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신단지

한국무속신앙사전
미혼 처녀의 [혼백](/topic/혼백)을 [봉안](/topic/봉안)한 신인 왕신의 신체.
definition
미혼 처녀의 [혼백](/topic/혼백)을 [봉안](/topic/봉안)한 신인 왕신의 신체.
mp3Cnt
0
wkorname
오선영
정의미혼 처녀의 [혼백](/topic/혼백)을 [봉안](/topic/봉안)한 신인 왕신의 신체.
정의미혼 처녀의 [혼백](/topic/혼백)을 [봉안](/topic/봉안)한 신인 왕신의 신체.
내용왕신은 모든 집안에서 모셔지는 신이 아니다. 아주 드물게 미혼 총각의 혼령을 왕신으로 모신 왕신단지를 만들기도 한다. 왕신은 집안의 특별한 사정으로 모셔지는 신령이다. 가정에 당연히 있어야 하는 성주나 터주 등 여타의 가정신(家庭神)과는 성격이 다르다. 이 뿐만 아니라 집안에는 왕신에게 할당한 공간 또한 별도로 정해져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왕신은 반드시 그 신체가 만들어져 집 안에 [봉안](/topic/봉안) 되어야만 그 존재를 드러낼 수 있게 된다. 즉 왕신단지는 왕신의 신체이면서 동시에 신격을 지칭한다. 그러나 왕신이 왕신단지라 불리는 것은 왕신으로서의 위엄이나 역할이 존중되지 않을 때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왕신을 모시지 않는 사람 또는 왕신을 모시지 않게 된 사람들이 주로 왕신을 왕신단지라고 부른다.

왕신단지는 함부로 건드리지 않는다. 왕신은 성격이 까다롭고 엄하여 자신을 조금이라도 서운하게 대하면 곧바로 집안에 탈을 부린다. 자신을 서운하게 하는 대상이 집안사람이 아니라 해도 마찬[가지](/topic/가지)다. 충남 예산군 오가면 신장리 [마름](/topic/마름)[마을](/topic/마을)에서는 [머슴](/topic/머슴)이 장난으로 왕신단지를 건드리면서 “이 자식아! 떡 좀 먹게 해줘라!”고 했더니 왕신이 곧바로 그 집 식구 가운데 한 명에게 병이 나게 하였다고 한다.

왕신은 식구들의 지극정성으로 인해 점점 더 폭군으로 변해간다. 왕신의 가탈로 인해 시도 때도 없이 집안에 생기는 화(禍)는 왕신을 받드는 일에 점점 더 어려움을 느끼게 한다. 더욱이 왕신을 잘못 모시면 결국 집안이 망한다는 관념은 왕신에 대한 [공포](/topic/공포)심을 키우고 이어 정성을 포기하는 결단을 내리게 한다. 왕신을 없애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왕신단지를 건드리게 된다. 단지를 깨거나 동구리를 물에 띄워 멀리 [보냄](/topic/보냄)으로써 집안에서 왕신단지가 사라[지게](/topic/지게) 하는 것으로 왕신을 몰아낸다. 그러나 왕신은 “천리를 도망가도 뒤따라올 만큼” 무서운 신이다. 예산군 삽교읍 효림리 방죽마을에 왕신을 모시던 어떤 사람이 이를 없애려고 마음을 먹고 왕신단지를 꺼내 강을 건너가서 깨뜨리고 집으로 돌아왔다. 그런데 그날 밤 꿈에 왕신이 나타나서 말하기를 “아이고, 너 찾느라고 죽을 뻔했다.”라고 한 것이다. 결국 그 사람은 할 수 없이 다시 왕신을 모셨다.

