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5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애기씨·동자꽃
    672 2023.02.27
    애기씨와 동자를 상징하는 꽃.
  • 서낭기
    671 2023.02.27
    서낭목이나 서낭대에 매다는 깃발. [단골](/topic/단골)들이 출세 혹은 소원성취를 위해 무당에게 바치는 천으로 무당들은 천에 기원문을 적어서 서낭대에 감아서 모셔 둔다. 혹은 단순히 서낭대를 장식하기 위한 [오색천](/topic/오색천)을 말하기도 한다.
  • 띠배
    669 2023.02.27
    풍어제에서 제의 마지막에 바다로 띄워 보내는 모형(模型)의 의식용 배.
  • 매화
    669 2023.02.27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에 쓰이는 것으로 매화꽃의 형태를 재현한 지화.
  • 인물개
    668 2023.02.27
    황해도굿에서 인간의 모습으로 형상화한 무속신을 묘사한 개(蓋)의 총칭. 무속신이 하강할 때 해·달·비·바람 등을 가려주는 [가리개](/topic/가리개)를 상징화한 무구로서, 황해도 무속 의례 시에 굿청에 장식된다. 특히, 만구대탁굿 혹은 [만수대탁굿](/topic/만수대탁굿) 등의 큰굿에 장식된다.
  • 정주
    667 2023.02.27
    호남 지역 무속의례에 사용되는 종형(鐘形) 무구. 그 지역 용어로 ‘정쇠’라는 이칭을 지니며, 옥황종(玉皇鐘)이라 불리기도 한다. 불교 의식구인 경쇠(磬釗)에서 유래하였으며 불교에서 쓰이는 경쇠는 법식을 행할 때에 쓰이는 것으로, 부처님에게 절을 할 때에 흔드는 일종의 작은 종이다.
  • 살장
    667 2023.02.27
    [한지](/topic/한지) 한 장을 여러 모양으로 오린 후, 굿판의 신들이 좌정하는 [당클](/topic/당클) 앞에 [가리개](/topic/가리개)처럼 설치하는 [기메](/topic/기메).
  • 쉰대부채
    666 2023.02.27
    부채 살이 쉰 개인 접부채를 의미하는 것으로, 서울굿에서 쓰이는 무구. ‘쉰대한림’, ‘꽃부채’, ‘삼불제석부채’라고도 부른다.
  • 막꽃
    662 2023.02.27
    주로 [탑등](/topic/탑등)과 용선 등을 장식하기 위해 꽂아 두는 지화. 특별한 꽃이름이 없기 때문에 ‘막꽃’이라고 하며 ‘허드레꽃’이라고도 부른다.
  • 사신성황당(使臣城隍堂)에 보관되어 있던 나무 [현판](/topic/현판). 사신당무신도 부 현판(使臣堂巫神圖 附 懸板)은 2005년 2월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27호로 지정되었다.
  • 명다리
    658 2023.02.27
    무당과 [단골](/topic/단골)사이에 수양(收養) 관계를 맺는 표시로 장수를 기원하는 뜻에서 수양자의 생(生), 시(時), 성명과 ‘수명장수(壽命長壽)’ 또는 ‘수명장수 재수발원(壽命長壽 財數發願)’, ‘칠성님전 수명장수 발원’이라고 써서 신에게 바치는 [무명](/topic/무명)천.
  • 장군개
    658 2023.02.27
    [장군](/topic/장군)신이 하강할 때 햇빛이나 바람 또는 비 등을 가리기 위해 사용되는 신구(神具).
  • 삼사자
    656 2023.02.27
    망자를 저승으로 천도해 준다고 믿어지는 대상을 구체화한 무구. 종이를 오려 구체화한 것이 일반적이나, 일부 지역에서는 짚으로 [허재비](/topic/허재비) 형태로 형상화하기도 한다. 사자는 시직사자(時直使者), 일직사자(日直使者), 월직사자(月直使者)로 구성된다고 믿어져 일명 ‘삼사자(三使者)’라고도 불린다. 일부는 시직사자 대신 황천사자(黃泉使者)를 그 구성 안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저승 [천도굿](/topic/천도굿)인 씨끔굿, 넋건지기굿, 해원경 등의 의례에서 시왕을 형상화한 종이무구와 함께 앉은굿 의례 때에는 반드시 제작해야 하는 무구이다. 주로 전북지역과 충청도 지역에서 나타난다.
  • 소설경
    656 2023.02.27
    충남 내륙지역의 앉은굿 [법사](/topic/법사)가 하루 굿 정도의 간단한 독경(讀經)을 할 때 종이에 글씨나 문양을 칼로 파서 만든 장엄구(莊嚴具).
  • 일월개
    654 2023.02.27
    일월신(日月神)의 양산을 상징화한 황해도 무구. 일월신이 하강할 때 해, 달, 비, 바람 등을 가려주는 [가리개](/topic/가리개)를 상징화한 무구로서, 황해도 무속 의례 중 만구대탁굿이나 [만수대탁굿](/topic/만수대탁굿) 등의 큰 굿의 굿청에 장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