역 [무악](/topic/무악)의 무가 이름이자 이를 반주하는 [장단](/topic/장단) 명칭. 무가를 가리킬 때는 흔히 ‘자삼염불’이라고도 한다.
  • 장삼
    688 2023.02.27
    서울굿에서 착용하는 장삼은 불교의 법의인 장삼을 본 따 만들어 [무복](/topic/무복)으로 착용한 것으로 어깨와 허리에 승려의 법의인 [가사](/topic/가사)를 의미하는 붉은색 띠를 함께 두른다.
  • 전안상
    615 2023.02.27
    전안은 전내(殿內)를 가리키는 말로 신당 안에서 가장 중심에 있는 신령을 가리키며, 전안상은 이 신령을 위해 차린 상차림.
  • 제석
    661 2023.02.27
    자손의 점지나 출산을 도와주고 자손의 명(命)과 복(福)을 관장한다고 믿어지던 가정신앙의 신격 중 하나.
  • 제주 큰굿
    726 2023.02.27
    제주도 무속의례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굿. 제주 큰굿은 경륜이 있는 큰 심방을 수심방[首巫]으로 하여 굿법을 지키며 연행되는 ‘차례차례 재차례 굿’이다. 이 굿은 2001년 8월 16일 제주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2월 22일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