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무속고

한국무속신앙사전
이능화(李能和)가 한국 무속 자료를 집대성하여 1927년 계명구락부(啓明俱樂部) 기관지 『계명(啓明)』 제19호에 발표한 글.
definition
이능화(李能和)가 한국 무속 자료를 집대성하여 1927년 계명구락부(啓明俱樂部) 기관지 『계명(啓明)』 제19호에 발표한 글.
mp3Cnt
0
wkorname
양종승
정의이능화(李能和)가 한국 무속 자료를 집대성하여 1927년 계명구락부(啓明俱樂部) 기관지 『계명(啓明)』 제19호에 발표한 글.
정의이능화(李能和)가 한국 무속 자료를 집대성하여 1927년 계명구락부(啓明俱樂部) 기관지 『계명(啓明)』 제19호에 발표한 글.
내용『조선무속고』 는 전체 20장 166절로 구성되어 있다. 그 목차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조선무속지유래(朝鮮巫俗之由來)
제2장 고구려무속(高句麗巫俗)
제3장 백제무속(百濟巫俗)
제4장 신라무속(新羅巫俗)
제5장 고려무풍(高麗巫風)
제6장 이조무속(李朝巫俗)
제7장 궁중호무(宮中好巫)
제8장 무격지소속[지관](/topic/지관)서(巫覡之所屬之官署)
제9장 무업세급신세포(巫業稅及神稅布)
제10장 무병지제(巫兵之制)
제11장 금요무급음사(禁妖巫及淫祀)
제12장 출무성외(黜巫城外)
제13장 무격술법(巫覡術法)
제14장 무고(巫蠱)
제15장 무축지사급의식(巫祝之辭及儀式)
제16장 무행신사명목(巫行神祀名目)
제17장 성황(城隍)
제18장 경성무풍급신사(京城巫風及神祠)
제19장 지방무풍급신사(地方巫風及神祠)
제20장 부(附) 지나무사대략(支那巫史大略)


무속은 신앙 그 자체이며 이는 믿음이 전제되어야만 존속되는 지극히 정신적이고 심리적인 체계의 종교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입장은 연구자에 따라 두 갈래가 될 수 있다. 하나는 무속을 역사 문[화로](/topic/화로) 이해하면서 신의 존재에 대한 믿음을 갖고 종교로 바라보는 연구가 있다. 다른 하나는 신앙을 초월해 역사 문화적 현상으로만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가 있다. 이능화는 후자의 연구자이다. 본문에서 보듯이 이능화가 무신 존재를 부정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것도 그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능화의 이러한 입장에도 『조선무속고』는 민족정신을 회복하는 데 원동력이 되었으며, 일제의 문화동화정책에 맞서 민족문화의 뿌리를 고찰하는 데 객관적 근거를 제시한 증거물로서의 연구서이다.

버려진 문화를 옥석으로 다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 과정이 중요하다. 무속을 연구하면서 실증주의를 초월해야 했던 것도 이런 이유에서이다. 궁핍한 유형 자료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표면적 현상에만 치중하여도 온전한 덩[어리](/topic/어리)를 살펴보기가 어렵다. 살아 있는 전승현장은 간헐적이지만 기록되고 문서화된 [사료](/topic/사료)와의 호혜적인 상호 보완을 통해서만이 건실한 실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래야만 논리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되는 것이다. 현장에서 살아 숨쉬는 민중의 무속은 20세기 초 이능화을 통해 가장 한국적이면서 가장 믿음직스러운 우리 것으로 인식되었음이 분명하다. 현장을 살리는 민속 조사는 과학적이다. 그리고 참여관찰에 의한 현장 조사와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구술면담은 자료 제공자들과의 비교 검증을 필요로 한다. 단순한 질문이나 한두 번의 참관으로는 현장이 포착되지 않는다. 문헌고증학의 한계를 모르지는 않지만 이능화의 『조선무속고』는 이런 점에서 아쉬움을 준다.
