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10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영험담
    585 2023.02.27
    동신(洞神)신화, [[마을](/topic/마을)신화](/topic/마을신화) 등으로 명명되는 당신화(堂神話)의 한 [유형](/topic/유형). 마을의 당신(堂神) 주변에서 지속적으로 형성․전승되어 현존하는 신격의 정당성을 말하는 현재적인 신화이다.
  • 주부
    631 2023.02.27
    [사전](/topic/사전)적 의미로는 일반적으로 한 집안의 [살림살이](/topic/살림살이)를 맡아 꾸려 가는 안주인을 가리키며, 가정신앙과 관련해 의례를 주관하고 직접 의례 수행자가 되는 한 집안의 핵심 여성을 일컫는 말.
  • 호가
    552 2023.02.27
    굿을 하는 도중에 잽이에게 주는 곁돈.
  • 강신
    1378 2023.02.27
    [마을](/topic/마을)신앙에서 신령을 불러들이는 첫 번째 의식.
  • 금기
    813 2023.02.27
    종교적 기능과 정치적 효과를 함께 지닌 채 인간의 행동 일부를 지배하는 심리적 요소.
  • 대주
    642 2023.02.27
    민속에서 무당이 굿하는 집이나 [단골](/topic/단골)로 다니는 집의 바깥주인을 이르는 말.
  • 무경
    596 2023.02.27
    앉은굿에서 구송되는 한문어투의 무속 경전.
  • 비손
    714 2023.02.27
    병을 낫게 하거나 소원을 이루게 할 목적으로 두 손을 비비면서 신에게 비는 일. 간단한 [제물](/topic/제물)을 차려 놓고 그 앞에서 양손으로 비비는 행위를 통해 신을 섬기는 의례의 일종.
  • 쇠걸립
    626 2023.02.27
    [만신](/topic/만신)의 [내림굿](/topic/내림굿)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걸립 행위 가운데 하나.
  • 예조
    592 2023.02.27
    앞날을 예언하는 징후. 사람들은 어떠한 특이한 일이 발생하면 그것은 곧 미래에 발생할 어떤 일에 대한 예조라고 생각했다. 미래의 일을 예측하거나 대비할 수 있는 무엇으로 현몽 또는 신비한 종교체험, 일상과 다른 어떤 특이한 일이 여기에 해당한다.
  • 주부
    551 2023.02.27
    [마을](/topic/마을)신앙이나 가정신앙에서 [제물](/topic/제물)을 준비하거나 의례를 직접 주관하는 주체로서, 한 가정의 안주인인 가정주부.
  • 희생제물
    561 2023.02.27
    인간이 신에게 바치는 정성스러운 상징적 제물. 인간을 대신하여 바치는 희생적인 상징으로부터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마을](/topic/마을)굿에서는 신에게 [동물](/topic/동물)을 바치는 전통이 있다. 이 동물이 바로 희생제물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희생제물로 사용되는 것으로는 닭, 돼지, 소 등이 있다.
  • 강신무
    1476 2023.02.27
    입무 과정으로 무당을 유형화하는 학문적 용어로, [신병](/topic/신병)(神病)을 앓아 [내림굿](/topic/내림굿)을 받고 신이 실려 [공수](/topic/공수)를 하는 무당.
  • 기대잽이
    819 2023.02.27
    서울굿에서 장구반주를 전담하는 [세습무](/topic/세습무)녀. 기대는 계대라고도 부르며 대체로 여성들이 담당한다.
  • 도가
    747 2023.02.27
    동제 때 사용할 음식을 준비하는 사람 또는 제물을 장만하는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