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서울새남굿](/topic/서울새남굿) 가운데 망자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절차. |
---|---|
mp3Cnt | 0 |
wkorname | 박정경 |
정의 | [서울새남굿](/topic/서울새남굿) 가운데 망자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절차. | 내용 | 지장보살에게 망자의 [혼백](/topic/혼백)을 천도하는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굿거리다. [서울새남굿](/topic/서울새남굿) 가운데 부정거리, [가망](/topic/가망)청배 후 뜬대왕 또는 [사재삼성](/topic/사재삼성)이라는 굿거리의 전후에 연행된다. 무당이 앉아서 장구를 치면서 독창으로 무가를 구송한다. 이때 사용되는 [장단](/topic/장단)은 [가래](/topic/가래)조이다. 가래조는 크게 6개의 보통박, 각 보통박은 3ㆍ2ㆍ3ㆍ3ㆍ2ㆍ3소박으로 각각 이루어져 있다. ![무속신앙 중디밧산](/upload/img/20170106/20170106171639_t_.jpg) 노래 한 구절이 끝날 때마다 [악사](/topic/악사)들의 간주가 곁들여지는 독특한 형식의 음악이다. 중디밧산이 끝나면 중디노랫가락이 이어진다. 과거에도 굿의 상황과 무당에 따라 생략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최근 세습악사들이 잇달아 타계하면서 간주에 능숙한 악사가 줄어들어 매우 드물게 연행된다. | 참고문헌 | 서울 재수굿과 진오귀굿 (국립국악원, 1996) 서울 새남굿의 [삼현육각](/topic/삼현육각) 연구 (김소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서울, 경기북부 지역 한양굿 (서마리아, 민속악 논문집 7, 국립민속국악원, 2007) |
---|
신구문화사 | 제주도 무속자료 사전 | 현용준 | 1980 | 동문선 | 조선무속의 연구 하 | 赤松智城·秋葉隆, 심우성 옮김 | 1991 | 민속원 | 여수영당, 풍어굿, 악공청 | 이경엽 외 | 2007 | 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 | 동복 정병춘댁 시왕맞이 | 강정식 외 | 20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