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속신앙사전
산
강원도 산간[마을](/topic/마을)에서 [산멕이](/topic/산멕이)([산메기](/topic/산메기)) 제사 때 인식되는 [금줄](/topic/금줄).
definition
강원도 산간[마을](/topic/마을)에서 [산멕이](/topic/산멕이)([산메기](/topic/산메기)) 제사 때 인식되는 [금줄](/topic/금줄).
mp3Cnt
0
wkorname
장정룡
정의강원도 산간[마을](/topic/마을)에서 [산멕이](/topic/산멕이)([산메기](/topic/산메기)) 제사 때 인식되는 [금줄](/topic/금줄).
정의강원도 산간[마을](/topic/마을)에서 [산멕이](/topic/산멕이)([산메기](/topic/산메기)) 제사 때 인식되는 [금줄](/topic/금줄).
내용‘산’은 일종의 [금줄](/topic/금줄)로서 부정을 막는 의미를 지닌다. 이는 ‘산’을 거는 행위가 이른바 ‘[산멕이](/topic/산멕이)’라는 제사에서 진행되기 때문이다. 산멕이는 ‘산멕이기’라고도 한다. 이는 신에게 제물을 바치는 행위로서 ‘호랑이에게 제물을 먹인다’는 뜻을 담는다. 한편 ‘[산맥이](/topic/산맥이)’라고 하여 [마을](/topic/마을)신앙인 골매기(골막이, 谷防)와 같은 뜻으로, 산으로부터 닥쳐올 수 있는 각종 재앙을 막는 방어적 의미도 갖는다. 아울러 호랑이를 지칭하는 산군(山君)의 피해를 막기 위해 민속신앙적으로 ‘산을 매어 놓는다.‘는 뜻으로 ’[산메기](/topic/산메기)‘라고도 한다. 그러므로 산멕이의 ‘산’은 재액방지라는 금줄의 신앙관념에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산’이라는 신앙체가 상징하는 제의는 ‘먹는다[食]’ ‘막는다[防]’ ‘맨다(묶는다)[結]’의 셋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먹고’, ‘막고’ 하는 것은 신적 대상이 하는 행위이고 ‘매고’, ‘묶고’ 하는 것은 주제자의 신앙적 행위다. 현행 산멕이는 ‘산멕이기’라 하여 막는다는 의미보다 ‘먹인다(대접한다)’는 의미의 비중이 높다.

그러나 ‘산’이라는 용어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정확하지 않고 산멕이 제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신체로 불릴 뿐이다. 일부 마을에서는 ‘산’이 ‘호랑이’를 상징하여 소가 호랑이로부터 해를 당하는 것을 막아달라는 뜻으로 산멕이줄을 걸고 제사를 지낸다고 한다. 그러나 한반도의 호랑이가 멸종된 상태에서 백두대간에 호랑이가 나타날 가능성은 희박하고 소를 키우는 가정도 줄어들었으므로 산멕이 신앙의 본질도 바뀐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조상신](/topic/조상신), 삼신, 군웅신, 용신에게 자손의 번창과 [가축](/topic/가축)의 성장 및 [곡물](/topic/곡물)의 풍요를 기원하는 다양한 가정신앙으로 바뀌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강원도 영동지역의 가정에서는 정월이 되면 집안의 [대주](/topic/대주)(大主)인 남성이 짚으로 이른바 ‘산’을 1m 정도로 만들어서 왼새끼로 꼬아 [부엌](/topic/부엌)에 걸어놓는다. 이것을 삼월삼짇날, 사월초파일, 오월단옷날 등 길일이 되면 가정주부가 ‘산’을 벗겨서 마을 앞산에 올라간다. 각자 정해진 소나무 등 집안나무 양쪽에 ‘산’을 옆으로 길게 걸치거나 나무의 하부에 돌돌 감고 나서 그 앞에 [주과포](/topic/주과포) 등 제물을 차려놓고 집안 대주의 평안, 가정의 안녕과 자손의 출세, 소의 번식 등을 빈다. 집안나무는 소나무의 경우 여러 [가지](/topic/가지)로 뻗었으면 일가친척이 각자 한 가지에 ‘산’을 묶고 제를 지낸다. 대체로 대대로 정해진 나무 앞에 ‘산’을 걸고 제물을 진설한다. 제사를 마치면 가지고 간 칼을 던져서 신이 [흠향](/topic/흠향)했는지 확인한다. 던진 칼끝이 자신과 반대쪽으로 향하면 모든 재액이 물러가고 신이 잘 받아먹었다는 뜻이라고 생각한다. 삼척지역에서는 집안의 일가친척이 함께 모여 산멕이기를 하고 나서 가지고 간 음식을 나누어 [음복](/topic/음복)(飮福)을 하기 때문에 마치 봄철의 일가친척 야유회 같은 분위기를 연출한다. 대부분 산멕이 제사 때 가지고 간 ‘산’은 그대로 나무에 걸어두며, 이듬해 다시 가서 새것으로 바꾸어서 단다.

