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설화

한국무속신앙사전
길고 가는 실모양의 흰 꽃잎이 [가지](/topic/가지) 전체에 달려 있는 모습의 지화. 이것은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사례로서, 지역에 따라 그 명칭이 다르다. 황해도에서는 서리화[雪裏花], 서울·경기 지역에서는 눈설화꽃[雪花], 그리고 전라도에서는 국수발이라고 부른다.
definition
길고 가는 실모양의 흰 꽃잎이 [가지](/topic/가지) 전체에 달려 있는 모습의 지화. 이것은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사례로서, 지역에 따라 그 명칭이 다르다. 황해도에서는 서리화[雪裏花], 서울·경기 지역에서는 눈설화꽃[雪花], 그리고 전라도에서는 국수발이라고 부른다.
mp3Cnt
0
wkorname
최진아
정의길고 가는 실모양의 흰 꽃잎이 [가지](/topic/가지) 전체에 달려 있는 모습의 지화. 이것은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사례로서, 지역에 따라 그 명칭이 다르다. 황해도에서는 서리화[雪裏花], 서울·경기 지역에서는 눈설화꽃[雪花], 그리고 전라도에서는 국수발이라고 부른다.
내용서울•경기굿에서 눈설화는 천궁맞이굿, 진오귀굿, 경사굿 등에 사용되며 [대문](/topic/대문) 앞이나 [조상상](/topic/조상상) 한 쪽에 진설된다. 서울굿에서는 시루편을 켜켜이 쌓아 올린 고임이나, 시루편 조각에 지화를 꽂는 게 일반적이다. 일부 대감상에 올려진 시루에는 눈설화를 꽂기도 하나, 통시루에 이 꽃을 꽂는 게 일반적인 황해도와는 비교가 된다.

황해도 무속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굿에 사용되며, 시루나 쌀불기에 꽂아둔다. 황해도굿에서는 모든 [시루떡](/topic/시루떡)에 서리화를 꽂아둔다. 시루에는 적게는 한 개에서 많게는 여러 개를 꽂는 게 일반적이다. 시루에 지화를 꽂는 형태는 크게 두 [가지](/topic/가지)이다. 서리화만 꽂거나 혹은 그 해당 신격을 상징하는 지화나 [고깔](/topic/고깔)을 추가한다. 즉, 육고기를 좋아하지 않는 소당을 위한 제물에는 서리화에 고깔이 추가된다. 쌀불기는 제기에 공양미라 불리는 쌀이 담긴 것으로, 여기에 꽂는 지화로는 [수팔련](/topic/수팔련)과 서리화가 있다. 이 쌀이 담긴 제기에 수십 개의 서리화를 한가득 꽂아두기도 하는데, 이는 서울굿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전라도 무속에서 국수발은 [넋당석](/topic/넋당석)의 구성 요소 중의 하나로서, 넋당석의 기본 틀인 [소쿠리](/topic/소쿠리)나 종이 상자 양쪽 옆에 세워, [기둥](/topic/기둥)역할을 한다. 일종의 신간의 기능을 한다. 황해도에서 모든 시루에 이것을 꽂는 이유는 그 기능을 신간으로 보고 있다는 점과 일맥상통한 것으로 보인다. 즉, 신이 자신에게 부여된 제물에 내려올 때 이것을 타고 내려오는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이다.

