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6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고리동반
    1013 2023.02.27
    둥글납작한 떡 위에 방울 모양의 떡 일곱 개를 놓아 댓[가지](/topic/가지)로 얽어매고 창살 모양의 [백지](/topic/백지)로 감싼 것.
  • 돼지
    588 2023.02.27
    동제(洞祭)등 각종 제사에서 사용되는 전통적으로 소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제사용 희생동물.
  • 벙거지떡
    559 2023.02.27
    서울 [만신](/topic/만신)들이 본인의 신령들을 위한 [진적](/topic/진적)굿 때 [천장](/topic/천장)에 당(堂)을 매고 그 위에 올렸던 떡의 하나.
  • 소금
    589 2023.02.27
    제액․정화․축귀의 주술성을 띠는 것으로 용왕먹이기, [객귀물리기](/topic/객귀물리기) 등 가정신앙의 각종 의례에서 사용되는 [제물](/topic/제물).
  • 용왕상
    566 2023.02.27
    수신(水神)·해신(海神)이라 하여 [농민](/topic/농민)과 어민의 유력한 신으로 숭배되고 있는 용왕을 위한 음식상.
  • 텃대감상
    451 2023.02.27
    터를 관장하는 텃대감 몫으로 마련되는 굿상.
  • 고추
    952 2023.02.27
    아들이 출생하거나 환자가 발생할 때 부정을 씻기 위해 사용한 벽사물.
  • 된장
    635 2023.02.27
    콩을 삶아서 띄운 메주와 소금물을 옹기 독에 넣어 장기간 숙성시킨 다음에 우러난 간장을 떠내고 남은 건더기를 계속 숙성시켜 만든 발효식품으로서, ‘객귀(客鬼) 물리기’와 ‘동티잡이’, ‘액막이’ 등 측신의 노여움을 푸는 주술적인 의례 등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저장](/topic/저장)음식.
  • 본향상
    618 2023.02.27
    서울굿에서 본향거리 또는 본향바래기·산바래기에 차리는 [제물](/topic/제물)상이다.
  • 시루떡
    582 2023.02.27
    쌀을 가루로 만들어 시루에 찐 떡으로, [가신](/topic/가신)에게 올리는 제물.
  • 원미상
    645 2023.02.27
    영혼을 위하여 쌀죽과 술잔을 함께 차려 올린 상.
  • 통북어
    508 2023.02.27
    산신제, [장승제](/topic/장승제), 유황제 등 모든 민속 제의에서 빠지지 않고 사용되는 중요한 [제물](/topic/제물).
  • 공싯상
    922 2023.02.27
    제주도 굿에서 심방의 [무조신](/topic/무조신)(巫祖神)을 위해 차려 놓는 것으로, 굿을 할 때 심방의 무구를 올려놓는 상.
  • 뒷전상
    592 2023.02.27
    서울굿에서 뒷전을 위해 차리는 [제물](/topic/제물)상.
  • 봉지밥
    594 2023.02.27
    ‘거리메기기’의 [제물](/topic/제물)로, 동제를 지낼 때 소지올리기를 마친 뒤 동제 제물을 조금씩 떼서 [한지](/topic/한지)로 싼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