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진한잎

한국무속신앙사전
한국 전통 악곡에서 향피리 위주로 편성되는 [삼현육각](/topic/삼현육각)에 의한 음악.
definition
한국 전통 악곡에서 향피리 위주로 편성되는 [삼현육각](/topic/삼현육각)에 의한 음악.
mp3Cnt
0
wkorname
하을란
정의한국 전통 악곡에서 향피리 위주로 편성되는 [삼현육각](/topic/삼현육각)에 의한 음악.
내용자진한입은 [피리](/topic/피리) 독주나 관현 합주로 연주되는 악곡의 하나로 정악(正樂)ㆍ민속악(民俗樂)ㆍ무속의례에서 널리 쓰인다. 정악에서는 자진한잎ㆍ경풍년(慶豊年), 민속악에서는 자진한입ㆍ자진난이, 무속의례에서는 연주자에 따라 자진한입ㆍ경풍년ㆍ[염양](/topic/염양)춘(艶陽春)ㆍ거상악 등으로 혼동해 불리고 있다. 민속악과 무속의례에서는 정악보다 조금 빠른 듯하게 연주된다.

자진한잎은 가곡의 원형인 만대엽(慢大葉)ㆍ중대엽(中大葉)ㆍ삭대엽(數大葉) 가운데 삭대엽을 우리말로 풀이하여 자진[數]한[大]잎[葉]이라는 빠른 큰 곡의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오늘날 자진한잎이라고 하면 가곡을 노래 없이 [삼현육각](/topic/삼현육각)의 악기로만 연주하는 곡들을 지칭한다.

가곡의 반주음악으로 연주될 때는 관악기와 현악기가 함께 편성된다. 그리고 노래의 반주로 연주되기 때문에 음량의 제한을 받아 피리는 소리가 작은 세피리를 쓰며, [해금](/topic/해금)도 원산(遠山, bridge)의 위치를 조정하여 음량을 조절한다. 그러나 가곡의 반주음악이 아닌 독주나 합주로 연주되면 노래와 현악기가 제외되기 때문에 음량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이때는 피리도 세피리 대신 소리가 큰 향피리를 쓰고, 해금도 원산을 조절하여 소리를 크게 한다. [대금](/topic/대금)의 경우도 가곡에서 낮은음으로 연주하는 부분을 청성(淸聲 : 높은 음)으로 연주한다. 이처럼 독주나 합주로 연주될 때는 피리ㆍ대금ㆍ해금ㆍ장구ㆍ북 등 관악기와 타악기로 이루어진 삼현육각의 편성으로 연주한다. 향피리 중심으로 편성되기 때문에 자진한잎을 일명 사관풍류라고 부른다. 사관풍류는 사관, 즉 향피리가 중심이 되는 풍류라는 뜻이다.

음악의 형식은 중여음과 대여음이 있는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 [장단](/topic/장단)은 3ㆍ3ㆍ2ㆍ3박과 3ㆍ2박으로 구성된 16박의 모음박자이다. 자진한잎의 장단형을 보면 다음과 같다.

![무속신앙 자진한잎 1](/upload/img/20170106/20170106170402_t_.jpg)
![무속신앙 자진한잎 2](/upload/img/20170106/20170106170520_t_.jpg)

자진한잎이 여러 명칭으로 불리는 이유는 연주되는 곡인 [우조](/topic/우조)두거ㆍ변조두거ㆍ[계면조](/topic/계면조)두거ㆍ계면조평롱(平弄)ㆍ계락(界樂)ㆍ편삭대엽(編數大葉)의 6곡을 통틀어 지칭할 때와 나누어 지칭할 때 부르는 이름이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6곡을 통틀어 지칭할 때는 자진한잎, 사관풍류, 경풍년이라고 부르지만 좁게는 우조두거와 변조두거만을 가리킨다. 이밖에도 계면조두거를 염양춘, 계면조평롱ㆍ계락ㆍ편삭대엽을 수룡음으로 각각 구분하여 부르기도 한다. 계면조두거인 염양춘은 특히 예전의 연희 때 상을 받기 전에 연주된다고 하여 ‘거상악(擧床樂)’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서울 지역의 무속의례에서 상류층이나 부유층을 위해 베푼 전통적인 망자천도굿인 새남굿의 [진적](/topic/진적)과 상식에서 첫 곡으로 우조두거나 변조두거의 경풍년이 연주된다. 이밖에도 서울 진오귀굿의 상식, 무당의 천신굿이나 [진적굿](/topic/진적굿)의 진적에서도 연주된다. 민속악에서는 독주곡으로 주로 염양춘이 연주된다.
참고문헌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topic/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음악 4 (김기수, 국립국악원, 1969)
최신 국악총론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5)
국악통론 (서한범, 태림출판사, 1993)
민족문화사한국민속대사전 1한국민속사전편찬위원회1991
동문선조선무속고이능화, 이재곤 역1995
도서출판 창솔한국민속문화대사전 상김용덕2004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