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15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웃줄할매
    675 2023.02.27
    자손들의 안녕과 무병장수 등을 위해 모시는 [조상신](/topic/조상신)(祖上神)의 하나. 지역에 따라 웃줄, 웃줄할아버지 등으로도 불린다.
  • 은산별신제
    694 2023.02.27
    충남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에서 전승되어 오는 별신제. 이 별신제는 1966년 2월 15일 ‘중요무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었다.
  • 일뤠또본풀이
    622 2023.02.27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토산리에 있는 ‘웃당’의 본향당신에 관한 본풀이. 웃당은 ‘일렛당’ ‘일뢰당’ ‘서당’이라고도 하므로 이 신에 관한 본풀이를 ‘일뤠또본풀이’라고 한다.
  • 작두
    683 2023.02.27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짚이나 [가축](/topic/가축) [사료](/topic/사료)를 썰거나, 한의원이나 한약방에서 한약재를 써는 데 사용하는 볼이 넓적한 큰 칼 모양의 연장. 무당에게 [장군](/topic/장군)신이 내렸을 경우에 신령의 영험력을 보여주기 위하여 올라타는 무구(巫具)로 사용되기도 한다.
  •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영천리 1415-3[번지](/topic/번지) 오동촌[마을](/topic/마을) 어귀에 위치한 [우물](/topic/우물).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마을에서 동제를 지낸다. 2001년 9월 27일에 ‘전라남도 기념물 제186호’로 지정되었다.
  • 점사
    607 2023.02.27
    무당이 점을 치는 행위.
  • 제석본풀이
    571 2023.02.27
    무속의례에서 연행되는 한 거리 또는 이때 불리는 무가. 는 우리나라 서사무가 가운데 가장 넓은 분포를 보인다. 북으로는 함경북도에서부터 남으로는 제주도까지 분포하고 있다. [성주굿](/topic/성주굿)의 성주무가, 오구굿의 [바리데기](/topic/바리데기)무가와 더불어 제석본풀이의 제석무가는 우리나라 3대 서사무가라 할 수 있지만 분포지역으로 보면 가 가장 넓게 전승되어 왔다.
  • 제주굿 무복
    677 2023.02.27
    제주굿에서 입는 [무복](/topic/무복). 제주굿 중 강신무에서는 모시는 신과 연행하는 거리마다 [만신](/topic/만신)들이 그 신 자체가 되기 때문에 신의 성격, 위계에 따라 조선시대의 문관·무관·여관들의 복식을 입는다. 병을 고치는 추는굿에서는 심방의 역할이 복식을 통해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한복](/topic/한복)을 입어도 평상복으로 착용한다. 그래서 [저고리](/topic/저고리)와 [바지](/topic/바지)만 입기도 하고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를 더 입기도 한다.
  • 제주지방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현무암 자연석을 원통형(圓筒形)으로 쌓아 올린 설치물. 1995년 8월 26일에 ‘제주도 민속자료 제8호’로 지정되었다.
  • 조너리
    592 2023.02.27
    동해안굿에서 경남 지역의 문굿과 장수굿에서 사용되는 [장단](/topic/장단).
  • 조선의 무격
    664 2023.02.27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 1891~1968)이 조선총독부가 추진한 무속조사를 전담하면서 조사한 것을 정리하여 1932년에 발간한 책.
  •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남차3리 장래[마을](/topic/마을)[장천마을]에서 전승되고 있는 수구제 형태의 마을제사.
  • 진도씻김굿
    589 2023.02.27
    진도에서 전승되는 망자 [천도굿](/topic/천도굿). 이 굿은 박씨 무계를 중심으로 전승되며, 1980년 11월 17일 ‘중요무형문화재 제72호’로 지정되었다. ‘씻김’이란 말은 이승에서 살 때 맺힌 원한을 지우고 씻어준다는 의미에서 비롯되었다.
  • 창부씨
    576 2023.02.27
    광대신(廣大神)을 일컫는 말. 보통 생전에 명성 높은 광대가 죽어서 창부씨로 모셔진다. 혹은 명성 높은 광대가 죽어서 그 넋이 창부씨가 된다고도 한다. 창부 또는 창부대신(昌夫大神)이라고도 불리는 창부씨는 예능 혹은 풍류를 담당하는 신이다. 서울ㆍ경기 지역의 재수굿에서 창부거리라고 불리는 창부씨를 모시는 굿거리가 있다. 여기서 모셔지는 창부씨는 신명풀이를 하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풍류적 성격이 강하다. 덧붙여 창부거리에서의 창부씨는 일 년 열두 달의 횡액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한다.
  • 철마
    598 2023.02.27
    철로 만든 말의 형상으로 [마을](/topic/마을) 제당에 모셔지는 신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