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두

한국무속신앙사전
작두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짚이나 [가축](/topic/가축) [사료](/topic/사료)를 썰거나, 한의원이나 한약방에서 한약재를 써는 데 사용하는 볼이 넓적한 큰 칼 모양의 연장. 무당에게 [장군](/topic/장군)신이 내렸을 경우에 신령의 영험력을 보여주기 위하여 올라타는 무구(巫具)로 사용되기도 한다.
definition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짚이나 [가축](/topic/가축) [사료](/topic/사료)를 썰거나, 한의원이나 한약방에서 한약재를 써는 데 사용하는 볼이 넓적한 큰 칼 모양의 연장. 무당에게 [장군](/topic/장군)신이 내렸을 경우에 신령의 영험력을 보여주기 위하여 올라타는 무구(巫具)로 사용되기도 한다.
mp3Cnt
0
wkorname
박일영
정의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짚이나 [가축](/topic/가축) [사료](/topic/사료)를 썰거나, 한의원이나 한약방에서 한약재를 써는 데 사용하는 볼이 넓적한 큰 칼 모양의 연장. 무당에게 [장군](/topic/장군)신이 내렸을 경우에 신령의 영험력을 보여주기 위하여 올라타는 무구(巫具)로 사용되기도 한다.
巫师上刀显神灵灵力的[巫祭](/topic/巫祭)用具。

“铡刀”是刀身宽大的刀状大器具,通常在农家用来切割秸秆或在韩医院及韩药店用来切韩药材。巫师举行巫祭时使用的铡刀与农户使用的铡刀外形相同但用法不同,巫师赤脚踩刀尖,将其用作彰显神灵灵力的工具。

巫师踏铡刀前,假装用铡刀扎或切手臂,腿或舌头,以证明刀刃锋利,欲最大限度地展现出灵力。据踏刀的巫师们所述,铡刀刀刃越锋利,踏时脚掌越舒服。

磨铡刀时嘴上要叼着称作“哈米”(音)的韩纸,以防遭到[不净](/topic/不净)。为了炫耀与众不同的功力,偶尔也会踏“单铡刀”或多个铡刀叠加而成的梯子状“[七星](/topic/七星)铡刀”。根据不同场合,还将铡刀架在秋千上,踏铡刀[荡秋千](/topic/荡秋千)。

一般认为,巫师踏铡刀与神灵进行沟通,获取神灵灵验的威力。因此,信徒们相信在铡刀上下达的[神语](/topic/神语)比其他任何神语都可靠且具有威严。除此之外,铡刀还具有通过扼制厄运,驱除邪气来辟邪[除厄](/topic/除厄)的象征性意义。
Jakdu, meaning straw cutter, refers to the shamanic device on which a shaman performs the blade dance to demonstrate her spiritual powers.

In secular terms, jakdu, is a sword-like tool with a wide blade, used for cutting straw or other cattle feed, or for chopping ingredients for herbal medicine. The cutters used in shamanic rituals are identical to those used in farms, but take on new meaning as a spiritual device when the shaman performs on them with bare feet.

Prior to stepping on the blades, the shaman feigns gestures of poking or slashing her limbs or tongue with the cutter to show off the sharp blade and her powers. Blade dancers testify that the sharper the blades, the less pain they feel when they perform.

When shamans sharpen the cutter blades, they keep a sheet of mulberry paper between their teeth, called hami, to keep out impurities that can be incurred by speaking. In an attempt to demonstrate their supernatural powers, some shamans perform on single blades instead of a pair; on seven tiers of blades constructed like a ladder, called chilseongjakdu (Seven- Stars blades); or on blades installed on a swing, which they ride on as they would a swing.

Performing the blade dance is believed to facilitate deep communication between the gods and the shaman and the transmission of supernatural powers from the gods. This is why trance channeling that takes place in the middle of a blade dance is considered more credible and authoritative than channeling that occurs in any other situation.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blade dance lies in preventing or repressing unclean energy by cutting off bad fortune and harmful forces.
Jakdu es el término que hace referencia a una cuchilla cortadora de paja que sirve como un dispositivo chamánico sobre la cual un chamán efectúa la danza de los cuchillos para demostrar su poder espiritual.

En términos seculares, la jakdu es una herramienta de filo ancho utilizada para cortar paja u otro tipos de lienso para el ganado o trocear ingredientes de la medicina herbolaria. La cortadora usada en los rituales chamánicos es idéntica a las utilizadas en granjas, pero adquiere un nuevo significado cuando el chamán lleva a cabo una actuación sobre ellas con los pies descalzos.

Antes de pisar sobre las hojas afiladas de jakdu, el chamán mueve su cuerpo como si se pinchara o se cortara a sí mismo el brazo, pierna o lengua con la cuchilla para mostrar tanto su cuchilla afilada como su poder espiritual. Los bailarines de los cuchillos testifican que cuanto más afiladas sean las cuchillas, menos dolor sentirán ellos al efectuar su espectáculo.

Cuando los chamanes afilan las hojas de cortadoras, ellos mantienen un papel de morera entre sus dientes llamado hami para eliminar las impurezas que pueden generarse a través de las palabras que no necesitan ser pronunciadas. En un intento de demostrar sus poderes sobrenaturales, algunos chamanes efectúan su danza sobre la cuchilla única en vez de un par; sobre las siete filas de cuchillas construidas como una escalera llamadas chilseongjakdu que significa “cuchillas de las siete estrellas”; o sobre los filos instalados en un columpio como si los chamanes montaran el columpio.

