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재

한국무속신앙사전
사람의 태어난 해에 따라 주기적으로 찾아드는 나쁜 운수로서 세 [가지](/topic/가지) 재난인 수재(水災), 화재(火災), 풍재(風災) 혹은 도병재(刀兵災), 역려재(疫癘災), 기근재(饑饉災) 등을 말함.
definition
사람의 태어난 해에 따라 주기적으로 찾아드는 나쁜 운수로서 세 [가지](/topic/가지) 재난인 수재(水災), 화재(火災), 풍재(風災) 혹은 도병재(刀兵災), 역려재(疫癘災), 기근재(饑饉災) 등을 말함.
mp3Cnt
0
wkorname
김창일
정의사람의 태어난 해에 따라 주기적으로 찾아드는 나쁜 운수로서 세 [가지](/topic/가지) 재난인 수재(水災), 화재(火災), 풍재(風災) 혹은 도병재(刀兵災), 역려재(疫癘災), 기근재(饑饉災) 등을 말함.
정의사람의 태어난 해에 따라 주기적으로 찾아드는 나쁜 운수로서 세 [가지](/topic/가지) 재난인 수재(水災), 화재(火災), 풍재(風災) 혹은 도병재(刀兵災), 역려재(疫癘災), 기근재(饑饉災) 등을 말함.
내용삼재는 일반적으로 물, 불, 바람에 의한 재난을 의미하기도 하고 연장이나 무기로 입는 재난인 도병재, 전염병에 걸리는 역려재, 굶주리는 재난인 기근재를 뜻하기도 한다.

동토, 살, 삼재 등은 모두 사람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나쁜 기운이라고 할 수 있다. 여타의 나쁜 기운은 뭔가를 잘못 만졌을 때나 초상집 혹은 잔칫집 등 특정한 공간에서 특정인에게 침범한다. 또한 일시적으로 머물면서 사람에게 무서운 질병이나 사고가 나도록 만든다. 반면 삼재는 특정의 물건이나 공간과는 상관없이 주기적으로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악한 기운으로, 3년 동안 불운이 지속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삼재운이 든 첫 해를 ‘들삼재’, 둘째 해를 ‘누울삼재’, 셋째 해를 ‘날삼재’라 한다. 또는 ‘입삼재, 중삼재, 출삼재’ 라고도 한다. 그런데 삼재가 드는 순서대로 나쁜 운수라고 여겨지기도 하지만 한편에서는 들삼재, 누울삼재, 날삼재로 갈수록 고난이 가중되는 것으로 믿기도 한다.

9년마다 주기적으로 돌아오는 삼재 드는 해라고 해서 반드시 나쁜 것만은 아니다. 개인의 사주와 운세의 흐름에 따라 복삼재가 될 수 있으며 복삼재가 들면 아무 탈이 없고 오히려 복이 온다고 한다.

고려속요인 처용가에 사용된 ‘삼재’는 국가에 미치는 나쁜 재앙을 의미한다. 반면에 [신재효](/topic/신재효)의 [판소리](/topic/판소리) [흥보가](/topic/흥보가)에 있는 “삼재든데 혼인하기”라는 구절이 있다. 삼재가 든 사람은 혼인을 피하는 것이 당연한데 놀부의 심술이 심하여 삼재든 해에 혼인을 하게 만든다는 의미이다. 이는 개인에게 찾아드는 재앙을 의미한다. 이처럼 국가나 공동체 사회에 끼치는 재앙을 ‘대삼재’, 개인에게 미치는 세 [가지](/topic/가지) 재앙을 ‘소삼재’라 하여 구분하기도 한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삼재라 하면 개인에게 미치는 재앙을 주로 의미한다.

