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귀대

한국무속신앙사전
충청도 지역 무속에서 사귀(邪鬼)를 접신시키기 위해 만든 신간(神竿). 속대의 한 종류이다. 속대에 어느 귀신이 접신되느냐에 따라 사귀대(邪鬼隊), 수배(수비)대, 귀신대(鬼神隊) 등으로 불린다. 일반적으로 [병굿](/topic/병굿)이라 불리는 [병경](/topic/병경)(病經)에 사용된다.
definition
충청도 지역 무속에서 사귀(邪鬼)를 접신시키기 위해 만든 신간(神竿). 속대의 한 종류이다. 속대에 어느 귀신이 접신되느냐에 따라 사귀대(邪鬼隊), 수배(수비)대, 귀신대(鬼神隊) 등으로 불린다. 일반적으로 [병굿](/topic/병굿)이라 불리는 [병경](/topic/병경)(病經)에 사용된다.
mp3Cnt
0
wkorname
최진아
정의충청도 지역 무속에서 사귀(邪鬼)를 접신시키기 위해 만든 신간(神竿). 속대의 한 종류이다. 속대에 어느 귀신이 접신되느냐에 따라 사귀대(邪鬼隊), 수배(수비)대, 귀신대(鬼神隊) 등으로 불린다. 일반적으로 [병굿](/topic/병굿)이라 불리는 [병경](/topic/병경)(病經)에 사용된다.
내용속대는 날래미나 사귀, 수배와 같이 잡신을 상징화한 무구를 얹어서 의례를 행하는 것이다. 귀신이 내리는 접신 도구로, 축귀의식에 사용된다. 환자 치료를 위한 [병경](/topic/병경)을 할 때 환자의 병의 원인에 따라 잡신을 구체화 한다. 환자의 병인(病因)이 사귀에 붙은 것이라면 사귀대를 만든다. 사귀대는 이 용어를 그대로 해석하면, 요사스러운 귀신의 대라는 의미이며 주로 사귀를 접신시켜서 축출시키는 용도로 쓰인다. 또한 환자의 병인(病因)이 수배신이 붙은 것이라면, 속대에 수배신을 접신시켜서 배송시킨다. 수배는 상위의 신을 따라온 하위의 잡신으로 수비라고도 불린다. 사귀와 수배는 날래미에 비해 잡신의 모습이 보다 구체화 된 무구이다.

병경 의례가 끝날 무렵에 귀신을 단지 안에 몰아넣을 때 사귀대가 쓰인다. 사귀대에 사귀인 잡귀를 얹어 놓은 뒤에 사귀대를 타고 내린 귀신이 사귀에 접신되면, 법사가 협박과 회유를 반복하며 단지 안에 귀신을 몰아넣는다. 사귀대는 사귀가 잘 따라올 수 있도록 법사의 언변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사귀대를 놀리는 일은 아주 재미있게 치러진다. 사귀에게 좋은 곳으로 데려갈 테니, 대신 환자의 나쁜 기를 뽑아 가자고 회유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사귀대와 사귀가 벌벌 떨면서 단지 안으로 들어가는 시늉을 하면 법사가 사귀를 단지 안으로 집어넣고 얼른 뚜껑을 닫는다. 법사는 뚜껑을 닫은 공간 전체를 문종이로 싼다. 그리고 귀신이 다시 나오지 못하도록 경청(經廳, 경문을 읽어 굿이 진행되는 공간으로 굿청을 말함)에 매달았던 병철망으로 사귀가 담긴 단지를 씌운 후에 왼새끼 줄로 칭칭 동여매어 [대문](/topic/대문) 바깥으로 나가서 손 없는 방위를 점쳐 그곳 땅 속에 묻는다. 이 때 사귀를 단지에 넣어 묻는 광경을 환자가 보면 병이 낫는다고 믿는 것이다.