왕신은 함부로, 섣불리 버릴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 때론 왕신을 버리기 위해 가족의 목숨을 담보로 해야 할 만큼의 결단이 필요하다. 왕신단지를 없애는 일은 매우 조심스럽고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없애기로 마음을 먹었다고 해서 아무 때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는 왕신을 모신 사람의 초상을 치를 때나 왕신을 모시는 집안에 혼사가 있어 새색시가 들어올 때를 기다려야 한다. 왕신을 모시던 이가 죽어 상여가 집을 출발하면 곧바로 [대문](/topic/대문) 앞에서 왕신단지를 깨 버린다. 왕신을 모시던 사람이 집을 떠났으므로 더 이상 왕신을 모실 사람도 없으니 함께 나가라는 것이다. 한편 갓 혼인을 하여 시집으로 들어오는 새색시는 경계 지역에 있는 위험한 인물이기도 하는 동시에 시집의 왕신과는 아직 관계가 없는 인물이다. 이런 이유로 새색시는 왕신단지를 단호하게 없앨 수 있다. 서산시 해미면 저성리 도투생이마을에서는 이제 막 시집온 며느리가 “이까짓 게 뭐야!”라고 하며 왕신단지를 집어 던져 깨뜨리면 왕신은 ‘사나운 년(새색시)’의 기(氣)에 눌려 사라진다. 곧 왕신단지의 훼손은 왕신의 소멸을 의미한다.
참고문헌[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 (이능화, 1927)
대전-당진간 고속도로건설예정지역내 고고유적 지표조사·민속조사보고서 (충남대학교박물관, 1995)
충남지역 가정신앙의 제 유형과 성격 (이필영, 샤머니즘 연구 3, 한국샤머니즘학회, 2001)
한국의 가정신앙-충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가정신앙과 [제물](/topic/제물)-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이필영, 역사민속학 24, 한국역사민속학회, 2007)
처녀․총각의 죽음과 그 상례 연구 (오선영,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내용왕신은 모든 집안에서 모셔지는 신이 아니다. 아주 드물게 미혼 총각의 혼령을 왕신으로 모신 왕신단지를 만들기도 한다. 왕신은 집안의 특별한 사정으로 모셔지는 신령이다. 가정에 당연히 있어야 하는 성주나 터주 등 여타의 가정신(家庭神)과는 성격이 다르다. 이 뿐만 아니라 집안에는 왕신에게 할당한 공간 또한 별도로 정해져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왕신은 반드시 그 신체가 만들어져 집 안에 [봉안](/topic/봉안) 되어야만 그 존재를 드러낼 수 있게 된다. 즉 왕신단지는 왕신의 신체이면서 동시에 신격을 지칭한다. 그러나 왕신이 왕신단지라 불리는 것은 왕신으로서의 위엄이나 역할이 존중되지 않을 때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왕신을 모시지 않는 사람 또는 왕신을 모시지 않게 된 사람들이 주로 왕신을 왕신단지라고 부른다.

왕신단지는 함부로 건드리지 않는다. 왕신은 성격이 까다롭고 엄하여 자신을 조금이라도 서운하게 대하면 곧바로 집안에 탈을 부린다. 자신을 서운하게 하는 대상이 집안사람이 아니라 해도 마찬[가지](/topic/가지)다. 충남 예산군 오가면 신장리 [마름](/topic/마름)[마을](/topic/마을)에서는 [머슴](/topic/머슴)이 장난으로 왕신단지를 건드리면서 “이 자식아! 떡 좀 먹게 해줘라!”고 했더니 왕신이 곧바로 그 집 식구 가운데 한 명에게 병이 나게 하였다고 한다.

왕신은 식구들의 지극정성으로 인해 점점 더 폭군으로 변해간다. 왕신의 가탈로 인해 시도 때도 없이 집안에 생기는 화(禍)는 왕신을 받드는 일에 점점 더 어려움을 느끼게 한다. 더욱이 왕신을 잘못 모시면 결국 집안이 망한다는 관념은 왕신에 대한 [공포](/topic/공포)심을 키우고 이어 정성을 포기하는 결단을 내리게 한다. 왕신을 없애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왕신단지를 건드리게 된다. 단지를 깨거나 동구리를 물에 띄워 멀리 [보냄](/topic/보냄)으로써 집안에서 왕신단지가 사라[지게](/topic/지게) 하는 것으로 왕신을 몰아낸다. 그러나 왕신은 “천리를 도망가도 뒤따라올 만큼” 무서운 신이다. 예산군 삽교읍 효림리 방죽마을에 왕신을 모시던 어떤 사람이 이를 없애려고 마음을 먹고 왕신단지를 꺼내 강을 건너가서 깨뜨리고 집으로 돌아왔다. 그런데 그날 밤 꿈에 왕신이 나타나서 말하기를 “아이고, 너 찾느라고 죽을 뻔했다.”라고 한 것이다. 결국 그 사람은 할 수 없이 다시 왕신을 모셨다.