삼재가 들면 [삼재부적](/topic/삼재부적)을 쓰거나 절이나 무당을 찾아가 [삼재풀이](/topic/삼재풀이) 혹은 삼재경을 하기도 하고, 삼재가 드는 사람의 옷을 태워서 그 재를 삼거리에 묻는 등의 양법(良法)을 사용하여 삼재를 예방하고자 한다.
참고문헌부적 속에 반영된 [민화](/topic/민화)에 관한 연구 (엄난희, 원광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93)
부작미술의 역사와 사상 (김민기, 한국민속문화의 탐구, 국립민속박물관, 1996)
三災와 厄年에 의한 災殃認識과 對應方式 (노성환, 비교민속학 20, 비교민속학회, 2001)
초자연적 존재와 부적 (김준권, 익살과 재치, 경기도박물관, 2004)
우리 민속 들여다보기 (김창일 외, 동아대학교 출판부, 2007)
한국의 벽사부적 (김영자, 대원사, 2008)
문과 상징 (정연학, 시월, 2009)
依据人的出生年份,周期性到来的坏运势。

“三灾”指水灾,火灾,风灾等三种灾难,或工具及凶器引发的刀兵灾,传染病引发的疾疫灾,饥饿导致的饥馑灾。三灾概念的形成时期无法准确考证,但高丽俗谣《[处容](/topic/处容)歌》中出现“三灾”一词,且高丽时代龙珠寺的塔中发掘出三灾[符箓](/topic/符箓),依此可推测“三灾”最早应出现在高丽之前时代。

三灾是所有人周期性遭遇的厄运,有着不幸持续三年的特点。迎来三灾的第一年叫“进三灾”,第二年叫“躺三灾”,第三年叫“退三灾”,又分别称“入三灾”,“中三灾”,“出三灾”。有些人认为,按照“进三灾”,“躺三灾”,“退三灾”的顺序,苦难逐年加重。每九年一轮的三灾并非都是厄运。根据个人的四柱和运势的走势,也可成为“福三灾”,即迎来福运。当三灾来临时,为了预防三灾,人们往往使用三灾符箓,或者到寺庙或[巫祭](/topic/巫祭)祭堂“解三灾”或念《三灾经》,或将走入三灾的人的衣物焚烧埋于三岔路。
Samjae, or three calamities, are bad fortunes that occur in regular cycles according to one’s year of birth.

The three calamities are divided into water calamity (sujae), fire calamity (hwajae), and wind calamity (pungjae); or into calamity caused by tool or weapon (dobyeongjae), plague calamity (jilyeokjae), and famine calamity (gigeunjae). It is not clear exactly when this concept was formed, but the folk song (sogyo) version of “Cheoyongga (The Song of [Cheoyong](/topic/Cheoyong)), ” from Goryeo, includes in its lyrics the term “samjae, ” and a three calamities prevention amulet sheet was discovered inside the stupa at Yongjusa Temple, also from Goryeo, so it is assumed that the concept dates back earlier than Goryeo (918-1392).

The three calamities is a cycle of bad fortune that everyone goes through in life, and is believed to occur over a three-year period. The first of the three years is known as deulsamjae or ipsamjae (entering the three calamities), the second, nuulsamjae or jungsamjae (middle of the three calamities), and the third, nalsamjae or chulsamjae (exiting the threecalamities). It is believed that bad fortunes accumulate as the cycle progresses.

However, the three-year calamity cycle, which comes by every nine years, does not necessarily bring only disaster. Lucky events can also occur, according to individual fate and fortune, in which case the cycle is referred to as boksamje (luck of the three calamities).

Upon the arrival of a samjae cycle, one purchases a three calamities prevention talisman sheet; seeks help at a Buddhist temple or a shaman by requesting a ritual to undo the cycle (samjaepuri) or a recitation of Samjaeg yeong (Three Calamities Script); or attempts prevention through rituals like burning the undergarment of a person who was struck with the three calamities curse and burying the ashes in a threeway intersection.
내용삼재는 일반적으로 물, 불, 바람에 의한 재난을 의미하기도 하고 연장이나 무기로 입는 재난인 도병재, 전염병에 걸리는 역려재, 굶주리는 재난인 기근재를 뜻하기도 한다.