산멕이는 용어상 ‘산을 멕(먹)인다’, ‘산을 맨다’ ‘산을 막는다’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된다. 한편으로는 방어기제인 ‘산’으로 무엇을 막는다는 형태의 ‘산맥이’, ‘산매기’ 등으로도 볼 수 있다. 1990년대까지 삼척지역 41개 자연마을에 전승되던 산멕이는 대체로 ‘산을 먹인다’는 의미로 파악된다. 이것은 호랑이를 받드는 것으로, ‘호랑이에게 제물을 차려 먹인다.’는 뜻이다. 다음은 ‘산’을 매어 놓는다는 뜻이다. 이 역시 산의 피해를 막기 위해 금줄 형태로 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산을 막는 것은 산으로부터의 피해를 막는 신앙적 의미이다. 산멕이는 대부분 산을 끼고 있는 삼척, 강릉, 속초, 양양, 태백, 정선 등 강원지장에서 집중적으로 행해지는 독특한 신앙이다. 이는 산신제와 다르다. 산멕이는 그 제사양식이 집안신앙이 외부인 산으로 옮겨진 제의 형태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조상신 나들이’라고도 말한다. 이처럼 강원지방 산멕이에서 ‘산’의 기능이나 목적, 형태 등이 다양하고 그것이 시기가 지나고 상황이 바뀜에 따라 의미나 대상 또한 복합적인 성격을 띠게 된 것으로 분석된다.

요약하면 그 특징은 첫째로 소가 안전하고 잘되게 해 달라고 비는 군웅신앙적 요소가 있다. 대부분 가구(家口)로서 한 식구로 취급하는 소를 키우는 가정에서 산멕이를 잘 지킨다. 호랑이로 상징되는 ‘산’을 잘 풀어먹이고 대접하여 집에서 키우는 소의 피해가 없게 하겠다는 믿음의 표현이다. 그러므로 대부분 산멕이에서는 소가 다치지 않고 짐승들로부터의 피해를 막으며 농사도 잘되기를 소원한다. 요컨대 산멕이는 신에게 가정에서 소중한 가축의 피해를 막고자 하는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둘째는 조상을 잘 모셔서 집안이 안과태평하고 자식들이 잘되게 해 달라는 목적이 있다. 산멕이를 갈 때는 조상 수대로 메를 지어가는 것이 보편적이다. 일부 마을에서는 불경을 읽어주는 사람을 모시고 가서 경을 읽는다. 이때 조상거리가 가장 성대하게 진행된다. 즉 산멕이의 중심이 조상신 모시기로 파악된다. 이때 처음에는 간단하게 산멕이를 알리는 것으로 끝내고 이어서 조상축원이 길게 이어진다. 조상축원에서는 축원과 소지올림, [삼베](/topic/삼베)를 찢어서 조상옷을 해 입히는 절차 등이 있다. 따라서 집안조상을 봄철에 [화전](/topic/화전)(花煎)놀이, 꽃놀이 삼아 바깥나들이를 시켜드리면서 잘 모시는 집안의례로 볼 수 있다. 셋째는 산멕이터에 삼신당을 마련해두고 여성들의 출산이나 집안 자녀들이 별 탈 없이 무고하기를 빈다. 아기를 못 낳는 여성들이 산제불공이라 하여 이곳에 모셔온 삼신에게 기원하는 등 집안의 삼신과 달리 산멕이에서는 주로 자손의 건강, 외지에 나가 있는 자식들의 안녕과 번창을 기원한다.
