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미가면

한국무속신앙사전
동해안 지역의 무속적 [마을](/topic/마을)굿인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에서 [탈굿](/topic/탈굿)을 연행할 때 사용되는 종이가면. 할미탈이라고도 부르는데 탈굿 속에서 할미 역할을 맡는 화랭이가 쓴다. 본능적이며 축제화된 할미를 형상화하는데 할미가면은 중요한 기능을 맡는다.
definition
동해안 지역의 무속적 [마을](/topic/마을)굿인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에서 [탈굿](/topic/탈굿)을 연행할 때 사용되는 종이가면. 할미탈이라고도 부르는데 탈굿 속에서 할미 역할을 맡는 화랭이가 쓴다. 본능적이며 축제화된 할미를 형상화하는데 할미가면은 중요한 기능을 맡는다.
mp3Cnt
0
wkorname
허용호
정의동해안 지역의 무속적 [마을](/topic/마을)굿인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에서 [탈굿](/topic/탈굿)을 연행할 때 사용되는 종이가면. 할미탈이라고도 부르는데 탈굿 속에서 할미 역할을 맡는 화랭이가 쓴다. 본능적이며 축제화된 할미를 형상화하는데 할미가면은 중요한 기능을 맡는다.
巫俗祭礼中使用的假面。

东海岸地区的别神巫祭或济州岛的[令监戏](/topic/令监戏)均会进行假面戏,此时使用的假面种类较多。举行“[牛戏](/topic/牛戏)巫祭”时使用牛的假面,举行祛病祭时也会使用假面,此时使用的假面称为医术假面。其中具代表性的有别神巫祭和令监戏使用的[东海岸别神巫祭](/topic/东海岸别神巫祭)婆婆假面,东海岸别神巫祭和济州岛令监戏的令监假面等。

婆婆假面又称为婆婆面具,由扮演婆婆角色的花郎(男巫)佩戴。婆婆假面是在白色马粪纸上画红色嘴唇,眉毛,耳朵等,眼睛部分为镂空,并且为流泪状。假面上的眼角下垂,嘴巴歪斜,脸颊上有较多的黑斑和红斑。由于仪式结束后婆婆假面会被烧掉,因此每次举行祭礼时都会重新制作。

东海岸别神巫祭的令监假面指女巫和搏数(音)中的一人为扮演剧中人物而佩戴的面具。剧中令监与“两班”通用。在白底上用黑色画出眼睛,眉毛,胡须,用红色画出嘴唇。

济州岛令监戏中的令监假面指小巫为扮演令监而佩戴的面具。在窗户纸上简单地穿出眼睛,鼻子,嘴巴,将假面的上下部分剪成细条以表示头发和胡须。此类假面也会使用较薄的碎布制作。

京畿道[杨州牛戏巫祭](/topic/杨州牛戏巫祭)和[黄海道平山牛戏巫祭](/topic/黄海道平山牛戏巫祭)中使用牛假面。牛假面不仅有牛头,还有牛身,为全身假面形式。黄海道平山牛戏巫祭的牛假面可容纳一个人,而杨洲牛戏巫祭的假面则可容纳五至六个人。

在举行驱逐病魔的祛病祭时也会使用假面。此时,人们相信假面能够招来守护健康的保护势力,驱除作为疾病元凶的恶鬼。例如,东海岸地区的狂人祭即为治疗疯人疾病的治病祭,女巫会戴着引发精神病的女鬼假面,进行驱除女鬼的巫术。
Mugeukgamyeon is a term that refers to the masks used in a shamanic ritual.

The village tutelary spirit ritual byeolsingut of the east coast regions and the goblin healing ritual yeonggamnori of Jeju Island accompany performances that make use of many different masks, while the cattle ritual sonorigut features a cow mask. Masks are also worn in illness rituals (byeonggut).

Byeolsingut of the east coast regions feature a grandmother mask called halmigamyeon, worn by the male shaman (hwaraengi) in the role of the grandmother. The mask is made of white cardboard painted with crooked red lips, eyebrows and ears, and tears falling from eye holes that slant outward, the face covered with red and black spots. This mask is burned when the performance is over, so new masks are made for each ritual.

Another mask that makes an appearance in the east coast ritual is the old man mask (yeonggamgamyeon), worn by the officiating shaman or a male shaman in the role of the old man, respresenting an aristocrat. Black eyes, eyebrows and mustache are painted on a white mask, with red lips.

