넋당석

한국무속신앙사전
넋당석
씻김굿에서 망자를 저승으로 보낼 때 그 영혼을 싣고 간다고 여기는 무구.
definition
씻김굿에서 망자를 저승으로 보낼 때 그 영혼을 싣고 간다고 여기는 무구.
mp3Cnt
0
wkorname
이경엽
정의씻김굿에서 망자를 저승으로 보낼 때 그 영혼을 싣고 간다고 여기는 무구.
내용넋당석은 넋과 당삭을 합한 말이며 넋을 담아 두는 용기로 사용된다. ‘신[광주리](/topic/광주리)’ ‘용선’, ‘[반야용선](/topic/반야용선)(般若龍船)’ 등으로도 부른다. 신광주리는 ‘신(神)’과 용기를 뜻하는 ‘광주리’를 합한 글자이고, 용선(龍船)은 영혼을 싣고 가는 배를 지칭하고, 반야용선은 불교적인 색채를 띠고 있는 용어라고 할 수 있다.

넋당석은 망자의 영혼을 싣고 가는 운반구라고 여긴다. 씻김굿의 진행 절차 속에서 보면 크게 두 [가지](/topic/가지) 기능을 지닌다. 초가망석과 넋올리기를 한 이후에 청배한 넋을 모셔두는 휴식처로 여기며, 길닦음을 할 때 넋을 저승으로 싣고 가는 배[船]라고 해석된다. 무녀는 넋올리기를 할 때 넋을 넋당석에 담아 춤추기도 하며, 길닦음을 할 때 ‘질베’ 위로 이리저리 밀고 다니며 망자의 저승길을 닦아 준다. 특히 길닦음을 할 때 넋당석이 가장 중요하게 사용된다. [길베](/topic/길베) 양쪽을 유족들이 팽팽하게 잡아당긴 후, 무녀가 그 위로 넋당석을 왕복하면서 밀고 다닌다. 이때 친지와 이웃 사람들이 넋당석이 지나는 길 위에 노잣돈을 깔아준다. 무녀는 질베 위를 왕복하면서 망자를 위해서 길을 닦는 내용, 망자의 넋이 고개를 넘어 길을 가는 과정, 다리를 건너는 과정, 쉬어가는 과정, 하직, 질베 거두기, 망자 여의기 등의 무가를 부른다.

넋당석은 무속신앙의 타계관(他界觀)을 보여 주는 무구이다. 이승과 저승의 경계를 길베로 상징하고, 넋당석을 타고 그 길 또는 다리를 건너 저승에 간다는 저승타계관이 담겨 있다. 또한 저승이 물 건너에 자리하고 있어서, 배 모양의 용선을 타고 저승에 간다는 해양타계관이 담겨 있다.
참고문헌씻김굿 (이경엽, 한얼미디어, 2004)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전라남도·전라북도·제주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무속의 물질문화연구 (최진아,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9)
형태대로 엮은 석작에 30㎝ 가량 되는 받침대를 세우고 그것을 연결하여 가로대로 묶는다. 양면에 4명씩 오린 팔보살을 삼각 [지붕](/topic/지붕)처럼 얹어 씌우면 넋당석이 완성된다. 지역에 따라서는 넋 형상을 오린 [한지](/topic/한지)를 얹어 씌운다. 받침대 위에는 작은 지화(紙花)와 지등(紙燈)을 장식한다. 진도를 비롯한 호남 서부에서는 세로 받침대에 국수발을 세우고 지전을 매단 형태로 넋당석을 만든다. 또한 진도에서는 망자가 먹을 식량의 의미로 석작에 쌀을 담기도 한다.
넋당석
64936
넋당석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