내용‘산’은 일종의 [금줄](/topic/금줄)로서 부정을 막는 의미를 지닌다. 이는 ‘산’을 거는 행위가 이른바 ‘[산멕이](/topic/산멕이)’라는 제사에서 진행되기 때문이다. 산멕이는 ‘산멕이기’라고도 한다. 이는 신에게 제물을 바치는 행위로서 ‘호랑이에게 제물을 먹인다’는 뜻을 담는다. 한편 ‘[산맥이](/topic/산맥이)’라고 하여 [마을](/topic/마을)신앙인 골매기(골막이, 谷防)와 같은 뜻으로, 산으로부터 닥쳐올 수 있는 각종 재앙을 막는 방어적 의미도 갖는다. 아울러 호랑이를 지칭하는 산군(山君)의 피해를 막기 위해 민속신앙적으로 ‘산을 매어 놓는다.‘는 뜻으로 ’[산메기](/topic/산메기)‘라고도 한다. 그러므로 산멕이의 ‘산’은 재액방지라는 금줄의 신앙관념에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산’이라는 신앙체가 상징하는 제의는 ‘먹는다[食]’ ‘막는다[防]’ ‘맨다(묶는다)[結]’의 셋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먹고’, ‘막고’ 하는 것은 신적 대상이 하는 행위이고 ‘매고’, ‘묶고’ 하는 것은 주제자의 신앙적 행위다. 현행 산멕이는 ‘산멕이기’라 하여 막는다는 의미보다 ‘먹인다(대접한다)’는 의미의 비중이 높다.

그러나 ‘산’이라는 용어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정확하지 않고 산멕이 제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신체로 불릴 뿐이다. 일부 마을에서는 ‘산’이 ‘호랑이’를 상징하여 소가 호랑이로부터 해를 당하는 것을 막아달라는 뜻으로 산멕이줄을 걸고 제사를 지낸다고 한다. 그러나 한반도의 호랑이가 멸종된 상태에서 백두대간에 호랑이가 나타날 가능성은 희박하고 소를 키우는 가정도 줄어들었으므로 산멕이 신앙의 본질도 바뀐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조상신](/topic/조상신), 삼신, 군웅신, 용신에게 자손의 번창과 [가축](/topic/가축)의 성장 및 [곡물](/topic/곡물)의 풍요를 기원하는 다양한 가정신앙으로 바뀌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강원도 영동지역의 가정에서는 정월이 되면 집안의 [대주](/topic/대주)(大主)인 남성이 짚으로 이른바 ‘산’을 1m 정도로 만들어서 왼새끼로 꼬아 [부엌](/topic/부엌)에 걸어놓는다. 이것을 삼월삼짇날, 사월초파일, 오월단옷날 등 길일이 되면 가정주부가 ‘산’을 벗겨서 마을 앞산에 올라간다. 각자 정해진 소나무 등 집안나무 양쪽에 ‘산’을 옆으로 길게 걸치거나 나무의 하부에 돌돌 감고 나서 그 앞에 [주과포](/topic/주과포) 등 제물을 차려놓고 집안 대주의 평안, 가정의 안녕과 자손의 출세, 소의 번식 등을 빈다. 집안나무는 소나무의 경우 여러 [가지](/topic/가지)로 뻗었으면 일가친척이 각자 한 가지에 ‘산’을 묶고 제를 지낸다. 대체로 대대로 정해진 나무 앞에 ‘산’을 걸고 제물을 진설한다. 제사를 마치면 가지고 간 칼을 던져서 신이 [흠향](/topic/흠향)했는지 확인한다. 던진 칼끝이 자신과 반대쪽으로 향하면 모든 재액이 물러가고 신이 잘 받아먹었다는 뜻이라고 생각한다. 삼척지역에서는 집안의 일가친척이 함께 모여 산멕이기를 하고 나서 가지고 간 음식을 나누어 [음복](/topic/음복)(飮福)을 하기 때문에 마치 봄철의 일가친척 야유회 같은 분위기를 연출한다. 대부분 산멕이 제사 때 가지고 간 ‘산’은 그대로 나무에 걸어두며, 이듬해 다시 가서 새것으로 바꾸어서 단다.

