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낭기

한국무속신앙사전
서낭기
서낭목이나 서낭대에 매다는 깃발. [단골](/topic/단골)들이 출세 혹은 소원성취를 위해 무당에게 바치는 천으로 무당들은 천에 기원문을 적어서 서낭대에 감아서 모셔 둔다. 혹은 단순히 서낭대를 장식하기 위한 [오색천](/topic/오색천)을 말하기도 한다.
definition
서낭목이나 서낭대에 매다는 깃발. [단골](/topic/단골)들이 출세 혹은 소원성취를 위해 무당에게 바치는 천으로 무당들은 천에 기원문을 적어서 서낭대에 감아서 모셔 둔다. 혹은 단순히 서낭대를 장식하기 위한 [오색천](/topic/오색천)을 말하기도 한다.
mp3Cnt
0
wkorname
김태우
정의서낭목이나 서낭대에 매다는 깃발. [단골](/topic/단골)들이 출세 혹은 소원성취를 위해 무당에게 바치는 천으로 무당들은 천에 기원문을 적어서 서낭대에 감아서 모셔 둔다. 혹은 단순히 서낭대를 장식하기 위한 [오색천](/topic/오색천)을 말하기도 한다.
내용서낭기에서 ‘서낭’은 [마을](/topic/마을) 수호신을 지칭하는 말로 그 어원에 대해서 두 [가지](/topic/가지) 견해가 있다. 하나는 이능화가 「[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에서 주장한 것으로 중국의 성황(城隍)이 이입된 신격이라는 견해와 다른 하나는 손진태와 조지훈이 주장한 것으로 서낭을 고유한 신앙으로 보고 이후 중국 것과 복합된 것으로 보는 견해이다. 김태곤은 ‘서낭’의 어원을 산신(山神)인 ‘산왕(山王)’에서 온 것으로 보고, 악박(鄂博, 몽골의 돌더미 숭배물 또는 제단)신앙이 한반도에 들어와 산신·천신신앙이 혼합되어 ‘서낭’이라는 별개의 신앙 형태가 나온 것으로 보았다.

서낭기는 원래 서낭목 또는 [서낭당](/topic/서낭당)에 매달거나 걸어놓았던 천을 말한다. 과거 서낭목에 울긋불긋 [오색천](/topic/오색천)이나 [백지](/topic/백지), 베 조각, 백지에 꾸린 쌀·떡·명태, 환자의 [저고리](/topic/저고리) 동정 등을 소망기원의 목적으로 매어 걸었던 신앙적 형태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서낭기는 주로 잔치, 환갑, 자녀 출세를 위해 [단골](/topic/단골)들이 떠 오게 된다. 경기도 시흥의 군자봉 당주인 김순덕의 경우, 서낭기를 군자봉 위에 모셔 놓았다가 섣달그믐에 내려 모시고 3월 삼짇날 올려 모셨다고 한다. 근래에는 음력 10월 3일에 행해지는 성황제 때 산 위에 있는 당에 잠깐 올려 모셨다가 내려오는데 이때 서낭기는 서낭대에 감아서 군자봉 위의 신당 앞에 모셔진다. 이때 서낭대는 마을 사람들이 짊어지고 올라가며 의례를 행한 후 다시 가지고 내려온다. 서낭기는 성황제가 끝나면 일부는 신당 안 벽면에 걸어두고 나머지는 신당 안에 있는 [장롱](/topic/장롱)에 보관해 둔다.

일반적으로 서낭대라고 하면 본디 신이 내려오는 대, 즉 [신대](/topic/신대)로 인식된다. 경기도 시흥 군자봉 성황제의 서낭기는 평상시에는 대나무와 오색천을 분리해 굿당 안에 보관해 둔다. 그리고 매해 성황제를 진행하는 날 아침에 오색천을 감는데 이를 “옷을 입힌다”라고 한다. 서낭기 장식 순서는 맨 위부터 꿩의 깃털-태극기-빨강천-노랑천-파랑천-빨강천-파랑천 순이다. 서낭기는 성황신, 곧 [경순왕](/topic/경순왕)을 모셔 내리고 올리는 도구로 인식하며 서낭기가 있는 곳에 성황신이 머물고 있다고 생각한다. 통영지방에서는 [천왕대](/topic/천왕대)라고도 한다. 굿하는 집에서 굿하는 날 집의 한 [기둥](/topic/기둥) 앞에 세워 놓는다. 통영지방 서낭대는 서너 길 되는 긴 대나무를 베어다 아랫가지는 모두 쳐내고 위에는 잎을 그대로 놓고, [한지](/topic/한지)를 오려서 만든 장식을 걸어 놓는다.

은산별신제에서는 신이 내리는 기를 ‘대기(大旗)’라고 한다. 무녀는 무가를 부르고 춤을 추며 신이 내리기를 기원하고, 풍물패와 [삼현육각](/topic/삼현육각)은 경쾌한 연주를 한다. 제를 정성껏 지내면 대기 꼭대기에 달린 방울이 흔들린다. 그러나 방울이 흔들리지 않으면 제를 지내는 [제관](/topic/제관) 전원이 은산천에서 다시 목욕재계 후 다시 굿을 해야 한다. 이처럼 서낭기(서낭대)에 신을 받아 온다든지 서낭기를 들고 마을을 돌며 축원과 액막이를 하는 행위는 한강 유역 부군당굿이나 경기도 도당굿, 해안지역 풍어제나 [별신굿](/topic/별신굿) 등에서 보편적으로 보이는 현상 중에 하나이다.
참고문헌한국민간신앙연구 (김태곤, 집문당, 1983)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경상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무·굿과 음식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서울시·경기도·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형태서낭기의 재료는 [한복](/topic/한복) [치마](/topic/치마)의 안감으로 사용되는 얇은 [삼베](/topic/삼베)천이다. 그 크기가 과거에는 13마 3치가 일반적이었으나 [단골](/topic/단골)들이 개인적으로 떠 오는 것이라 그 크기와 색상은 일정치 않다. 색상은 붉은색·녹색·파란색·노란색·흰색 등이 주를 이루지만 붉은색이 가장 많다. 서낭기 안에는 출세 혹은 소원성취를 기원하는 문구를 적어 놓기도 한다. 평소에는 신당 안에 펼쳐서 걸어 놓거나 서낭대에 감아 보관한다. 서낭대는 주로 대나무로 만들며 그 길이가 경기도 시흥 군자봉 서낭대의 경우, 총 길이 868㎝·밑둘레 26㎝·지름 8.25㎝ 정도이다. 서낭대는 대나무 면이 보이지 않게 겉면을 [무명](/topic/무명)천으로 둘둘 말아 놓기도 한다.
국립문화재연구소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2005
동남어문학회동해안 오구굿의 무·불 습합 양상김창일2006
부산광역시 기장군 김동언·김동열 자택김동언·김동열 녹음채록조사자료김창일2006. 10
서낭기
64655
서낭기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