왕신은 함부로, 섣불리 버릴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 때론 왕신을 버리기 위해 가족의 목숨을 담보로 해야 할 만큼의 결단이 필요하다. 왕신단지를 없애는 일은 매우 조심스럽고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없애기로 마음을 먹었다고 해서 아무 때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는 왕신을 모신 사람의 초상을 치를 때나 왕신을 모시는 집안에 혼사가 있어 새색시가 들어올 때를 기다려야 한다. 왕신을 모시던 이가 죽어 상여가 집을 출발하면 곧바로 [대문](/topic/대문) 앞에서 왕신단지를 깨 버린다. 왕신을 모시던 사람이 집을 떠났으므로 더 이상 왕신을 모실 사람도 없으니 함께 나가라는 것이다. 한편 갓 혼인을 하여 시집으로 들어오는 새색시는 경계 지역에 있는 위험한 인물이기도 하는 동시에 시집의 왕신과는 아직 관계가 없는 인물이다. 이런 이유로 새색시는 왕신단지를 단호하게 없앨 수 있다. 서산시 해미면 저성리 도투생이마을에서는 이제 막 시집온 며느리가 “이까짓 게 뭐야!”라고 하며 왕신단지를 집어 던져 깨뜨리면 왕신은 ‘사나운 년(새색시)’의 기(氣)에 눌려 사라진다. 곧 왕신단지의 훼손은 왕신의 소멸을 의미한다.
참고문헌[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 (이능화, 1927)
대전-당진간 고속도로건설예정지역내 고고유적 지표조사·민속조사보고서 (충남대학교박물관, 1995)
충남지역 가정신앙의 제 유형과 성격 (이필영, 샤머니즘 연구 3, 한국샤머니즘학회, 2001)
한국의 가정신앙-충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가정신앙과 [제물](/topic/제물)-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이필영, 역사민속학 24, 한국역사민속학회, 2007)
처녀․총각의 죽음과 그 상례 연구 (오선영,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역사『[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朝鮮巫俗考)』에 ‘[손각시](/topic/손각시)귀[孫閣氏鬼]’를 소개하고 있다. 이 글에서 언급되고 있는 손각시귀는 손씨가(孫氏家)의 규녀가 시집을 [가지](/topic/가지) 못하고 죽어서 된 귀신이다. 즉 왕신과 명칭만 다를 뿐 동일하다. 지금도 경기도와 강원도 지역에서 처녀로 죽은 혼신을 손각시로 모신 사례가 있다. 손각시의 신체는 “추형여상(雛形女像)을 만들고, 또 계집애들이 희롱하는 자고(紫姑)의 모양처럼 만들어 붉은 [의상](/topic/의상)을 입히고 장분제구(粧粉諸具)를 모두 생시(生時)에 쓰던 것과 같이 만들어 종이상자에 넣어 대쪽으로 만든 옷상자에 간직한 것”이다. 이는 왕신단지와 크게 다르지 않다.

집안에 왕신을 처음 [봉안](/topic/봉안)할 때는 무당을 초빙한다. 무당은 왕신으로 모시게 될 집안 처녀귀신의 신체를 정성스럽게 봉안한다. 한번 안착시킨 왕신단지는 함부로 옮기거나 단지를 교환하지 않는다. 다만 매년 햇곡식이 나면 단지 안의 나락을 새로 갈고 봉헌물들을 교환할 뿐이다.
역사『[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朝鮮巫俗考)』에 ‘[손각시](/topic/손각시)귀[孫閣氏鬼]’를 소개하고 있다. 이 글에서 언급되고 있는 손각시귀는 손씨가(孫氏家)의 규녀가 시집을 [가지](/topic/가지) 못하고 죽어서 된 귀신이다. 즉 왕신과 명칭만 다를 뿐 동일하다. 지금도 경기도와 강원도 지역에서 처녀로 죽은 혼신을 손각시로 모신 사례가 있다. 손각시의 신체는 “추형여상(雛形女像)을 만들고, 또 계집애들이 희롱하는 자고(紫姑)의 모양처럼 만들어 붉은 [의상](/topic/의상)을 입히고 장분제구(粧粉諸具)를 모두 생시(生時)에 쓰던 것과 같이 만들어 종이상자에 넣어 대쪽으로 만든 옷상자에 간직한 것”이다. 이는 왕신단지와 크게 다르지 않다.