산멕이는 용어상 ‘산을 멕(먹)인다’, ‘산을 맨다’ ‘산을 막는다’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된다. 한편으로는 방어기제인 ‘산’으로 무엇을 막는다는 형태의 ‘산맥이’, ‘산매기’ 등으로도 볼 수 있다. 1990년대까지 삼척지역 41개 자연마을에 전승되던 산멕이는 대체로 ‘산을 먹인다’는 의미로 파악된다. 이것은 호랑이를 받드는 것으로, ‘호랑이에게 제물을 차려 먹인다.’는 뜻이다. 다음은 ‘산’을 매어 놓는다는 뜻이다. 이 역시 산의 피해를 막기 위해 금줄 형태로 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산을 막는 것은 산으로부터의 피해를 막는 신앙적 의미이다. 산멕이는 대부분 산을 끼고 있는 삼척, 강릉, 속초, 양양, 태백, 정선 등 강원지장에서 집중적으로 행해지는 독특한 신앙이다. 이는 산신제와 다르다. 산멕이는 그 제사양식이 집안신앙이 외부인 산으로 옮겨진 제의 형태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조상신 나들이’라고도 말한다. 이처럼 강원지방 산멕이에서 ‘산’의 기능이나 목적, 형태 등이 다양하고 그것이 시기가 지나고 상황이 바뀜에 따라 의미나 대상 또한 복합적인 성격을 띠게 된 것으로 분석된다.

요약하면 그 특징은 첫째로 소가 안전하고 잘되게 해 달라고 비는 군웅신앙적 요소가 있다. 대부분 가구(家口)로서 한 식구로 취급하는 소를 키우는 가정에서 산멕이를 잘 지킨다. 호랑이로 상징되는 ‘산’을 잘 풀어먹이고 대접하여 집에서 키우는 소의 피해가 없게 하겠다는 믿음의 표현이다. 그러므로 대부분 산멕이에서는 소가 다치지 않고 짐승들로부터의 피해를 막으며 농사도 잘되기를 소원한다. 요컨대 산멕이는 신에게 가정에서 소중한 가축의 피해를 막고자 하는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둘째는 조상을 잘 모셔서 집안이 안과태평하고 자식들이 잘되게 해 달라는 목적이 있다. 산멕이를 갈 때는 조상 수대로 메를 지어가는 것이 보편적이다. 일부 마을에서는 불경을 읽어주는 사람을 모시고 가서 경을 읽는다. 이때 조상거리가 가장 성대하게 진행된다. 즉 산멕이의 중심이 조상신 모시기로 파악된다. 이때 처음에는 간단하게 산멕이를 알리는 것으로 끝내고 이어서 조상축원이 길게 이어진다. 조상축원에서는 축원과 소지올림, [삼베](/topic/삼베)를 찢어서 조상옷을 해 입히는 절차 등이 있다. 따라서 집안조상을 봄철에 [화전](/topic/화전)(花煎)놀이, 꽃놀이 삼아 바깥나들이를 시켜드리면서 잘 모시는 집안의례로 볼 수 있다. 셋째는 산멕이터에 삼신당을 마련해두고 여성들의 출산이나 집안 자녀들이 별 탈 없이 무고하기를 빈다. 아기를 못 낳는 여성들이 산제불공이라 하여 이곳에 모셔온 삼신에게 기원하는 등 집안의 삼신과 달리 산멕이에서는 주로 자손의 건강, 외지에 나가 있는 자식들의 안녕과 번창을 기원한다.
역사‘산’은 [산멕이](/topic/산멕이) 제사 때 나무에 거는 [금줄](/topic/금줄)의 한 형태로서 강원도 산간지역에서 행하는 혈연중심의 집안제사에서 사용된다. 이것은 산을 끼고 살아가는 [마을](/topic/마을)에서 행하며, 주로 봄철 3월부터 5월 사이에 산에 가서 건다.
역사‘산’은 [산멕이](/topic/산멕이) 제사 때 나무에 거는 [금줄](/topic/금줄)의 한 형태로서 강원도 산간지역에서 행하는 혈연중심의 집안제사에서 사용된다. 이것은 산을 끼고 살아가는 [마을](/topic/마을)에서 행하며, 주로 봄철 3월부터 5월 사이에 산에 가서 건다.
형태‘산’은 대부분 가정주부가 중심이 되어 [부엌](/topic/부엌)에 처음 모시며, [금줄](/topic/금줄)에 닭발이나 생선 등을 꽂는다. 이는 그해 처음 먹은 것 가운데 고기나 닭발을 달거나 반농반어의 가정에서는 처음 바다에 가서 잡은 물고기를 매단다. 대부분 새끼줄로 엮어서 만들며, 일부 지역에서는 [삼베](/topic/삼베)를 길게 찢어서 약 1m 길이로 만든다.