In the goblin healing ritual of Jeju Island, a mask of the same name is worn by the somu (young courtesan) character to disguise them as yeonggam, an old goblin. It is a simple paper or cloth mask with the eyes, nose and mouth cut out, and the top and bottom parts cut into thin strips to render the hair and beard.

In the cow rituals (sonorigut) of Yangju, Gyeonggi Province, and of Pyeongsan, Hwanghae Province, cow masks are featured, which are full-body mask suits that vary in size, from the one-person suit of the Pyeongsan ritual to the enormous suit for five or six people of the Yangju ritual.

In illness rituals (byeonggut), the mask is believed to invite healing forces and to chase away evil spirits that cause diseases, and they are called healing masks (uisulgamyeon). In the madman ritual (gwangingut) of the east coast regions, the mask of a female ghost that causes madness is worn to chase ghosts away.
Mugeukgamyeon es un término que se refiere a las máscaras utilizadas en los rituales chamánicos.

El ritual para los espíritus tutelares del pueblo en las regiones de la costa este que se denomina byeolsingut y el ritual de curación por duendes en la isla de Jeju-do que se llama yeonggamnori acompañan la actuación que hacen uso de muchas máscaras diferentes, mientras se utiliza una máscara de vaca en el ritual del ganado llamado sonorigut. Las máscaras se llevan también en los rituales de curación llamados byeonggut.

En el byeolsingut que tiene lugar en las regiones de la costa este, se utiliza la máscara de abuela llamada halmigamyeon, llevada por el chamán masculino conocido como hwaraengi que juega el papel de la abuela. Para hacer la máscara se necesita un cartón blanco en el que se dibujan los labios torcidos, dibujados rojos, cejas y orejas, así como se perforan los ojos rasgados hacia abajo, en general la máscara tiene la forma de una cara bañada en lágrimas con las manchas rojas y negras.

Dicha máscara se quema al finalizar la actuación de máscaras, pues se elaboran las máscaras nuevas para cada ritual. Otra máscara que aparece en el ritual de la costa este es la máscara de anciano llamada yeonggamgamyeon, llevada por el chamán oficiante o un chamán masculino que juega el papel del anciano, representando un aristócrata.

La citada máscara tiene los ojos negros, un par de cejas, un bigote pintado con los labios rojos. En el ritual de la curación por duendes en la isla de Jeju-do, una máscara del mismo nombre se lleva por el chamán que juega el papel de un cortesano joven llamado para distinguirlo como yeonggam. Es una simple máscara de tela o papel con los ojos, nariz y boca perforados, la cual tiene las partes superior e inferior cortadas en rajitas finas para que se vean como el cabello y la barba.

En el ritual de vaca que se lleva a cabo en Yangju de la provincia de Gyenggi′do y en Pyeongsan de la provincia de Hwanghae-do, se utilizan las máscaras de vaca, las cuales son disfraces completos de vaca con máscara que varían según tañamos desde el traje para una persona utilizado en el ritual en Yeongsan hasta el enorme disfraz para las cinco o seis personas que se necesita en el ritual de Yangju.

En el byeonggut, aparece también la máscara, ya que se cree que la máscara invita las fuerzas de la curación y ahuyenta los espíritus malignos que provocan enfermedades, por lo tanto este tipo de máscaras se llama uisulgamyeon que significa “máscaras de la curación”. En el ritual para curar la locura conocido como gwangingut se efectúa en las regiones de la costa este, la máscara de fantasma femenino que causa la locura se lleva para expulsar a dichos fantasmas.
내용[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의 한 굿거리인 [탈굿](/topic/탈굿)에서 할미 역할을 맡은 화랭이가 쓰고 등장하는 것이 할미가면이다. 무속적 [마을](/topic/마을)별신굿이 행해지는 동해안 지역에서도 주로 영덕 일대를 중심으로 20여개 마을에서 탈굿 연행이 벌어진다. 탈굿 내용은 [가면극](/topic/가면극)의 할미[마당](/topic/마당)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하지만 탈굿만의 독특한 결말이 있다. 그 내용을 보면 서울애기의 등장과 관중 유혹, 싹불이의 등장과 서울애기 유혹 실패, [영감](/topic/영감)의 등장과 서울애기 유혹, 영감의 자기소개, 할미의 등장과 신세한탄, 영감의 쓰러짐, 영감의 소생, 연행자들의 인사와 뒷마[무리](/topic/무리) 등의 순서로 전개된다. 연행할 때마다 조금씩 다른 전개 양상을 보이지만, 그 차이가 크지는 않다. 서울애기와 눈이 맞아 집을 나간 영감과 이를 찾아다니는 할미, 그리고 등장인물 모두가 직접 맞닥뜨려진 상황에서 벌어진 영감의 졸도와 소생이라는 [기둥](/topic/기둥) 줄거리는 거의 유사하다.