서리화는 뿌리 없이 눈 위에 피어난다고 믿어지는 상징적인 꽃이다. 지화는 신에게 정성을 보이기 위해 장식되는 것으로서, 특히 황해도에서는 신에게 가장 중요한 제물인 떡에 꽂아진다는 점에서 신을 즐겁게 해 주는 오신의 기능을 한다. 황해도굿에서는 무당이 서리화를 들고 의례의 일부를 진행하기도 하는데, 맑고 깨끗한 의미를 지니는 서리화를 통해 제장이 정화(淨化)되기를 바라는 의미를 지닌다. 즉, 꽃에 내재된 정화의 기능이 의례 속에서 발현된다고 말할 수 있겠다. 또한 서리화는 신이 타고 내려오는 신간의 기능을 한다. 전라도의 국수발은 황해도와 서울•경기지방과는 그 쓰임새가 전혀 다르지만, 신간으로 인식된다는 점에서, 그 기능면에 있어서는 일정한 공통점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무화연구 (1) (김태연, 한국무속학 3, 한국무속학회, 2001)
한국의 굿 (하효길 외, 도서출판 民俗苑, 2002)
서울굿의 신화 연구 (양종승·최진아, 한국무속학 5, 한국무속학회, 2002)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경상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무·굿과 음식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최영](/topic/최영)[장군](/topic/장군)당굿 굿춤의 유형, 기능 그리고 특징 (김영란, 최영장군 당굿 연구, 민속원, 2008)
최영장군당굿의 [제물](/topic/제물)과 지화에 반영된 신의 위계와 신격I (최진아, 최영장군 당굿 연구, 민속원, 2008)
무속의 물질문화 연구 (최진아,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9)
형태눈설화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대나무와 흰 종이가 필요하다. 대나무는 대략 그 길이가 40~70㎝내외로 하여, 살대처럼 가늘게 자른 것이 준비되어야 한다. 종이는 온지를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 번 접은 다음 그 접은 선을 따라 자르면 긴 직사각형 모양이 된다. 자른 종이의 그 폭이 좁은 면을 가로로 놓은 상태에서, 가로로 두 번 접은 다음 손으로 잡고 있는 종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일정한 간격으로 가위질을 한다. 그리고 이것을 펴서, 대나무 살대에 감아 나간다. 완성된 눈설화는 ‘V’를 반복해서 세로로 일렬로 세워 놓은 모습이다.
巫俗信仰中,为虔诚敬神而用于装饰的用纸张制作的花。

在巫俗仪礼中,“纸花”是十分重要的神花,又称神明花,巫花。用纸花把巫祭场装饰得华丽炫美,除了有娱神的意图之外,还有令神入座花丛接受巫祭的目的。可见,纸花与神下凡后暂时停留的地方以及娱神有关。纸花种类繁多,也有着多样功能,其中最主要的是,神下凡暂时坐定的功能和娱神的功能。

韩国巫俗信仰中,纸花的用途有如下几种。“乞粒花”多用于黄海道“万口大择巫祭”等大规模巫祭中使用的纸花。因巫师在乞粒神附体之后跳舞显本领时酷似舞童,因此乞粒花还被称作舞童花。乞粒花是专为举行巫祭而制作的一次性纸花。

“菊花团”是东海岸地区巫祭中摆放在祭坛的一种纸花,外形为饱满的半圆形菊花。

“大丽花”(音)是一种想象中的纸花,在“首尔巫祭”和“东海岸巫祭”中将其陈设在巫祭祭案。巫俗信仰中的说法是,大花可以吓跑鬼神,而“大丽花”有大花朵,因此具有驱逐杂鬼杂神的功能。

“雪里花”(音)被认为是长在雪中的无根的花。在“黄海道巫祭”的部分环节,巫师手持雪里花进行仪礼,因雪里花代表洁净,希望以此净化祭仪场所。

“祖先花”是在巫祭中为祭拜本家,外家,婆家(或岳家)的祖先而陈设的一次性纸花。“水波莲”是在大型巫祭或特别巫祭中使用的纸花,属尺寸最大,主要在首尔,京畿道以及黄海道地区使用。水波莲并非真实存在的植物。在韩国的佛教仪礼和巫俗仪礼中,水波莲的使用比重较高。

“白莲花”是与水波莲一起用于装饰的纸花,主要装饰七星帝释祭案等。在举行仪礼时也用作持物。
Jihwa, or paper flowers, are ornaments used for expressing devotion to the gods in a shamanic ritual.

Paper flower ornaments, also called sinmyeongkkot (spirit flower) or muhwa (shamanic flower), are considered sacred, on display for the purpose of entertaining the gods, of creating a venue where the deity will be surrounded by flowers while receiving the ritual, and they come in many different kinds with different uses and meanings.

