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칼

한국무속신앙사전
신칼
무당이 굿을 할 때 사용하는 중요한 무구.
definition
무당이 굿을 할 때 사용하는 중요한 무구.
mp3Cnt
0
wkorname
이정재
정의무당이 굿을 할 때 사용하는 중요한 무구.
Sinkal es el término que hace referencia a un cuchillo chamánico que sirve como un accesorio utilizado por un chamán en los rituales.

El sinkal tiene múltiples formas, nombres y funciones. El cuchillo chamánico puede ser de tamaño grande o pequeño; con o sin mango; recto o curvilíneo; con hoja fija o flexible; con filo de acero o madera, lo que se refleja es que los sinkal varían según la región o el chamán que lo utiliza.

Los nombres específicos de navajas divinas pueden ser categorizados de acuerdo con la forma, la deidad que uno representa o la función. Primero el cuchillo en forma de luna llamado woldo, el cuchillo en forma de media luna llamado eonwoldo, cuchillo del dios guardián llamado sinjangkal, el cuchillo de la siete estrellas llamado chilseongkal, el cuchillo del dios comandante llamado janggunkal y el cuchillo del dios de los miembros muertos de la familia real llamado byeolsangkal, son los nombres que reflejan las deidades que los chcullos representan. Los nombres que reflejan la función de una navaja chamánica incluyen el cuchillo de la impureza llamado bujeongkal, el que se tira hacia el suelo como la fase inicial y la final de un ritual para averiguar si el dios se ha marchado ya o si un espíritu maligno se ha quitado; y el cuchillo del mes llamado ipkal, el que un chamán levanta entre sus labios durante la realización de un ritual. Los tamaños de sinkal también varían pero no miden generalmente más de 1, 5 metros, la mayoría de los cuchillos son de entre 30 y 40 centímetros.

El sinkal tiene muchos usos en los procedimientos de rituales, sin embargo su función más importante es servir como un símbolo de la autoridad del chamán y los dioses, al mismo tiempo que cada navaja divina representa el propio dios venerado. Se cree que los cuchillos sagrados pueden mantener alejada la mala fortuna y brindar la buena fortuna. En un procedimiento del ritual en cuanto a erigir un palo llamado saseulseugi, el sinjangkal se utiliza junto con el tridente llamado samjichang, lo que indica que el sinkal lleva la santidad de los dioses. Las navajas divinas se utilizan también como accesorios en la danza chamánica y como medios de adivinación.
巫师进行巫术时使用的刀,是[巫祭](/topic/巫祭)用具中的一种。

“神刀”具有多种形态,名称和功能。根据巫师和地区的不同,神刀的种类和形态也极为不同,有大有小,有的带柄有的无柄,还分为直线型和曲线型,刀盘断开的环型和固定型以及铁刀和木刀等。

根据刀的形状和神性,神刀的名称也极其多样。根据形状,有月刀,偃月刀,巫刀,神刀和神命刀;根据刀的象征意义,又分为大神刀,大巫神刀,[不净](/topic/不净)刀,神将刀,[七星](/topic/七星)刀,嘴刀,将军刀,[军雄](/topic/军雄)刀及别星刀等。月刀和偃月刀得名于其外形呈半月或新月形,巫刀,大神刀和大巫神刀为巫师之刀的含义。神将刀,七星刀,将军刀和别相刀则象征着各自所对应的神。不净刀在巫术开始和结束时投掷,以占卜神是否出去或恶神是否被驱赶。嘴刀是巫术时咬在嘴里的刀。大小和长度根据情况而不同,通常包括刀柄的长度在30 ~ 40厘米至1.5 米的范围内。

神刀的种类和用途十分多样,通常象征巫师和祭臣的威严,同时也象征着各神。另一方面,神刀除厄招福,自身也意味着神。在竖枪的同时使用[三叉枪](/topic/三叉枪)和神将刀意味着神的神圣性蕴含于刀内。此外,神刀还被用作跳舞和占卜的工具等。
Sinkal, or divine knife, is a prop used by a shaman when staging a ritual.

Sinkal comes in many shapes, names, and functions.

Its range of size or shape includes small or large; with handle or without; straight or curvilinear; with fixed blade or a bending blade; with steel blade or wooden blade.

Other terms for the shaman’s knife include mukal, sinmyeongdo, daesinkal, and daemusinkal. Specific names of the knives can be categorized by shape, by the deity that they represent, or by function. The first includes woldo (moon knife) and eonwoldo (half-moon knife). Sinjangkal (knife of the guardian god), chilseongkal (knife of the [Seven Stars](/topic/SevenStars)), janggunkal (knife of commander god), and byeolsangkal (knife of deceased royalty god) are names that reflect the deities that the knives stand for. Names that reflect the function of a knife include bujeongkal (impurity knife), which is thrown to the ground in the beginning and ending of a ritual to tell if the god has left or if the evil spirit has been chased away; and ipkal (mouth knife), which the shaman holds between her lips during a ritual. Sizes also vary, but are generally not longer than 1.5 meters, most around 30 to 40 centimeters.

