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경기도 남부 세습무인 산이 집단에서 제석굿을 할 때 쓰는 [장단](/topic/장단) 가운데 하나. |
---|---|
mp3Cnt | 0 |
wkorname | 변남섭 |
정의 | 경기도 남부 세습무인 산이 집단에서 제석굿을 할 때 쓰는 [장단](/topic/장단) 가운데 하나. | 내용 | 제석굿은 전통적인 굿에서 매우 중요한 굿거리로 다양한 음악이 쓰이고 굿거리가 복잡하게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제석굿을 통해 인간의 생명과 복록을 기원함으로써 여기서 다양하고 풍부한 기원의 음악이 활용된다. 실제로 산이제 제석굿의 순서는 현행 굿과 매우 다른 고형의 면모를 구성하고 있다. 즉 제석청배(권선장단, 신모듬), 부정놀이, 올림채, 도살풀이, 모리, [발뻐드래](/topic/발뻐드래), [중타령](/topic/중타령), 오니굿거리의 만수받이, 거리노랫가락 등 순서로 진행되는 과정은 제석굿의 고형적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봉등채장단은 권선 다음에 무녀가 봉등채에 의해 춤을 추고, 신모듬이라고 하는 무가를 부를 때에 쓰는 [장단](/topic/장단)이다. 또한 굿거리보다 한 박이 많은 3소박 5박 장단(3ㆍ3ㆍ3ㆍ3ㆍ3)이다. 봉등채 하나만 독립적으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장단과 연계되어 연행된다. 흔히 권선과 봉등채는 서로 일정한 관련을 맺고 있으면서 순차적 구성의 요건이 된다. 권선장단은 2소박과 3소박의 혼소박으로 된 10박 장단(3ㆍ3ㆍ2ㆍ2)이다. 아울러서 봉등채장단 역시 단일하게 이루어져 있지 않고 일정한 장단의 켜를 이루고 있어서 느린 장단에서부터 빠른 장단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장단의 빠르기인 한배가 달리 구성되고, 이 한배에 의해 장단이 연쇄되는 특징이 있다. 봉등채 초보와 봉등채 중보 사이에 연결되는 가락이 있어서 봉등채 연결 가락이 있는 격이다. 경기도 남부 지역의 산이 집단에서 ‘장단에 집을 짓는다’는 말을 곧잘 하는데 봉등채장단 역시 이러한 특징을 띠고 있다. ‘장단에 집을 짓는다’고 하는 말은 단일한 장단을 일관되게 연주하지 않고 빠르기에 변화를 주며 가락을 다양하게 변주하는 등 장단의 규칙성과 불규칙성을 섞어 넣으며 차례대로 변주시켜 단칸에서 여러 칸으로 발전시키는 법칙을 말한다. 봉등채의 초보와 중보가 있으면서 신모듬을 하는 것은 이러한 전형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봉등채장단의 초보에는 [한삼](/topic/한삼)을 뿌려 던지기도 하고 발로 차기도 하면서 다양한 [춤사위](/topic/춤사위)를 선보인다. 그리고 봉등채 넘기는 가락에서 잦게 춤을 몰아가다가 빠른 장단에 무가를 대면서 소리를 하게 된다. 봉등채장단의 중보에는 그에 맞추어 신모듬의 무가를 부른다. 한편 이 장단에 얹어 부르는 무가의 [사설](/topic/사설)은 기록으로 남아 있어서 소개할 수 있다. “신을 신을 신이로다 홑일곱도 신이로세 열일곱도 신이로다 일삼칠구 수에 집을 짓는다 그런 일곱 수가 언짢다고 하여 홑일곱에서부터 아흔 일곱까지 칠승귀 해살을 한데 모와 서 잘 풀어먹여 달래여서 훼방 해살을 놓지 말아 달라”는 사설을 여기에 얹어 부른다. 봉등채 중보에 맞추어서 부르는 무가는 인간에게 좋지 않은 일을 야기하는 칠성귀를 없애고 해살(害殺)을 놓거나 훼방을 놓는다고 여기는 귀신을 물리쳐 달라고 하는 내용으로 전개된다. 일곱 수마다 인간에게 [고비](/topic/고비)가 오는데 이 고비가 바로 칠성귀라고 하는 것에 있다고 하는 점은 매우 인상적이다. | 참고문헌 | 진쇠장단외 십일장단 (박헌봉, 중요무형문화재보고서 28, 문교부, 1966) [시나위](/topic/시나위) (유기룡ㆍ이보형, 중요무형문화재보고서 82, 문화재관리국, 1971) 지영희민속음악연구자료집 (성금연 편, 민속원, 20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