Geolliphwa (collector god flower) is used in bigscale rituals like mangudaetaekgut, observed in Hwanghae Province to pray for longevity in the elderly. It is also called mudonghwa, or child dancer flower, because the way the shaman dances when possessed by the Collector God resembles a child. Geolliphwa is prepared for one-time use in a ritual.

Deombulgukhwa (chrysanthemum bundle) is a type of paper flower offered on the ritual table in the east coast regions, an abundant bundle of chrysanthemums in the shape of a half-sphere.

Darihwa is a paper rendering of an imaginary flower, offered on ritual tables in Seoul and in the east coast regions. It is believed that large flowers scare away ghosts, and darihwa’s huge blossoms contribute to this function.

Seorihwa is also an imaginary flower, believed to blossom on snow, without roots. In shamanic rituals in Hwanghae Province, the shaman holds a seorihwa blossom in her hand as she officiates parts of the ritual, an attempt at purifying the venue with a flower considered clean and pure.

Josanghwa (ancestor flowers) are paper flowers offered on the ritual table to invite the ancestors from both the father’s and the mother’s side of the family, and also the in-laws.

Supallyeon is the largest type of jihwa, made only for special rites observed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and in Hwanghae Province. It is also an imaginary flower, and is featured prominently in Korea’s Buddhist and shamanic rituals.

Baengnyeonhwa is a type of flower used sometimes as part of supallyeon, or placed on the ritual table for the goddess of childbearing [[Chilseong](/topic/SevenStars)](/topic/Chilseong)jeseok.
Jihwa es el término que se refiere a las flores de papel que sirven como ornamentos para expresar la devoción a los dioses en los rituales chamánicos.

Las flores de papel que se llaman también como sinmyeongkkot o muhwa se consideran sagradas, presentadas con el propósito de entretener a los dioses y decorar el lugar del ritual donde las deidades podrán ser rodeadas por flores mientras que reciban un ritual. Las jihwa tienen muchas diferentes formas, usos y significados. La flor del dios recolector llamada geolliphwa se utiliza en los rituales a gran escala como el mangudaetaekgut que se realiza en la provincia de Hwanghae para rezar por la longevidad de los mayores. Dicha flor tiene el otro nombre de mudonghwa que significa “flor del niño bailarín”, ya que el chamán efectúa una danza cuando él está poseído por el dios recolector que actúa como un niño.

Las geolliphwa se preparan para un solo uso en un ritual. Un ramo de crisantemos llamado deombulgukhwa es un tipo de flores de papel ofrecido sobre la mesa ritual en las regiones costeras que se encuentran en el este del país, un racimo de crisantemos en forma de media esfera.

La darihwa es un papel plegado en forma de una flor imaginaria, ofrecida en la mesa ritual en las áreas de Seúl y las regiones que están a lo largo de la Costa Este. Se cree que las grandes flores atemorizan a los fantasmas, y su floración enorme contribuye a esta función. La seorihwa es también una flor imaginaria, se cree que florece sobre la nieve sin raíces. En los rituales chamánicos en la provincia de Hwanghae-do, el chamán lleva una seorihwa en la mano en algunas partes del ritual, lo que se hace para purificar el sitio del ritual con una flor considerada limpia y pura.

La flor ancestral llamada josanghwa hace referencia a una flor de papel ofrecida sobre la mesa ritual para invitar a los antepasados paternos y maternos y también los ancestros de cónyuge. Esta flor de papel es de un solo uso.

La supallyeon es la más grande de jihwa, hecha solamente para los ritos especiales que tienen lugar en las áreas de Seúl y las regiones de la provincia de Gyeonggido, y la de Hwanghae-do. La baengnyeonhwa es un tipo de flor utilizada a veces junto con la supallyeon en la mesa ritual para la diosa del parto, [[Chilseong](/topic/SieteEstrellas)](/topic/Chilseong)jeseok, por otro lado, dicha flor de papel sirve como moneda chamánica en algunos procedimientos de un ritual.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