형태‘산’은 대부분 가정주부가 중심이 되어 [부엌](/topic/부엌)에 처음 모시며, [금줄](/topic/금줄)에 닭발이나 생선 등을 꽂는다. 이는 그해 처음 먹은 것 가운데 고기나 닭발을 달거나 반농반어의 가정에서는 처음 바다에 가서 잡은 물고기를 매단다. 대부분 새끼줄로 엮어서 만들며, 일부 지역에서는 [삼베](/topic/삼베)를 길게 찢어서 약 1m 길이로 만든다.
지역사례[산멕이](/topic/산멕이)는 지금까지 강원도 영동지역과 정선, 영월 등 영서지역에서도 보고되었다. 이들 지역 가운데 삼척지역에서 가장 많은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강릉 일대에서는 현재도 그 전승이 확인된다. 강릉 일부 지역에서는 개인이나 집안 일가친척이 함께 집안의 ‘산’을 [가지](/topic/가지)고 가서 걸어놓고 제사를 지낸다. 이와 달리 삼척지역의 산멕이는 자연[마을](/topic/마을) 단위의 동족 또는 [문중](/topic/문중)집단이 무당이 경을 읽는 [독경](/topic/독경)자 복자(卜者)와 함께 산에 가서 행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와 같이 집단적으로 행하는 삼척지역의 산멕이는 신앙의례행사와 함께 봄철을 맞이하여 마을단위나 문중사람들이 함께 모여 조상에게 제사를 지낸 뒤 가지고 간 음식을 나누어 먹으면서 새봄 나들이와 신춘모임을 하는 성격도 갖는다. 이러한 성격 탓에 일찍이 조선총독부에서 출간한 향토오락 조사자료집 삼척지방편에서는 “산제(山祭) 시기:봄, 형태:각 문중별, 놀이법:문중별로 모여 집안의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무당과 함께 산속으로 가서 산제를 올린다.”고 하였다. 이 기록에 의하면 산제는 산신제를 말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산제와 산신제는 제의 대상이 다른 것으로 파악된다. 산제는 곧 ‘산에서 제를 지낸다’는 장소적 의미이고, 산신제는 ‘산신에게 제사를 올린다’는 대상적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근래에 행해지는 삼척시 미로면 내미로리의 경우 여성이 중심이 되어 남성도 참여하며 먼산맞이, 산맞이, 조상맞이, 군웅맞이, 삼신맞이, 용신맞이 등 여섯 [마당](/topic/마당)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산멕이기에 등장하는 신격은 산신, [조상신](/topic/조상신)뿐만 아니라 삼신, 군웅신, 용신 등으로 파악된다.

삼척지역 산멕이가 집단적, 혈연적, 남성적, 공동체적이라면 강릉지역은 개인적, 여성적, 개체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 형태도 삼척지역이 무당이 굿을 하거나 복자가 독경으로 진행하는 형태라면 강릉지역은 개인이 비의적 형태의 [비손](/topic/비손)으로 진행한다. 제의를 주관하는 유형으로는 무당주도 굿형, 복자주도 독경형, 여성 개인 비손형이 있다. 참가범위는 부녀자 단독형, 부녀자의 며느리 동반형, 부녀자와 가족동반형 등으로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 산멕이의 신체를 중심으로 보면 첫째는 왼새끼를 꼰 [금줄](/topic/금줄)을 가지고 산에 가서 미리 정해놓은 나무에 빙빙 감아놓는 형태, 둘째는 금줄이나 [삼베](/topic/삼베)줄을 가지고 산에 올라 양쪽의 나무에 길이 1m 정도로 옆으로 길게 거는 형태, 셋째는 [명주](/topic/명주) [실타래](/topic/실타래)를 네 번 접은 [한지](/topic/한지)에 묶어서 자기가 정한 나무의 중턱에 걸어 놓는 형태, 넷째는 아무것도 걸지 않고 큰 나무나 바위 밑에 제물을 진설하고 산에다 비는 형태, 마지막으로는 산에 가지 않고 집안의 [부엌](/topic/부엌) 입구에 한지와 명주실을 매달고 주부가 제를 지내는 형태로 세분할 수 있다.