Sinkal has many uses in the ritual process, but most importantly, serves as a symbol of the authority of the shaman and the gods, while representing the worshipped god. The knives are believed to cut away bad fortune and bring in good fortune. In the stick-erecting process (saseulseugi) of a ritual, sinjangkal is used along with the three-pronged spear samjichang, signifying that the knife is sacred. Sinkal is also used as a prop in shamanic dance and as a tool for divination.
내용신칼은 다양한 형태와 명칭 및 기능이 있다. 큰 것과 작은 것, 자루가 있는 것과 없는 것, 직선형과 곡선형, 칼목이 부러진 고리형과 고정형, 쇠칼과 나무칼 등 지역과 무당에 따라서 종류와 형태가 다르다. 재료는 쇠, 스테인리스, 신주에 스테인리스도금, 알루미늄, 단동나무 등을 사용한다.

신칼의 명칭은 칼의 모양과 칼의 신성에 따라 두 종류로 나뉜다. 전자는 월도, [언월도](/topic/언월도), 칼, 무칼, 신칼, 신명도이고, 후자는 [대신칼](/topic/대신칼), 대무신칼, 부정칼, 신장칼, 칠성칼, 입칼(입에 무는 칼), [장군](/topic/장군)칼, 군웅칼, 별상칼 등이다.

월도와 언월도(偃月刀)는 생긴 모양이 반달이나 초승달 같아서 ‘언(偃)’자를 사용하여 붙여진 명칭이고, 무칼은 무당이 사용하는 칼이라는 뜻이다. 신장칼, 칠성칼, 장군칼, 별상칼 등은 각각 해당 신들을 상징하는 의미를 지닌 칼이다. 대신칼, 대무신칼은 무당의 칼이라는 의미이며 진오귀에서 도령을 놀 때 주로 사용한다. 부정칼은 굿을 시작할 때와 끝날 때 칼을 던져 신의 나감의 여부 혹은 악신의 내쫓음 여부 등을 점친다. 입칼은 굿을 할 때 입에 무는 칼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의정부시 최옥순의 경우는 칼날과 손잡이 길이가 각각 12.5㎝, 7.5㎝, 폭이 1㎝의 것으로 붉은색과 푸른색의 수술이 달려있다.

칼의 크기와 길이 역시 경우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칼날과 자루를 합한 길이가 30~40㎝의 것에서 1.5m 길이의 범위에 든다.

신칼은 대체로 대신칼, 칠성칼, 신장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세 종류의 칼은 지역에 따라 위의 각 명칭으로 불린다.

![무속신앙 신칼](/upload/img/20170106/20170106162959_t_.jpg)

신장칼은 총 길이 75㎝의 것에서 1.5m에 이르는 것까지 다양하다. 75㎝의 경우 칼날과 손잡이가 각각 46㎝, 29㎝ 정도이다. 이 칼은 장군칼, 별상칼, 군웅칼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사실을 세울 때 주로 사용한다. 생긴 모양에 따라 월도 혹은 언월도라고 부른다.

칠성칼은 총길이 66.5㎝, 칼날 길이 44.5㎝, 칼날 폭 3㎝, 손잡이는 목재로 되어있고 12㎝ 길이이며 쌍으로 소장하고 있다.

대신칼은 칼과 손잡이가 모두 쇠로 만들어졌다. 칼의 총 길이는 대체로 30㎝이다. 칼날과 손잡이는 각각 20㎝, 10㎝ 정도이다.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손잡이에는 [한지](/topic/한지)를 말아 수술을 달아놓았는데 길이는 약 35㎝ 정도이다. 이를 신밥, 신수술, 신칼줄 등으로 부른다.

신칼은 그 종류와 쓰임새가 매우 다양하나 대체로 무당과 제신들의 위엄을 상징하며, 동시에 각 신을 상징하기도 한다. 또 액을 제거하고 복을 불러들이며 그 자체로 신을 의미한다. 사슬을 세울 때 [삼지창](/topic/삼지창)과 함께 신장칼을 사용하는 것은 신의 신성성이 칼에 깃들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 밖에 춤을 추는 도구, 점을 치는 도구 등으로도 사용된다.
참고문헌한국무속연구 (김태곤, 집문당, 198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topic/사전) 1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무속의 물질문화연구 (최진아,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9)
조선총독부朝鮮巫俗の硏究 上赤松智城ㆍ秋葉隆1937
신구문화사제주도무속자료사전현용준1980
민속원제주도무가본풀이사전진성기1991
현용준박사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편집삼신신앙의 기원과 성격이수자1992
제주도 무속신화-열두본풀이 자료집문무병1998
한국역사민속학회한국문화에 나타난 불의 다층적 의미와 의의이수자2000
제주도 무속과 서사무가장주근2001
제주도ㆍ제주전통문화연구소제주도 큰굿자료2001
집문당제주도 무속을 통해서 본 큰굿 열두거리의 구조적 원형과 신화이수자2004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이용옥 심방 <본풀이>2009
칠성검
64901
칠성검
장군칼
64898
장군칼
대신칼
64893
대신칼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