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대

한국무속신앙사전
신장대
주로 충청도 지역의 [법사](/topic/법사)들이 사용하는 신간(神竿)의 일종으로, 신이 강신하는 무구이면서 신과 접신(接神)하는 도구이다.
definition
주로 충청도 지역의 [법사](/topic/법사)들이 사용하는 신간(神竿)의 일종으로, 신이 강신하는 무구이면서 신과 접신(接神)하는 도구이다.
mp3Cnt
0
wkorname
시지은
정의주로 충청도 지역의 [법사](/topic/법사)들이 사용하는 신간(神竿)의 일종으로, 신이 강신하는 무구이면서 신과 접신(接神)하는 도구이다.
내용신간은 신장대, 성주대, 시왕대, 서낭대, 손대, 신장대 등 다양하게 있으며 그 길이에 따라 장간(長竿)과 단간(短竿)으로 나누기도 한다. 장간은 사람의 키보다 큰 신간으로, 성주대는 굿이 행해지는 경우에 [마당](/topic/마당)에 세워두는 신간이다. 시왕대는 제주도에서 망자천도굿인 시왕굿을 할 때 세워두는 신간이고, 서낭대는 [마을](/topic/마을)의 수호신이 내리는 신간으로 그 자체가 [서낭신](/topic/서낭신)이 좌정하는 신체(神體)로 상징된다. 단간인 손대는 망자의 식구들이 망자의 혼이 내리기를 바라며 잡는 신간이며, 손대와 더불어 단간에 속하는 신장대는 특히 충남 지역의 무속의례에서는 가장 중요한 무구로 접신(接神)의 도구이다. 신장은 신령을 일컬으며 신장대가 떨리면 신장님이 내리는 것으로 상징되는데, 무당은 의례의 마지막에 신장대를 잡고 신장을 불러 신수를 묻거나, 잡신을 혼내고 쫓거나 가두는 기능을 한다. [병굿](/topic/병굿)을 하거나 재수굿을 하거나 무당은 언제나 신장대를 통해서 신을 통역하는 모든 역할을 다 한다. 그렇기 때문에 신장대는 무속의례를 할 때 가장 중요한 무구(巫具)라 할 수 있다. 아픈 사람을 낫게 하는 것, 모든 수비들과 동토ㆍ동역들을 물리치는 것이 이 신장대이다.

신간은 몸에 신이 내리지 않는 세습무계에서 신을 맞아들이는 유일한 무구이기 때문에 세습무계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적인 무구라고 할 수 있다. 신장대는 특히 주로 충청지역의 경문을 읽는 [법사](/topic/법사)들이 사용하며 형태와 기능적인 면에서 다른 지역의 신간과 차이가 난다. 한편 풍물굿에서는 [영기](/topic/영기)(令旗)ㆍ[농기](/topic/농기)(農旗)와 같은 깃발이 위엄과 신성성을 지니는데 그 기능과 의미에서 무속에서 사용하는 신간과의 비교논의가 필요하다.
참고문헌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14-무의식편 (문화재관리국, 1983)
[조선무속의 연구](/topic/조선무속의연구) (赤松智城·秋葉隆 共著, 심우성 옮김, 동문선, 1991)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서울시ㆍ경기도ㆍ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충청도 (국립문화재연구소, 민속원, 2005)
무의식에 사용되는 무구 연구 (최진아, 국립민속국악원, 민속악 논문집 7집, 2007)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전라남도ㆍ전라북도ㆍ제주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형태신장대는 나무에 종이 술을 풍성하게 달아 만든다. 평상시에 신당의 신단 위 쌀이 담긴 양푼에 놓아두었다가 법사가 경문을 읽으면서 의례를 진행할 때 사용한다. 보통 50~60㎝ 높이로 만드는데, 강원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한다.

충청도의 경우 주로 대나무에 하얀 [한지](/topic/한지)를 여러 가닥 길게 오려 몸통 부분에 붙이고 그 위에 하얀 한지를 가늘게 잘라서 부슬부슬하게 붙인다. 신장대는 머리, 갑옷, [치마](/topic/치마) 혹은 머리, 몸통, 다리로 구분하는데 각각 가장 윗부분, 술이 길게 내려진 부분, 손잡이를 가리킨다. 이렇게 만든 신장대는 흡사 청소도구인 먼지떨이와 유사하다. 강원 일부 지역의 신장대는 충청도의 신장대보다 키가 조금 작고, 참나무ㆍ[물푸레나무](/topic/물푸레나무) 등을 사용하며 부슬부슬한 머리 부분이 없고, 가늘게 자른 한지도 더 적게 붙여 부피 면에서도 차이가 난다.
조은문화사한국구비문학대계 6-7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5~1986
집문당한국무가집 2김태곤1992
신장대
64938
신장대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