근래 들어 산멕이는 시대와 가정에 따라 변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김태수의 연구에 의하면 주관자가 여성에서 부부 또는 가족 모두가 참여하고, 한집안 사람들에서 한마을 여러 집안사람이 나고 개인으로 바뀌기도 한다. 사제자 및 의례방식도 무당(굿), 복자(독경), 빌 줄 아는 주민(무당 또는 복자 흉내), 개인(치성)으로 바뀌고 장소도 산 정상에서 중턱이나 중도 또는 집안의 망제로 바뀌고 있다. 제사 시기도 매년 봄, 가을 두 차례에서 1년에 한 번 봄철 또는 가을철로 줄다가 2년 또는 3년마다 한 번 지내는 것으로 변화되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 산멕이는 집성촌의 집단적 제의로 행해지던 마을도 각성바지로 들어와 살면서 달라졌고 같은 향리, 같은 집안의 가까운 사람들이 함께 지내던 지연혈연공동체적 제의에서 자손들이 여러 곳에 흩어져 살게 되면서 축제형태로 바뀌어 산멕이는 변화의 길로 들어섰다고 볼 수 있다.

산멕이는 용어의 정리가 필요하다. 대부분 지역에서 구전으로 전승되다보니 현지어를 사용하고 있고, 개인마다 발음상 다소간 차이가 나고 있다. 따라서 산멕이, [산메기](/topic/산메기), 산멕이, [산맥이](/topic/산맥이) 등 다양한 용어 가운데 혼란이 적고 그 의미가 중점적으로 나타나는 산멕이를 사용하는 것이 합당할 듯하다. 산메기는 살아 있는 ‘메기’, 산맥이는 ‘산맥’으로 오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용어의 중심어는 ‘산’이다. ‘산’이라는 금줄을 걸고 행하는 집안신앙은 가정마다 달라지는 [가가례](/topic/가가례)(家家禮)와 같이 자신들의 현실적 상황과 신앙심에 맞추어 신앙적 대상이 포함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지역사례[산멕이](/topic/산멕이)는 지금까지 강원도 영동지역과 정선, 영월 등 영서지역에서도 보고되었다. 이들 지역 가운데 삼척지역에서 가장 많은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강릉 일대에서는 현재도 그 전승이 확인된다. 강릉 일부 지역에서는 개인이나 집안 일가친척이 함께 집안의 ‘산’을 [가지](/topic/가지)고 가서 걸어놓고 제사를 지낸다. 이와 달리 삼척지역의 산멕이는 자연[마을](/topic/마을) 단위의 동족 또는 [문중](/topic/문중)집단이 무당이 경을 읽는 [독경](/topic/독경)자 복자(卜者)와 함께 산에 가서 행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와 같이 집단적으로 행하는 삼척지역의 산멕이는 신앙의례행사와 함께 봄철을 맞이하여 마을단위나 문중사람들이 함께 모여 조상에게 제사를 지낸 뒤 가지고 간 음식을 나누어 먹으면서 새봄 나들이와 신춘모임을 하는 성격도 갖는다. 이러한 성격 탓에 일찍이 조선총독부에서 출간한 향토오락 조사자료집 삼척지방편에서는 “산제(山祭) 시기:봄, 형태:각 문중별, 놀이법:문중별로 모여 집안의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무당과 함께 산속으로 가서 산제를 올린다.”고 하였다. 이 기록에 의하면 산제는 산신제를 말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산제와 산신제는 제의 대상이 다른 것으로 파악된다. 산제는 곧 ‘산에서 제를 지낸다’는 장소적 의미이고, 산신제는 ‘산신에게 제사를 올린다’는 대상적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근래에 행해지는 삼척시 미로면 내미로리의 경우 여성이 중심이 되어 남성도 참여하며 먼산맞이, 산맞이, 조상맞이, 군웅맞이, 삼신맞이, 용신맞이 등 여섯 [마당](/topic/마당)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산멕이기에 등장하는 신격은 산신, [조상신](/topic/조상신)뿐만 아니라 삼신, 군웅신, 용신 등으로 파악된다.

