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11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뒷전무당
    580 2023.02.27
    서울굿과 경기북부 지역 굿에서 뒷전을 전담하는 무당.
  • 마련방
    579 2023.02.27
    [제관](/topic/제관) 및 집사의 역할과 성명을 적어 놓은 종이.
  • 의무
    579 2023.02.27
    질병을 치료하는 무당. 무의(巫醫)라고도 한다.
  • 옥녀각시
    578 2023.02.27
    신부가 처음으로 시가(媤家)로 가는 [신행](/topic/신행)(新行)과 관련해서 나타나는 피해야 하는 방위와 관련된 살(煞)의 일종.
  • 도가
    574 2023.02.27
    동제 때 사용할 음식을 준비하는 사람 또는 제물을 장만하는 집.
  • 좀도리
    573 2023.02.27
    쌀을 퍼서 밥을 지을 때마다 한 움큼씩 덜어 모아두는 단지.
  • 제주
    572 2023.02.27
    [마을](/topic/마을)제의를 주관하는 사람들 가운데 제의의 주장(主將)이 되는 사람.
  • 제주
    571 2023.02.27
    신에게 제사 지낼 때 신을 불러 모시기 위하여 땅에 붓거나 신에게 대접하는 술.
  • 참신
    569 2023.02.27
    [마을](/topic/마을)신이 오신 것으로 여기고 인사를 드리는 절차.
  • 재인청
    568 2023.02.27
    전통시대에 무속인, 화랑, 재인, 예인, [광대](/topic/광대) 등을 구성원으로 한 자치 조직.
  • 제주
    568 2023.02.27
    [마을](/topic/마을)제의를 주관하는 사람들 가운데 제의의 주장(主將)이 되는 사람.
  • 무당
    568 2023.02.27
    무속의 사제자로, 길흉화복을 점치고 굿을 주관하는 사람의 총칭.
  • 소지
    565 2023.02.27
    [한지](/topic/한지)를 일정한 크기로 잘라서 이를 불로 살라 세속적 장소를 신성한 장소로 정화하거나 기원자의 소원을 비는 종교적 행위를 지칭. [마을](/topic/마을)신앙 형태로 소지가 행해지는 것과 개인적 소원을 구현하는 것 둘로 나누어 말할 수 있다. 마을에서 일일이 개별적인 마을 구성원에 대한 이름을 열거하면서 하늘에 소지를 올리는 동소지(洞燒紙) 또는 열명지(列名紙)라는 형태가 있으며, 가족 단위의 기원을 목적으로 올리는 소지가 있다. 그러나 특정한 장소를 신성한 장소로 정화하는 소지도 있다. 기원을 목적으로 하는 소지와 일정한 관련이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소지는 기원을 목적으로 하든 정화를 목적으로 하든 종이와 일정한 관련이 있다. 문서로 무엇을 계약하고 이를 통해 정화하거나 신과의 기원을 하는 전통이 이러한 소지의 내력을 형성했을 개연성이 있다.
  • 방위가리기
    565 2023.02.27
    삼살방(三煞方)이나 대[장군](/topic/장군)방(大將軍方) 등 흉신(凶神)이 머무는 방위를 가려 어떤 일을 삼가는 속신 행위.
  • 562 2023.02.27
    가정신앙을 비롯한 민속신앙에서 어떤 잘못된 행위로 인해 초자연적 존재(super-natural beings)를 자극함으로써 인간이 겪는 비정상적인 상태 또는 그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