집안에 왕신을 처음 [봉안](/topic/봉안)할 때는 무당을 초빙한다. 무당은 왕신으로 모시게 될 집안 처녀귀신의 신체를 정성스럽게 봉안한다. 한번 안착시킨 왕신단지는 함부로 옮기거나 단지를 교환하지 않는다. 다만 매년 햇곡식이 나면 단지 안의 나락을 새로 갈고 봉헌물들을 교환할 뿐이다.
형태왕신단지의 형태는 이를 모신 집안의 형편에 따라 비슷하다. 대개는 조그만 단지 안에 나락을 담아 왕신의 신체를 만들고 [안방](/topic/안방)에 모신다. 이때 왕신을 좀 더 은밀히 모시고자 한다면 방 안의 [다락](/topic/다락)이나 [벽장](/topic/벽장) 깊숙한 곳을 [봉안](/topic/봉안)장소로 정한다. 가세가 좋으면 아예 큰 항아리에 나락 한 [가마니](/topic/가마니)를 넣어 크게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매우 드문 일이다.

한편 왕신단지를 장광에 모시기도 한다. 이런 경우 단지에 유두지를 씌운다. 장광이라는 열린 공간에 모셔진 왕신을 혹시라도 누군가 알아챌까 염려하여 터주로 위장한 것이다. 이조차 불안하면 단지를 아예 장광 부근에 묻어 놓기도 한다. 단지 안의 나락이나 쌀은 매년 햇곡식이 나면 가장 먼저 갈아 넣는다. 단지에서 꺼낸 곡식은 떡을 찌거나 밥을 해서 집안 식구끼리만 나누어 먹는다. 왕신단지가 안방에 모셔졌을 경우 삼신, 장광에 모셔졌을 경우 터주와 각각 같은 것으로 여겨질 만큼 일상적이다. 그러나 이로 인해 더욱 비밀스럽게 모셔진다. 왕신과 그녀를 모시는 집안사람들은 남들이 미처 상상할 수 없는 그들만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왕신은 더욱 은밀하고 강한 힘을 지닌 신령이 된다.

집 안에 왕신을 모실 때는 단지 외에도 나무상자나 동구리 등 용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 안에는 나락보다 주로 필목류나 색실, 비단[저고리](/topic/저고리), 돈, 화장품 등을 넣는다. 때론 왕신의 신격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이름과 사주를 적은 종이를 넣거나 위목(位目)을 넣기도 한다. 신격이 명확하지 않더라도 남ㆍ여 [허수아비](/topic/허수아비)나 사람의 형체로 오린 종이를 넣는 경우도 있다.
형태왕신단지의 형태는 이를 모신 집안의 형편에 따라 비슷하다. 대개는 조그만 단지 안에 나락을 담아 왕신의 신체를 만들고 [안방](/topic/안방)에 모신다. 이때 왕신을 좀 더 은밀히 모시고자 한다면 방 안의 [다락](/topic/다락)이나 [벽장](/topic/벽장) 깊숙한 곳을 [봉안](/topic/봉안)장소로 정한다. 가세가 좋으면 아예 큰 항아리에 나락 한 [가마니](/topic/가마니)를 넣어 크게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매우 드문 일이다.

한편 왕신단지를 장광에 모시기도 한다. 이런 경우 단지에 유두지를 씌운다. 장광이라는 열린 공간에 모셔진 왕신을 혹시라도 누군가 알아챌까 염려하여 터주로 위장한 것이다. 이조차 불안하면 단지를 아예 장광 부근에 묻어 놓기도 한다. 단지 안의 나락이나 쌀은 매년 햇곡식이 나면 가장 먼저 갈아 넣는다. 단지에서 꺼낸 곡식은 떡을 찌거나 밥을 해서 집안 식구끼리만 나누어 먹는다. 왕신단지가 안방에 모셔졌을 경우 삼신, 장광에 모셔졌을 경우 터주와 각각 같은 것으로 여겨질 만큼 일상적이다. 그러나 이로 인해 더욱 비밀스럽게 모셔진다. 왕신과 그녀를 모시는 집안사람들은 남들이 미처 상상할 수 없는 그들만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왕신은 더욱 은밀하고 강한 힘을 지닌 신령이 된다.

집 안에 왕신을 모실 때는 단지 외에도 나무상자나 동구리 등 용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 안에는 나락보다 주로 필목류나 색실, 비단[저고리](/topic/저고리), 돈, 화장품 등을 넣는다. 때론 왕신의 신격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이름과 사주를 적은 종이를 넣거나 위목(位目)을 넣기도 한다. 신격이 명확하지 않더라도 남ㆍ여 [허수아비](/topic/허수아비)나 사람의 형체로 오린 종이를 넣는 경우도 있다.
신구문화사제주도무속자료사전현용준1980
집문당제주도무속연구현용준1986
민속원제주도 무가본풀이사전진성기1991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