참고문헌조선무속고 (이능화 지음, 이재곤 역, 동문선, 1991)
이능화의 조선무속고에 대하여 (서영대, 이능화 연구, 집문당, 1994)
일제하 무속론과 식민지 권력 (최석영, 서경문화사, 1999)
서평-오리엔탈리즘 해체와 벗어나기, 이능화의 『조선무속고』 (양종승, 서울대학교 대학신문, 2008)
조선무속고 - 역사로 본 한국 무속 (이능화 지음, 서영대 역주, 창비, 2008)
한국민속신앙[사전](/topic/사전)-무속신앙 (이해준, 조선무속고, 국립민속박물관, 2010)
내용『조선무속고』 는 전체 20장 166절로 구성되어 있다. 그 목차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조선무속지유래(朝鮮巫俗之由來)
제2장 고구려무속(高句麗巫俗)
제3장 백제무속(百濟巫俗)
제4장 신라무속(新羅巫俗)
제5장 고려무풍(高麗巫風)
제6장 이조무속(李朝巫俗)
제7장 궁중호무(宮中好巫)
제8장 무격지소속[지관](/topic/지관)서(巫覡之所屬之官署)
제9장 무업세급신세포(巫業稅及神稅布)
제10장 무병지제(巫兵之制)
제11장 금요무급음사(禁妖巫及淫祀)
제12장 출무성외(黜巫城外)
제13장 무격술법(巫覡術法)
제14장 무고(巫蠱)
제15장 무축지사급의식(巫祝之辭及儀式)
제16장 무행신사명목(巫行神祀名目)
제17장 성황(城隍)
제18장 경성무풍급신사(京城巫風及神祠)
제19장 지방무풍급신사(地方巫風及神祠)
제20장 부(附) 지나무사대략(支那巫史大略)


무속은 신앙 그 자체이며 이는 믿음이 전제되어야만 존속되는 지극히 정신적이고 심리적인 체계의 종교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입장은 연구자에 따라 두 갈래가 될 수 있다. 하나는 무속을 역사 문[화로](/topic/화로) 이해하면서 신의 존재에 대한 믿음을 갖고 종교로 바라보는 연구가 있다. 다른 하나는 신앙을 초월해 역사 문화적 현상으로만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가 있다. 이능화는 후자의 연구자이다. 본문에서 보듯이 이능화가 무신 존재를 부정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것도 그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능화의 이러한 입장에도 『조선무속고』는 민족정신을 회복하는 데 원동력이 되었으며, 일제의 문화동화정책에 맞서 민족문화의 뿌리를 고찰하는 데 객관적 근거를 제시한 증거물로서의 연구서이다.

버려진 문화를 옥석으로 다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 과정이 중요하다. 무속을 연구하면서 실증주의를 초월해야 했던 것도 이런 이유에서이다. 궁핍한 유형 자료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표면적 현상에만 치중하여도 온전한 덩[어리](/topic/어리)를 살펴보기가 어렵다. 살아 있는 전승현장은 간헐적이지만 기록되고 문서화된 [사료](/topic/사료)와의 호혜적인 상호 보완을 통해서만이 건실한 실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래야만 논리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되는 것이다. 현장에서 살아 숨쉬는 민중의 무속은 20세기 초 이능화을 통해 가장 한국적이면서 가장 믿음직스러운 우리 것으로 인식되었음이 분명하다. 현장을 살리는 민속 조사는 과학적이다. 그리고 참여관찰에 의한 현장 조사와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구술면담은 자료 제공자들과의 비교 검증을 필요로 한다. 단순한 질문이나 한두 번의 참관으로는 현장이 포착되지 않는다. 문헌고증학의 한계를 모르지는 않지만 이능화의 『조선무속고』는 이런 점에서 아쉬움을 준다.