동토, 살, 삼재 등은 모두 사람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나쁜 기운이라고 할 수 있다. 여타의 나쁜 기운은 뭔가를 잘못 만졌을 때나 초상집 혹은 잔칫집 등 특정한 공간에서 특정인에게 침범한다. 또한 일시적으로 머물면서 사람에게 무서운 질병이나 사고가 나도록 만든다. 반면 삼재는 특정의 물건이나 공간과는 상관없이 주기적으로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악한 기운으로, 3년 동안 불운이 지속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삼재운이 든 첫 해를 ‘들삼재’, 둘째 해를 ‘누울삼재’, 셋째 해를 ‘날삼재’라 한다. 또는 ‘입삼재, 중삼재, 출삼재’ 라고도 한다. 그런데 삼재가 드는 순서대로 나쁜 운수라고 여겨지기도 하지만 한편에서는 들삼재, 누울삼재, 날삼재로 갈수록 고난이 가중되는 것으로 믿기도 한다.

9년마다 주기적으로 돌아오는 삼재 드는 해라고 해서 반드시 나쁜 것만은 아니다. 개인의 사주와 운세의 흐름에 따라 복삼재가 될 수 있으며 복삼재가 들면 아무 탈이 없고 오히려 복이 온다고 한다.

고려속요인 처용가에 사용된 ‘삼재’는 국가에 미치는 나쁜 재앙을 의미한다. 반면에 [신재효](/topic/신재효)의 [판소리](/topic/판소리) [흥보가](/topic/흥보가)에 있는 “삼재든데 혼인하기”라는 구절이 있다. 삼재가 든 사람은 혼인을 피하는 것이 당연한데 놀부의 심술이 심하여 삼재든 해에 혼인을 하게 만든다는 의미이다. 이는 개인에게 찾아드는 재앙을 의미한다. 이처럼 국가나 공동체 사회에 끼치는 재앙을 ‘대삼재’, 개인에게 미치는 세 [가지](/topic/가지) 재앙을 ‘소삼재’라 하여 구분하기도 한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삼재라 하면 개인에게 미치는 재앙을 주로 의미한다.

삼재가 들면 [삼재부적](/topic/삼재부적)을 쓰거나 절이나 무당을 찾아가 [삼재풀이](/topic/삼재풀이) 혹은 삼재경을 하기도 하고, 삼재가 드는 사람의 옷을 태워서 그 재를 삼거리에 묻는 등의 양법(良法)을 사용하여 삼재를 예방하고자 한다.
참고문헌부적 속에 반영된 [민화](/topic/민화)에 관한 연구 (엄난희, 원광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93)
부작미술의 역사와 사상 (김민기, 한국민속문화의 탐구, 국립민속박물관, 1996)
三災와 厄年에 의한 災殃認識과 對應方式 (노성환, 비교민속학 20, 비교민속학회, 2001)
초자연적 존재와 부적 (김준권, 익살과 재치, 경기도박물관, 2004)
우리 민속 들여다보기 (김창일 외, 동아대학교 출판부, 2007)
한국의 벽사부적 (김영자, 대원사, 2008)
문과 상징 (정연학, 시월, 2009)
依据人的出生年份,周期性到来的坏运势。

“三灾”指水灾,火灾,风灾等三种灾难,或工具及凶器引发的刀兵灾,传染病引发的疾疫灾,饥饿导致的饥馑灾。三灾概念的形成时期无法准确考证,但高丽俗谣《[处容](/topic/处容)歌》中出现“三灾”一词,且高丽时代龙珠寺的塔中发掘出三灾[符箓](/topic/符箓),依此可推测“三灾”最早应出现在高丽之前时代。