사귀대는 환자의 병의 원인이 되는 나쁜 액운이나 허깨비 혹은 잡신이 붙은 것을 떼어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대수대명](/topic/대수대명)자(代數代命者)로 상징된다. 대수대명은 재액을 전이시키는 행위로서 환자를 구상화한 대신(代身) 즉, 사귀를 내세워 귀신을 추방하는 속죄양 모티브의 일종이다. 사람에게 붙은 모든 액운이 사귀대에 옮겨[지게](/topic/지게) 되면, 이것은 잡신의 신체로서 의미가 전환된다. 사귀 자체가 귀신으로 상징되어 귀신단지에 넣으면 축귀 의식이 끝나는 것으로 인식된다. 사귀에 접신된 귀신을 밀폐된 공간에 가두어 인간 세상으로부터 분리하여 더 이상 해를 끼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을 미리 준비해 둔 공간에 담음으로 인해, 나쁜 액운이 떨어져 나가는 것으로 인식한다. 사귀대는 눈에 보이지 않는 사귀의 존재를 가시적으로 구체화한 대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참고문헌한국의 굿 (하효길 외, 도서출판 民俗苑, 2002)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충청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충청지역의 종이무구 (임승범, 한국무속학 13, 한국무속학회, 2006)
무·굿과 음식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형태사귀대는 신간과 사귀로 구성되며, 또한 사귀가 들어갈 함이 필요하다. 사귀대는 속대의 한 종류이다. 속대는 [신장대](/topic/신장대)를 작게 축소해 놓은 모양으로, [전지](/topic/전지)나 [창호지](/topic/창호지)와 대나무로 만든다. 종이를 일정한 크기로 자른 뒤에, 이를 반으로 접고 다시 옆으로 돌려서 반을 접는다. 종이가 접힌 부분 일부는 그대로 두고 그 아랫부분을 일정한 간격으로 칼질을 해서 가닥을 낸다. 대나무 윗부분을 칼로 조금 잘라내고 그 안에 가닥을 낸 종이를 끼워놓고 돌려서 만든다. 그 길이가 20㎝ 내외이다. 여기에 날래미가 잡신으로 함께 구성되는데, 이것은 사귀와 동등한 기능을 한다.

날래미는 흰 종이로 속대와 유사하게 만들어지는데, 그 크기는 가로·세로가 동일하게 대략 5㎝ 내외이다. 잡신의 신체로 상징되는 날래미는 하나 혹은 여러 개가 만들어지기도 하는데, 그 숫자는 곧 귀신의 수(數)를 상징한다. 날래미의 형태가 추상적인 데 반해, 사귀는 남녀 한 쌍이 기본구성을 이룬다. 색지를 이용하여 사람의 형태를 본 떠 얼굴과 몸 이외에 손과 발까지도 구체화한다. 남자를 상징하는 사귀대는 흰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 여자를 상징하는 사귀대는 빨강 [치마](/topic/치마)와 노랑 [저고리](/topic/저고리)를 착용한 모습이다. 크기는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보통 조그마한 공간에 들어갈 수 있도록 만든다. 길이는 평균적으로 20㎝ 이내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배대에는 흰색·파란색·빨간색의 삼색 천을 묶어 수배를 가시화한다. 수배는 상위의 신을 따라온 하위의 잡신으로 수비라고도 불린다.

사귀를 비롯한 잡신이 들어갈 공간은 사귀통(邪鬼桶)이라 불리는데 단지, [호박](/topic/호박), 유리병이 주로 사용된다. 단지는 크기가 작은 옹기가 사용된다. 호박으로 만들 때는 늙은 호박을 사용하는데, 늙은 호박은 그 윗부분을 도려내고 속을 모두 파내어 뚜껑을 만든다. 병을 사용할 경우에는 병 중간부분을 잘라 날카로운 부분을 무디게 한다. 사귀가 들어갈 공간을 덮은 뚜껑은 여러 [가지](/topic/가지) [곡물](/topic/곡물)을 섞은 것이 사용된다. 밀가루에 고춧가루와 소금 재를 섞어 반죽하거나 혹은 고춧가루, 소금, 콩깍지를 태운 재를 혼합하여 만든 것을 흰 [무명](/topic/무명)천이나 비닐봉지에 담아 만든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