참고문헌조선무속고 (이능화 지음, 이재곤 역, 동문선, 1991)
이능화의 조선무속고에 대하여 (서영대, 이능화 연구, 집문당, 1994)
일제하 무속론과 식민지 권력 (최석영, 서경문화사, 1999)
서평-오리엔탈리즘 해체와 벗어나기, 이능화의 『조선무속고』 (양종승, 서울대학교 대학신문, 2008)
조선무속고 - 역사로 본 한국 무속 (이능화 지음, 서영대 역주, 창비, 2008)
한국민속신앙[사전](/topic/사전)-무속신앙 (이해준, 조선무속고, 국립민속박물관, 2010)
역사『조선무속고』는 여러 번에 걸쳐 한국어 번역본이 발간되었다. 1976년 이재곤 완역본, 같은 해 김열규 부분역본, 1986년 김택규 완역본이다. 그리고 세 번의 번역에서 빚어진 본문의 오자, 오기, 오용, 오해 곡해, 속단 등을 보완한 서영대 역주본이 2009년에 발간되었다.
역사『조선무속고』는 여러 번에 걸쳐 한국어 번역본이 발간되었다. 1976년 이재곤 완역본, 같은 해 김열규 부분역본, 1986년 김택규 완역본이다. 그리고 세 번의 번역에서 빚어진 본문의 오자, 오기, 오용, 오해 곡해, 속단 등을 보완한 서영대 역주본이 2009년에 발간되었다.
의의『조선무속고』 출간 시기는 ‘민족신앙 다루기’의 정점이었다. 이는 20세기 인문학자들이 추구해 온 서구 중심의 지배담론을 명문화한 오리엔탈리즘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민중 문화에 비문명적이라는 [멍에](/topic/멍에)를 씌운 편협한 지식층의 문화보기에서 탈피하려는 노력이었다. 민중 신앙, 정신, 얼이 함께 어우러진 ‘무속’은 논의 그 자체로서 ‘민족 문화 바로 세우기’의 필연적 요소로 등장하였으며, 식자들의 보편적 인식체계 속에 자리 잡게 되었다. 무속을 밖에서 유입된 외래 종교들과 달리 이 땅에서 자생적으로 자라온 민족종교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민족사와 종교 문화의 독창성을 찾고자 한 것이었다. 이 시기에 이능화는 최남선, 손진태, 송석하, 임석재 등과 함께 한국 민속학을 태동시키는 데 선두주자로 활동하면서 문화민족주의적 입장에서의 무속 논의를 본격화시켰다. 즉 민족 문화 기원에 관한 서술은 역사 재인식으로부터 출발한 것이고, 식자들은 산발적으로 남겨진 기록을 최대한 발굴하고 이를 객관적 실증주의 입장에서 체계화하여 민족 문화의 틀을 회복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한국 무속이 처음으로 학문적 대상이 된 것은 식민지 지배담론의 틀 속에서 이루어진 아유카이 후사노신(鮎貝房之進), 도리이 류조(鳥居龍藏),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 등의 연구에서이다. 그러나 『조선무속고』는 『살만교차기( 薩滿敎箚記)』와 함께 문헌고증학에 입각한 최초의 한국인 연구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능화는 민족 문화 계몽 및 교육 분야에 활약하면서 큰 성과를 올렸을 뿐만 아니라 민족학 발전을 위한 학술 연구 분야에서도 큰 업적을 남겼다. 그는 민족신앙 무속을 위시하여 역사, 불교, 여성, 민속 등을 심층적으로 조사 연구하여 명실 공히 민족학 연구의 금자탑을 마련하였다. 특히 1927년에 발간한 『조선무속고』는 민족 고유 신앙 및 종교 관련의 문헌적 기록과 자료를 집대성한 것으로서 한국 무속학의 [초석](/topic/초석)을 다지는데 한몫 하였다. 한편 이능화의 무속 연구는 1915년에 발표된 『조선인과 각 종교』, 1918년에 저술된 『조선불교통사』 하편 등에서 알 수 있듯이 긴 시간에 걸쳐 이루어지고 민족신앙 및 종교의 중요성과 독창성을 고찰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조선무속고』는 근거 문헌의 원문 제시, 서두 개괄, 출전, 주명, 주해와 세주, 안설(按說)이 곁들어져 있어서 [사료](/topic/사료) 모음집으로서의 가치를 넘어 한국 종교의 근원과 전래 과정 및 정체를 밝히고 있는 일종의 한국 종교사 백과[사전](/topic/사전)과도 같은 커다란 가치를 지닌다.
