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9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737 2023.02.27
    날것을 익힐 때 사용하는 [주방](/topic/주방)용구. 밥을 짓거나 국 또는 물을 끓이는 데 사용한다. 주로 무쇠로 만들어 ‘무쇠솥’이라 하고, [부엌](/topic/부엌)에서 가장 큰솥을 ‘조왕솥’이라고 부른다. 솥은 한자로 ‘정(鼎)’이나 ‘부(釜)’로 표기한다. 『우공(禹貢)』에 따르면 솥은 하(夏)의 우왕(禹王)이 주조한 9개의 정(鼎)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정(鼎)은 음식을 조리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왕권, 국가, 제업(帝業)의 뜻을 지님으로써 신성시하였다.
  •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창덕리에 소재하는 남근석. 1979년 12월 27일에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15호’로 지정되었다.
  • 신광주리춤
    720 2023.02.27
    종이로 장식한 [광주리](/topic/광주리)를 들고 추는 춤.
  • 신태집
    803 2023.02.27
    굿을 받기 위하여 청해진 망자의 혼이 임시적으로 거처하는 공간이라고 인식되는 무구. 전라남도 씻김굿, 남해안 오귀새남굿, 동해안 오구굿에 공통적으로 등장한다.
  • 안당제석상
    665 2023.02.27
    출산과 자녀의 건강을 관장하는 [가신](/topic/가신) 중의 하나인 산신(産神)을 위한 [제물](/topic/제물)상.
  • 액매기
    751 2023.02.27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불사르는 동화(洞火)의 싸리나무홰 꼭대기에 액운을 물리치고 복을 기원할 목적으로 거는 깃발.
  • 여귀
    660 2023.02.27
    불행하고 억울한 죽음을 당했거나 제사를 지낼 후손을 남기지 못하고 죽어 전염병과 같은 해를 일으킨다고 여겨지는 귀신.
  • 영감춤
    671 2023.02.27
    제주도굿 가운데 [영감놀이](/topic/영감놀이)에서 도깨비신인 영감이 짚으로 만든 배를 들고 추는 춤.
  • 영월영모전
    772 2023.02.27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에 소재한 조선 6대 임금인 단종의 [영정](/topic/영정)을 모신 [사당](/topic/사당). 영월군의 고을신앙 처소로 기능하는 동시에 영월읍 영흥11리 [마을](/topic/마을)서낭당으로 신앙되고 있다. 1977년 11월 28일에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56호’로 지정되었다.
  • 오방지신
    722 2023.02.27
    집터의 동ㆍ서ㆍ남ㆍ북ㆍ중앙에서 집터의 안전과 보호를 주관하는 신. 오방지신 중에서 중앙신에 해당하는 신을 터주신으로 여긴다. 이 터주신은 지역에 따라 터줏대감, 토지대장, 지신 등으로 칭하면서 지신과 터주신이 혼용되기도 한다. 지신의 성소(聖所)는 [마당](/topic/마당)으로 여겨지지만 집 안에서 오방지신을 이 방위에 따라 모시는 경우는 거의 없다. 오방지신의 신체(神體) 역시 특별히 존재하지 않는다. 지신과 터주신을 함께 모시기보다는 터주신만을 위하는 경우가 훨씬 많다.
  • 와흘본향당
    707 2023.02.27
    제주시 조천읍 와흘리 사람들을 돌보아주는 본향신을 모신 당. ‘한거리 하로산당’이라고도 한다. 이 말은 한거리 지경에 있는 한라산신을 모시는 당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이 당은 2005년 4월 6일에 ‘제주도 민속자료 제9-3호’로 지정되었으며, 제주도 제주시 조천읍 와흘리 1274-1[번지](/topic/번지)에 있다.
  • 용왕기
    704 2023.02.27
    [백지](/topic/백지)나 천을 댓[가지](/topic/가지)에 묶어 용왕의 신체를 나타내는 깃발. 흔히 용왕을 ‘요왕’이라고 하기 때문에 요왕기라고도 한다.
  • 원귀
    717 2023.02.27
    생전에 요절․객사․횡사 등으로 원한(怨恨)이 남아 저승에 들어[가지](/topic/가지) 못한 영혼으로 인간을 괴롭히는 악령(惡靈)을 일컫는 말.
  • 음복
    704 2023.02.27
    제의를 진행하는 중간이나 거행한 뒤 제의에 참여한 이들이 신령의 뜻이 담긴 음식을 받아먹으며 복을 비는 행위. 대개 술잔이 행위의 중심이 되므로 음복이라 한다.
  • 1929년부터 1932년까지 일본 신광사(新光社)에서 간행한 ��일본지리풍속대계�� 중에서 1930년 조선편으로 구성되어 간행된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