이러한 내용의 탈굿에서 화랭이가 할미가면을 쓰고 할미 역할을 한다. 할미는 절뚝이는 걸음으로 소란스럽게 등장하는데, 등장 양상 자체가 관중의 웃음거리가 된다. 가면을 통해 드러난 할미의 외양은 박색(薄色)이며 허름한 옷차림에 [속옷](/topic/속옷)은 물론 속살까지 드러내는 늙은 여자의 모습이다. 그녀는 동해안탈굿의 등장인물 중 가장 말이 많은 수다스러운 여자이다. 그 움직임은 야단스럽고 적극적이며 상대를 의식하지 않고 자기 하고 싶은 대로한다. 동해안 탈굿의 핵심적 인물이 할미라고 할 수 있다. 할미는 동해안탈굿 전체를 이끌어 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연행 속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공공연한 신체노출, 공공연하게 보여주는 이 잡기와 오줌 싸기, 노골적인 성행위의 공개와 그 느낌의 공유, 아들 싹불이와의 근친상간적 상상과 대화, 쓰러진 영감에 대한 모독적인 말과 행동 등 파격과 일탈적 상황 역시 거의 모두 할미가 주체가 되어 이루어진다.
참고문헌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동해안 [탈굿](/topic/탈굿)의 변화양상과 축제성 (김신효,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동해안탈굿의 여성과 욕망 (허용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6,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무속탈의 제작법과 문화 체험에의 활용 방안 (최성진, 지역민속학, 지역민속학회, 2009)
형태할미가면은 두꺼운 마분지로 만든다.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을 연행 전승하고 있는 화랭이 [김장길](/topic/김장길)의 할미가면 제작 과정을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마분지를 정중앙으로 접고 얼굴 윤곽선을 따라 잘라낸다. 이마 부분에서 90도로 접은 후 눈을 오려낸다. 귀 윗부분부터 반대쪽 아랫부분까지 사선으로 종이를 접어 코의 각도가 좌측 15도가 되도록 자른다. 턱 부분을 사선으로 접어 입이 삐뚤어지도록 자른다. 가위로 턱 중앙과 이마를 일자로 가른다. 검은색 매직을 사용하여 윗눈썹을 초승달 모양으로 그린다. 검은색 매직을 사용하여 눈과 입의 윤곽을 그린다. 눈 주위는 진하게 칠해준다. 붉은색 매직을 사용하여 입술을 칠한다. 귀의 모양은 검은색 모양을 사용하여, 3자 형태를 세 번 그려 완성한 다음 코를 붙인다. 검은색 매직을 사용하여 양쪽 볼에 원을 두 줄로 그려 곰보 모양과 우는 모습을 그린다. 붉은색 매직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한 번 더 그린다. [송곳](/topic/송곳)을 이용하여 양귀에 각각 두 개의 구멍을 뚫는다. 끈을 구[멍에](/topic/멍에) 끼워 연결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할미가면은 흰색 마분지에 붉은 입술과 눈썹과 귀 등이 그려진 형태이다. 눈은 뚫려있으며 눈물을 흘리고 있는 모습이다. 눈초리가 밑으로 처지고 입이 비뚤어져 있다. 얼굴에는 검은색과 붉은색 반점이 많다. 가면 제작자에 따라 검은색과 붉은색에 파랑색 반점을 덧붙여 표현하기도 한다. 코를 오똑하게 붙여 만드는 경우도 있고 뭉툭하게 붙이는 경우도 있다. 할미가면은 연행이 끝난 후 태워지기 때문에, 연행을 할 때마다 매번 만들어서 사용한다. 연행자인 화랭이들이 가면을 만드는데 기억 속에 [저장](/topic/저장)되어 있는 것을 별신굿 현장에서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다. 항상 새롭게 만들기 때문에 그 크기가 동일하지 않지만 대략 가로 25㎝ 내외, 세로 23㎝ 내외로 만들어지는 경우와 이보다는 좀 크게 가로 26㎝ 내외, 세로 34㎝ 내외로 만드는 경우가 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