삼척지역 산멕이가 집단적, 혈연적, 남성적, 공동체적이라면 강릉지역은 개인적, 여성적, 개체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 형태도 삼척지역이 무당이 굿을 하거나 복자가 독경으로 진행하는 형태라면 강릉지역은 개인이 비의적 형태의 [비손](/topic/비손)으로 진행한다. 제의를 주관하는 유형으로는 무당주도 굿형, 복자주도 독경형, 여성 개인 비손형이 있다. 참가범위는 부녀자 단독형, 부녀자의 며느리 동반형, 부녀자와 가족동반형 등으로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 산멕이의 신체를 중심으로 보면 첫째는 왼새끼를 꼰 [금줄](/topic/금줄)을 가지고 산에 가서 미리 정해놓은 나무에 빙빙 감아놓는 형태, 둘째는 금줄이나 [삼베](/topic/삼베)줄을 가지고 산에 올라 양쪽의 나무에 길이 1m 정도로 옆으로 길게 거는 형태, 셋째는 [명주](/topic/명주) [실타래](/topic/실타래)를 네 번 접은 [한지](/topic/한지)에 묶어서 자기가 정한 나무의 중턱에 걸어 놓는 형태, 넷째는 아무것도 걸지 않고 큰 나무나 바위 밑에 제물을 진설하고 산에다 비는 형태, 마지막으로는 산에 가지 않고 집안의 [부엌](/topic/부엌) 입구에 한지와 명주실을 매달고 주부가 제를 지내는 형태로 세분할 수 있다.

근래 들어 산멕이는 시대와 가정에 따라 변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김태수의 연구에 의하면 주관자가 여성에서 부부 또는 가족 모두가 참여하고, 한집안 사람들에서 한마을 여러 집안사람이 나고 개인으로 바뀌기도 한다. 사제자 및 의례방식도 무당(굿), 복자(독경), 빌 줄 아는 주민(무당 또는 복자 흉내), 개인(치성)으로 바뀌고 장소도 산 정상에서 중턱이나 중도 또는 집안의 망제로 바뀌고 있다. 제사 시기도 매년 봄, 가을 두 차례에서 1년에 한 번 봄철 또는 가을철로 줄다가 2년 또는 3년마다 한 번 지내는 것으로 변화되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 산멕이는 집성촌의 집단적 제의로 행해지던 마을도 각성바지로 들어와 살면서 달라졌고 같은 향리, 같은 집안의 가까운 사람들이 함께 지내던 지연혈연공동체적 제의에서 자손들이 여러 곳에 흩어져 살게 되면서 축제형태로 바뀌어 산멕이는 변화의 길로 들어섰다고 볼 수 있다.

산멕이는 용어의 정리가 필요하다. 대부분 지역에서 구전으로 전승되다보니 현지어를 사용하고 있고, 개인마다 발음상 다소간 차이가 나고 있다. 따라서 산멕이, [산메기](/topic/산메기), 산멕이, [산맥이](/topic/산맥이) 등 다양한 용어 가운데 혼란이 적고 그 의미가 중점적으로 나타나는 산멕이를 사용하는 것이 합당할 듯하다. 산메기는 살아 있는 ‘메기’, 산맥이는 ‘산맥’으로 오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용어의 중심어는 ‘산’이다. ‘산’이라는 금줄을 걸고 행하는 집안신앙은 가정마다 달라지는 [가가례](/topic/가가례)(家家禮)와 같이 자신들의 현실적 상황과 신앙심에 맞추어 신앙적 대상이 포함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의의‘산’은 [산멕이](/topic/산멕이)의 신체로서 봄철을 맞이하여 나무에 새싹이 돋으면 산에 올라가 집안의 무사평안과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이것을 건다. 따라서 ‘산’은 금승(禁繩)문화의 일환으로 파악된다. 한편으로 ‘산’의 주관자(主管者)가 남성이 아닌 여성중심이므로 생명의 확대재생산의례로 보기도 한다. ‘산’은 가정과 [문중](/topic/문중)의 신앙심을 상징하고 재액을 막는 방어기제로 파악되는 중요한 [금줄](/topic/금줄)문화다. 또한 ‘산’은 집과 산을 상징적으로 연결하는 신앙적 매개체로서 집안신앙이 중심으로 되고 강조되고 있다. ‘산멕이’가 집안의 번창과 가정의 안녕을 여러 신에게 기원하는 형태라는 점에서 집안신앙적 다신관(多神觀)을 내포하고 있으며 신앙대상도 호환방지, 재난예방 등에서 번영, 안녕, 출산 등 여성과 가정사 중심의 신앙대상으로 변화한 것으로 파악된다. 결론적으로 산멕이제는 동족[마을](/topic/마을)의 친목소풍, 집안잔치적 성격, 혈연중심의 공동체적 의례, 군웅신 및 [조상신](/topic/조상신) 등을 위하는 여성중심의 가정신앙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반드시 걸게 되는 ‘산’은 바로 다양한 가정신앙의 신격이 깃드는 신앙체라는 점을 의심할 수 없다.