三灾是所有人周期性遭遇的厄运,有着不幸持续三年的特点。迎来三灾的第一年叫“进三灾”,第二年叫“躺三灾”,第三年叫“退三灾”,又分别称“入三灾”,“中三灾”,“出三灾”。有些人认为,按照“进三灾”,“躺三灾”,“退三灾”的顺序,苦难逐年加重。每九年一轮的三灾并非都是厄运。根据个人的四柱和运势的走势,也可成为“福三灾”,即迎来福运。当三灾来临时,为了预防三灾,人们往往使用三灾符箓,或者到寺庙或[巫祭](/topic/巫祭)祭堂“解三灾”或念《三灾经》,或将走入三灾的人的衣物焚烧埋于三岔路。
Samjae, or three calamities, are bad fortunes that occur in regular cycles according to one’s year of birth.

The three calamities are divided into water calamity (sujae), fire calamity (hwajae), and wind calamity (pungjae); or into calamity caused by tool or weapon (dobyeongjae), plague calamity (jilyeokjae), and famine calamity (gigeunjae). It is not clear exactly when this concept was formed, but the folk song (sogyo) version of “Cheoyongga (The Song of [Cheoyong](/topic/Cheoyong)), ” from Goryeo, includes in its lyrics the term “samjae, ” and a three calamities prevention amulet sheet was discovered inside the stupa at Yongjusa Temple, also from Goryeo, so it is assumed that the concept dates back earlier than Goryeo (918-1392).

The three calamities is a cycle of bad fortune that everyone goes through in life, and is believed to occur over a three-year period. The first of the three years is known as deulsamjae or ipsamjae (entering the three calamities), the second, nuulsamjae or jungsamjae (middle of the three calamities), and the third, nalsamjae or chulsamjae (exiting the threecalamities). It is believed that bad fortunes accumulate as the cycle progresses.

However, the three-year calamity cycle, which comes by every nine years, does not necessarily bring only disaster. Lucky events can also occur, according to individual fate and fortune, in which case the cycle is referred to as boksamje (luck of the three calamities).

Upon the arrival of a samjae cycle, one purchases a three calamities prevention talisman sheet; seeks help at a Buddhist temple or a shaman by requesting a ritual to undo the cycle (samjaepuri) or a recitation of Samjaeg yeong (Three Calamities Script); or attempts prevention through rituals like burning the undergarment of a person who was struck with the three calamities curse and burying the ashes in a threeway intersection.
역사삼재라는 개념이 언제부터 형성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고려속요인 ‘처용가’에 ‘삼재’라는 용어가 사용되었고, 고려시대 용주사의 탑 속에서 [삼재부적](/topic/삼재부적)이 나온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 이전부터 삼재에 대한 개념이 형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의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나이가 삼재에 해당하는 사람은 문설주에 매 세 [마리](/topic/마리)를 그려서 붙인다.”라고 하였고, 『면암집(勉菴集)』에는 “민간에서 닭과 호랑이 그림을 붙여 삼재를 막았다.”라고 적고 있다. 이로 보아 조선시대에는 삼재라는 개념이 널리 확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역사삼재라는 개념이 언제부터 형성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고려속요인 ‘처용가’에 ‘삼재’라는 용어가 사용되었고, 고려시대 용주사의 탑 속에서 [삼재부적](/topic/삼재부적)이 나온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 이전부터 삼재에 대한 개념이 형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의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나이가 삼재에 해당하는 사람은 문설주에 매 세 [마리](/topic/마리)를 그려서 붙인다.”라고 하였고, 『면암집(勉菴集)』에는 “민간에서 닭과 호랑이 그림을 붙여 삼재를 막았다.”라고 적고 있다. 이로 보아 조선시대에는 삼재라는 개념이 널리 확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Samjae es el término que se refiere a las tres calamidades que pueden ocurrir en ciclos regulares según el año de nacimiento de una persona.

