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경기도 남부 지역의 세습무당 굿에서 산이([악사](/topic/악사))들이 서서 하는 굿거리에 등장하는 쇳가락 연주 대목을 총괄하여 이르는 말. |
---|---|
mp3Cnt | 0 |
wkorname | 변남섭 |
정의 | 경기도 남부 지역의 세습무당 굿에서 산이([악사](/topic/악사))들이 서서 하는 굿거리에 등장하는 쇳가락 연주 대목을 총괄하여 이르는 말. | 어원 | 쇠와 풍장이 합쳐진 말로, 풍장은 단출한 사물 구성으로 된 것을 말한다. 유사한 용례로 [[두레](/topic/두레)풍장](/topic/두레풍장), 들풍장, 날풍장, 풍장굿 등과 일맥상통하면서도 구별되는 용어이다. 유례(類例)가 모두 [농악](/topic/농악)과 관련되는 것이라면 쇠풍장은 오로지 경기도 남부 지역의 도당굿 등에서만 사용된다. | 내용 | 쇠풍장은 도당굿거리 가운데 선증애굿꾼[立巫]이 도맡아 하는 굿거리에서만 사용되는 특별한 굿가락이다. 도당굿의 굿거리 가운데 대표적인 굿거리가 바로 손님굿, 군웅굿 등이다. 이 굿거리는 ‘미지(무당)’와 ‘산이([악사](/topic/악사))’가 임무 교대를 하는 특별한 굿거리이며, 쇠풍장은 산이제 굿거리인 손님노정기와 군웅노정기 등을 하기 전에 잠깐 등장하는 가락이다. 쇠풍장은 주로 쇠를 든 산이들이 터벌림의 의례로 삼진삼퇴하며 사방으로 쇳가락을 연주하는 전통에서 비롯되었다. 많은 관객으로 인해 좁혀진 굿판을 넓히면서 방수밟이와 유사한 형태의 굿을 하며 이 가락을 연주한다. 장구가락과 짝이 되어 대체로 산이가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를 입고 [꽹과리](/topic/꽹과리)를 치면서 쇠풍장을 연주한다. 한 명의 산이가 이 가락을 연주하고 나면 다른 산이가 그 꽹과리를 이어받으면서 동일한 행위를 한다. 쇠풍장에 쓰이는 가락은 여러 가락이 혼용된다. 주로 쓰이는 가락이 터벌림가락, [겹마치](/topic/겹마치)기가락, 자진굿거리가락 등이다. 이 가락은 복잡한 가락으로 산이의 춤과 쇳가락이 어울려서 깊은 밤에 예술적인 감동을 주는 소중한 가락이다. 이 과정에서 쓰이는 가락의 악보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무속신앙 쇠풍장](/upload/img/20170106/20170106162053_t_.jpg) 이 가락은 터벌림가락을 정간보화한 결과이다. 3소박 5박으로 되어 있으며, 장단이 느린 장단에서 빠른 장단으로 일정한 틀을 갖춘다. 아울러 흔히 무악에서 말하는 암채장단과 숫채장단이 달리 구성되어 있어서 음양 장단을 이룬다. 또한 장단의 종류가 달라져서 일정한 집을 짓는 일도 일어난다. 터벌림, 넘김채, 겹마치기, 자진굿거리 등으로 넘어간다. 혼소박은 쓰이지 않지만 장단이 경쾌하고 발놀림에 주력하는 장단이다. 따라서 매우 중요한 동작인 발을 디뎠다가 다시 떼는 발놀음새로 이어지는 특징이 있다. 더불어 쇳가락으로 이어져 나가면서 빠른 가락에서는 다양한 쇠놀림이 위주로 되며, 쇳가락에 치중함으로써 쇠풍장의 아름다움을 자아내는 특징이 있다. 쇠풍장은 굿에서 비롯된 [무악장단](/topic/무악장단)의 의의를 보여준다. 전통적인 타악 장단은 [농악](/topic/농악) 장단과 무악 장단으로 나눌 수 있다. 쇠풍장은 무악 장단의 묘미를 알려주는 전형적인 사례이다. | 참고문헌 | 진쇠장단외 십일장단 (박헌봉, 중요무형문화재보고서 28, 문교부, 1966) [시나위](/topic/시나위) (유기룡ㆍ이보형, 중요무형문화재보고서 82, 문화재관리국, 1971) 경기도 도당굿 무가의 현지 연구 (김헌선, 집문당, 1995) 한국의 무속장단 (임수정, 민속원, 1999) 지영희민속음악연구자료집 (성금연 편, 민속원, 2000) 경기판소리의 정착과 형성집단 (김헌선, 경기판소리, 경기도 국악당, 20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