의의『조선무속고』 출간 시기는 ‘민족신앙 다루기’의 정점이었다. 이는 20세기 인문학자들이 추구해 온 서구 중심의 지배담론을 명문화한 오리엔탈리즘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민중 문화에 비문명적이라는 [멍에](/topic/멍에)를 씌운 편협한 지식층의 문화보기에서 탈피하려는 노력이었다. 민중 신앙, 정신, 얼이 함께 어우러진 ‘무속’은 논의 그 자체로서 ‘민족 문화 바로 세우기’의 필연적 요소로 등장하였으며, 식자들의 보편적 인식체계 속에 자리 잡게 되었다. 무속을 밖에서 유입된 외래 종교들과 달리 이 땅에서 자생적으로 자라온 민족종교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민족사와 종교 문화의 독창성을 찾고자 한 것이었다. 이 시기에 이능화는 최남선, 손진태, 송석하, 임석재 등과 함께 한국 민속학을 태동시키는 데 선두주자로 활동하면서 문화민족주의적 입장에서의 무속 논의를 본격화시켰다. 즉 민족 문화 기원에 관한 서술은 역사 재인식으로부터 출발한 것이고, 식자들은 산발적으로 남겨진 기록을 최대한 발굴하고 이를 객관적 실증주의 입장에서 체계화하여 민족 문화의 틀을 회복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한국 무속이 처음으로 학문적 대상이 된 것은 식민지 지배담론의 틀 속에서 이루어진 아유카이 후사노신(鮎貝房之進), 도리이 류조(鳥居龍藏),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 등의 연구에서이다. 그러나 『조선무속고』는 『살만교차기( 薩滿敎箚記)』와 함께 문헌고증학에 입각한 최초의 한국인 연구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능화는 민족 문화 계몽 및 교육 분야에 활약하면서 큰 성과를 올렸을 뿐만 아니라 민족학 발전을 위한 학술 연구 분야에서도 큰 업적을 남겼다. 그는 민족신앙 무속을 위시하여 역사, 불교, 여성, 민속 등을 심층적으로 조사 연구하여 명실 공히 민족학 연구의 금자탑을 마련하였다. 특히 1927년에 발간한 『조선무속고』는 민족 고유 신앙 및 종교 관련의 문헌적 기록과 자료를 집대성한 것으로서 한국 무속학의 [초석](/topic/초석)을 다지는데 한몫 하였다. 한편 이능화의 무속 연구는 1915년에 발표된 『조선인과 각 종교』, 1918년에 저술된 『조선불교통사』 하편 등에서 알 수 있듯이 긴 시간에 걸쳐 이루어지고 민족신앙 및 종교의 중요성과 독창성을 고찰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조선무속고』는 근거 문헌의 원문 제시, 서두 개괄, 출전, 주명, 주해와 세주, 안설(按說)이 곁들어져 있어서 [사료](/topic/사료) 모음집으로서의 가치를 넘어 한국 종교의 근원과 전래 과정 및 정체를 밝히고 있는 일종의 한국 종교사 백과[사전](/topic/사전)과도 같은 커다란 가치를 지닌다.
민족문화사한국민속대사전 1한국민속사전편찬위원회1991
풀빛우리 무당 이야기황루시2000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