Se cree que la actuación de danza facilita una comunicación profunda entre los dioses y el chamán y la transmisión de poderes sobrenaturales que poseen los dioses. Es por ello que la canalización en trance que tiene lugar en medio de la danza de los cuchillos se considera más increíble y autoritaria que la canalización que ocurre en muchas otras situaciones. El significado simbólico de la danza de jakdu radica en la prevención o eliminación de “energías contaminantes” alejando la mala fortuna y fuerzas dañinas.
내용무당이 굿할 때 타는 작두는 일반 농가에서 쓰는 작두와 그 겉모양에서는 같으나, 무당이 작두날 위에 맨발로 올라섬으로써 신령의 영험력을 발휘하는 도구로 그 의미가 변환(變換) 된다. 무당들은 작두를 타기 전에 먼저 칼날의 날카로움을 시험하고 영험력을 극대화시켜 보여주기 위하여 작두를 어르면서 팔이나 다리, 혹은 혓바닥을 찌르거나 자르는 시늉을 한다. 작두를 타는 무당들에 의하면, 작두날이 날카로울수록 작두 위에 올라설 때 발바닥이 덜 아프다고 한다. 작두날을 갈 때에는 쓸데없는 말을 함으로써 부정이 끼어드는 일을 방지하도록 입에 ‘하미’라고 불리는 [한지](/topic/한지)를 물고 갈게 된다. 간혹 남다른 신통력을 과시하기 위하여 외작두를 타거나, 사다리 모양으로 여러 개를 겹쳐서 ‘칠성작두’를 타기도 하며, 때에 따라서는 [그네](/topic/그네) 위에 작두를 달고 마치 그네를 타듯이 작두를 타기도 한다. 이러한 행태들이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지나치게 볼거리 위주로 흥행성만을 내세움으로써 굿의 본래 의미를 왜곡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전통 무당들로부터 낳기도 한다.

무당이 작두를 탐으로써 신령과 의사소통을 집중적으로 하고 신령으로부터 영험한 위력을 받을 수 있다고 여긴다. 그렇기 때문에 작두 위에서 내리는 공수는 다른 어떤 종류의 공수보다도 신빙성과 위엄이 있다고 신도들에게 받아들여진다. 작두는 또 나쁜 액을 누르고 해로운 기운을 잘라냄으로써 부정한 기운의 침입을 막거나 억제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갖기도 한다. 굿을 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작두를 고정하는 나사를 풀어서 한지에 싸서 신당에 보관한다.
참고문헌한국무속도록 (김태곤, 집문당, 1982)
무당 귀물 연구-「[삼국유사](/topic/삼국유사)」의 삼부인과 무당의 거울ㆍ칼ㆍ방울을 중심으로 (양종승, 생활문물연구 2, 국립민속박물관, 2001)
한국의 굿 (하효길 외, 도서출판 民俗苑, 2002)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충청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서울시·경기도·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형태농가나 한의원, 한약방에서 사용하는 작두는 외작두이지만, 무당굿에서는 주로 쌍작두를 사용한다. 2003년 인천광역시 강화도 지역에서 실시한 무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작두의 재료와 형태는 다음과 같다. 즉 작두의 재료는 쇠이며, 총 길이는 73㎝, 날의 길이는 52.2㎝이다. 폭은 8.5㎝이며, 두 개의 작두를 연결해 주는 나사의 길이는 14㎝이다. 이러한 형태의 쌍작두는 두 개의 작두날을 세우고 그 사이에 나사로 고정시켜서 타게 된다. 같은 해 강원도 원주에서 실시한 무구조사에서 보고된 작두의 경우에도 대동소이한 크기와 형태를 띠고 있다. 원주에 거주하는 40년 경력의 무녀가 사용하는 작두도 두 개의 날과 4개의 볼트[나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두날에는 볼트를 끼우기 위한 구멍이 4개 뚫려있다. 날의 길이는 37.5㎝, 폭은 9㎝이다. 볼트의 길이는 15.5㎝, 두께가 1.5㎝이다.

충청북도 제천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년 경력의 해당 지역 무녀가 [대장간](/topic/대장간)에서 맞추어 제작한 쌍작두를 쓰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작두날의 크기는 가로 57㎝, 세로 9㎝이며, 날과 날 사이의 길이는 43㎝이다. 작두 나무판은 그 재질이 송판으로 되어 있으며, 흰 천[소창]으로 싸여 있다. 나무판의 크기는 가로 64㎝, 세로 23㎝이다. 충청북도 충주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38년째 활동하는 남자 법사가 사용하는 작두는 충주에 있는 대장간에서 주문 제작한 것이다. [장군](/topic/장군)거리와 신굿의 작두거리에서 사용한다. 작두날의 크기는 날 높이 11.4㎝, 날 길이 37㎝, 쇠손잡이 길이 51.5㎝이다. 작두 밑에는 송판을 이용해서 받침을 까깔았다. 송판 받침대의 크기는 가로 68.9㎝, 세로 20㎝, 두께 3㎝이다.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1997통과의례에 나타난 제습속의 상징성 고찰강재철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1991
다른세상저기 도깨비가 간다김종대2000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귀신하효길2001
작두
64905
작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