참고문헌신리[화전](/topic/화전)부락 (장주근․맹인재, 민속자료보호구역조사보고서 4, 문화재관리국, 1973)
화전촌의 산멕이기 (장주근, 한국의 향토신앙, 을유문화사, 1975)
심곡[마을](/topic/마을) [산맥이](/topic/산맥이) (장정룡, 행복이 가득한집 5월호, 디자인하우스, 1990)
[조선의 향토오락](/topic/조선의향토오락) (촌산지순 편, 박전열 역, 집문당, 1992)
삼척지방의 마을신앙 (장정룡, 삼척문화원, 1993)
강원지역 산맥이신앙고찰 (장정룡, 한국민속학 25, 한국민속학회, 1993)
[산메기](/topic/산메기) 현지연구 (김진순, 역사민속학 10, 민속원, 2000)
산멕이에 관한 논쟁적 해석 (김태수, 한국민속학 43, 한국민속학회, 2006)
의의‘산’은 [산멕이](/topic/산멕이)의 신체로서 봄철을 맞이하여 나무에 새싹이 돋으면 산에 올라가 집안의 무사평안과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이것을 건다. 따라서 ‘산’은 금승(禁繩)문화의 일환으로 파악된다. 한편으로 ‘산’의 주관자(主管者)가 남성이 아닌 여성중심이므로 생명의 확대재생산의례로 보기도 한다. ‘산’은 가정과 [문중](/topic/문중)의 신앙심을 상징하고 재액을 막는 방어기제로 파악되는 중요한 [금줄](/topic/금줄)문화다. 또한 ‘산’은 집과 산을 상징적으로 연결하는 신앙적 매개체로서 집안신앙이 중심으로 되고 강조되고 있다. ‘산멕이’가 집안의 번창과 가정의 안녕을 여러 신에게 기원하는 형태라는 점에서 집안신앙적 다신관(多神觀)을 내포하고 있으며 신앙대상도 호환방지, 재난예방 등에서 번영, 안녕, 출산 등 여성과 가정사 중심의 신앙대상으로 변화한 것으로 파악된다. 결론적으로 산멕이제는 동족[마을](/topic/마을)의 친목소풍, 집안잔치적 성격, 혈연중심의 공동체적 의례, 군웅신 및 [조상신](/topic/조상신) 등을 위하는 여성중심의 가정신앙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반드시 걸게 되는 ‘산’은 바로 다양한 가정신앙의 신격이 깃드는 신앙체라는 점을 의심할 수 없다.
참고문헌신리[화전](/topic/화전)부락 (장주근․맹인재, 민속자료보호구역조사보고서 4, 문화재관리국, 1973)
화전촌의 산멕이기 (장주근, 한국의 향토신앙, 을유문화사, 1975)
심곡[마을](/topic/마을) [산맥이](/topic/산맥이) (장정룡, 행복이 가득한집 5월호, 디자인하우스, 1990)
[조선의 향토오락](/topic/조선의향토오락) (촌산지순 편, 박전열 역, 집문당, 1992)
삼척지방의 마을신앙 (장정룡, 삼척문화원, 1993)
강원지역 산맥이신앙고찰 (장정룡, 한국민속학 25, 한국민속학회, 1993)
[산메기](/topic/산메기) 현지연구 (김진순, 역사민속학 10, 민속원, 2000)
산멕이에 관한 논쟁적 해석 (김태수, 한국민속학 43, 한국민속학회, 2006)
강릉시 옥계면 도직리 김남화씨댁 산
13437
강릉시 옥계면 도직리 김남화씨댁 산
강릉시 옥계면 도직리 김남화씨댁 산
13437
강릉시 옥계면 도직리 김남화씨댁 산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