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6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목제남근
    619 2023.02.27
    소나무 등 나무를 깎아서 만든 모형 남근.
  • 성주상
    618 2023.02.27
    집을 수호하는 신령인 성주신에게 바치는 [제물](/topic/제물)의 상차림.
  • 연지당상
    618 2023.02.27
    [서울새남굿](/topic/서울새남굿)에서 지장보살을 모시기 위해 차리는 [제물](/topic/제물)상.
  • 장군상
    613 2023.02.27
    [장군](/topic/장군)신에게 바치는 상.
  • 오색천
    613 2023.02.27
    [서낭당](/topic/서낭당) 및 미륵당의 나무나 미륵의 목에 감아 주거나 오색 또는 삼색 기(旗)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헌물용 천.
  • 불밝이쌀
    613 2023.02.27
    제장에 불을 밝힐 목적으로 안치하는 쌀 또는 신령의 [흠향](/topic/흠향)(歆饗)을 위해 공물(供物)로 바치는 생미(生米).
  • 안당제석상
    613 2023.02.27
    출산과 자녀의 건강을 관장하는 [가신](/topic/가신) 중의 하나인 산신(産神)을 위한 [제물](/topic/제물)상.
  • 사자상
    613 2023.02.27
    유교식 상례 때나 망자를 천도하는 굿에서 저승사자를 위하여 차리는 음식 상차림.
  • 불사상
    612 2023.02.27
    서울굿에서 불사(佛師)거리에 차리는 [제물](/topic/제물)상.
  • 연양탁상
    612 2023.02.27
    제주도굿에서 굿을 할 때 차려 놓는 [제상](/topic/제상).
  • 뒷전상
    611 2023.02.27
    서울굿에서 뒷전을 위해 차리는 [제물](/topic/제물)상.
  • 611 2023.02.27
    [마을](/topic/마을)신들에게 바쳐지는 통소는 모든 제수(祭需) 가운데 으뜸이다. 대개 도서(島嶼) 지방이나 내륙의 대규모 당제 및 성황제에 통소를 [제상](/topic/제상)에 올린다. 이러한 동제(洞祭)의 절차는 상당 부분이 소에게 집중되어 있고 상호 긴밀한 관계를 맺는다. 동제를 구성하는 문화복합(culture complex) 중심에 소가 자리하는 것이다.
  • 방망이떡
    610 2023.02.27
    서울굿에 쓰이는 떡 중 한 종류로, [불사상](/topic/불사상)과 [연지당상](/topic/연지당상)에 올려짐.
  • 봉지밥
    610 2023.02.27
    ‘거리메기기’의 [제물](/topic/제물)로, 동제를 지낼 때 소지올리기를 마친 뒤 동제 제물을 조금씩 떼서 [한지](/topic/한지)로 싼 것.
  • 창호지
    609 2023.02.27
    주로 문을 바르는 데 쓰는 빛깔이 조금 누르스름하고 줄진 결이 있는 [한지](/topic/한지). 소지 명부를 작성하거나 [금줄](/topic/금줄), 서발심지, [신장대](/topic/신장대), [고깔](/topic/고깔), 깃발 등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