Las tres calamidades son divididas en la calamidad del agua llamada sujae, la calamidad del fuego llamada hawjae y la calamidad del viento llamada pungjae; o la calamidad causada por un instrumento o arma llamada dobyeongjae, la calamidad de la plaga llamada jilyeokjae y la calamidad femenina llamada gigeungae. Aunque no resulta claro todavía cuándo se formó este concepto, una versión del canto popular “cheoyongga” del reino Goryeo incluye el término samjae en su letra, y un amuleto para evitar las tres calamidades fue descubierto en el interior de la pagoda situada en el templo de Yongjusa construido también durante el reino Goryeo, por lo tanto se supone que el concepto de samjae se remonta al período al reino Goryeo (918-1392).

Las tres calamidades es un ciclo de malas fortunas que todos pasamos en nuestras vidas, y se cree que nos ocurren tales adversidades a lo largo de un plazo de tres años. El primer año de los tres años se conoce como deulsamjae o ipsamjae; el segundo, nuulsamjae o jungsamjae; y el tercero, nalsamjae o chulsamjae.

Se considera que las malas fortunas se acumulan a medida que progresa el ciclo. Sin embargo, el citado ciclo que viene cada nueve años no solo trae necesariamente desastres. Pueden suceder también algunos afortunados según el destino o la fortuna de los individuos, en cuyo caso el ciclo se conoce como la suerte de las tres calamidades llamada boksamje. A la llegada de un ciclo de samjae, uno compra un amuleto de papel para evitar las tres calamidades; busca ayuda en un templo budista o recurre a un chamán para que lleve a cabo un ritual con el fin de deshacer el ciclo llamado samjaepuro o efectúe una recitación de escritura de tres calamidades llamada samjaegyeong; o intenta prevenir algo malo que suceda mediante una práctica de quema de una ropa interior de quien ha sido golpeado por la maldición de las tres calamidades y entierro de las cenizas en una intersección de tres caminos.
Samjae es el término que se refiere a las tres calamidades que pueden ocurrir en ciclos regulares según el año de nacimiento de una persona.

Las tres calamidades son divididas en la calamidad del agua llamada sujae, la calamidad del fuego llamada hawjae y la calamidad del viento llamada pungjae; o la calamidad causada por un instrumento o arma llamada dobyeongjae, la calamidad de la plaga llamada jilyeokjae y la calamidad femenina llamada gigeungae. Aunque no resulta claro todavía cuándo se formó este concepto, una versión del canto popular “cheoyongga” del reino Goryeo incluye el término samjae en su letra, y un amuleto para evitar las tres calamidades fue descubierto en el interior de la pagoda situada en el templo de Yongjusa construido también durante el reino Goryeo, por lo tanto se supone que el concepto de samjae se remonta al período al reino Goryeo (918-1392).

Las tres calamidades es un ciclo de malas fortunas que todos pasamos en nuestras vidas, y se cree que nos ocurren tales adversidades a lo largo de un plazo de tres años. El primer año de los tres años se conoce como deulsamjae o ipsamjae; el segundo, nuulsamjae o jungsamjae; y el tercero, nalsamjae o chulsamjae.

Se considera que las malas fortunas se acumulan a medida que progresa el ciclo. Sin embargo, el citado ciclo que viene cada nueve años no solo trae necesariamente desastres. Pueden suceder también algunos afortunados según el destino o la fortuna de los individuos, en cuyo caso el ciclo se conoce como la suerte de las tres calamidades llamada boksamje. A la llegada de un ciclo de samjae, uno compra un amuleto de papel para evitar las tres calamidades; busca ayuda en un templo budista o recurre a un chamán para que lleve a cabo un ritual con el fin de deshacer el ciclo llamado samjaepuro o efectúe una recitación de escritura de tres calamidades llamada samjaegyeong; o intenta prevenir algo malo que suceda mediante una práctica de quema de una ropa interior de quien ha sido golpeado por la maldición de las tres calamidades y entierro de las cenizas en una intersección de tres caminos.
한얼미디어씻김굿이경엽2004
국립문화재연구소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전라남도·전라북도·제주도2008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무속의 물질문화연구최진아2009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