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8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객귀
    983 2023.02.27
    사람이 천수를 다하지 못하고 집 밖의 객지에서 죽었을 때 그 혼령이 승천하지 못하고 [원귀](/topic/원귀)가 되어 자기 가족이나 친척 등을 괴롭힌다는 귀신. 떠돌이 귀신을 부르는 말이다.
  • 중국 사신(使臣)의 무사 귀환과 풍어(豊漁)를 기원하는 제당.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 읍내리에 위치하며, 사신당(使臣堂)이라고도 부른다.
  • 도포
    981 2023.02.27
    서울을 비롯한 황해도, 평안도, 강원도 등 주로 한강 이북 지역의 강신 무당들이 굿에서 사용하는 [무복](/topic/무복).
  • 눌굽지신
    981 2023.02.27
    제주도지역에서 [보리](/topic/보리)농사와 관련해 섬기는 농사신. 노적장에 위치한다. 예부터 제주 사람들은 보리농사를 주업으로 삼아왔다. 이에 따라 보리의 농경세시는 제주인들에게 생활의 중심이었다. 눌굽지신은 보리농사와 관련된 농경신의 하나였다. 이 신은 장마철에 [수확](/topic/수확)하는 보리를 장맛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만든 보리눌과 관련이 있다. 가옥 안에 임시로 쌓아 올린 ‘눌(가리)’의 바닥을 제주도 사람들은 ‘눌굽’이라고 하였다. 이곳에 노적장(露積場)의 신이 좌정해 있다고 관념한 것이다. 이 때문에 집안에서 굿을 하는 등 일상적이지 않은 음식을 차릴 때에는 별도로 눌굽지신을 대접하여 위하여 왔다.
  • 김부대왕
    979 2023.02.27
    신라 제56대 왕(재위, 927~935)으로서 성은 김(金), 이름은 부(傅)이며 후대에 [마을](/topic/마을)공동체 신으로 추앙된 인물신격.
  • 계룡산산신제
    977 2023.02.27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산의 산신(山神)에게 올리는 제사. 통일신라시대부터 국제(國祭)의 대상이었으며, 조선시대에는 국행제(國行祭) 중 소사(小祀)로 거행되었다. 지금은 매년 4월에 유교식, 불교식, 무속식이 혼합된 형태로 산신제를 올린다.
  • 돈전풀이
    976 2023.02.27
    함경도 함흥에 전승되는 돈전[錢]의 내력에 관한 본풀이.
  • 귀신종이
    974 2023.02.27
    동해안과 경상남도 해안지역의 어촌[마을](/topic/마을)에서 부계직계 혈통 조상 가운데 [기제사](/topic/기제사)를 모시는 조령을 [봉안](/topic/봉안)하기 위해 [한지](/topic/한지)를 직사각형으로 만든 신체.
  • 공싯상
    973 2023.02.27
    제주도 굿에서 심방의 [무조신](/topic/무조신)(巫祖神)을 위해 차려 놓는 것으로, 굿을 할 때 심방의 무구를 올려놓는 상.
  • 고추
    973 2023.02.27
    아들이 출생하거나 환자가 발생할 때 부정을 씻기 위해 사용한 벽사물.
  • 길대장굿
    971 2023.02.27
    전라남도 진도군에 전승되어 왔던 일종의 [마을](/topic/마을)굿. 진도 지방에서는 장승을 ‘길대장’이라고 부른다.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topic/진산)면 삼가리에 위치한 청징연에서 날이 가물 때 기우제(무제)를 지내던 제당.
  • 구애비
    968 2023.02.27
    귀신의 업[鬼業]. 귀업이 또는 구업이라고도 한다.
  • 남해안오구굿
    968 2023.02.27
    죽은 사람의 넋을 달래고 저승으로 천도시켜 극락왕생하기를 기원하는 남해안 지역의 무속제의. ‘오구’, ‘오귀’, ‘오귀새남굿’, ‘큰굿’, ‘수륙새남굿’ 등으로 일컫는다. 서울의 진오기굿, 전라도의 씻김굿과 같은 사령제(死靈祭) 계통으로서 망자의 한을 풀고 부정을 가시게 하며 산 사람의 안녕을 도모하는 굿이다.
  • 공수
    967 2023.02.27
    강신무가 모시는 신령이 굿을 진행하거나 [점사](/topic/점사)를 풀어보는 과정에서 무당을 통해 인간에게 내리는 신탁 중 말로 이루어진 부분을 가리키는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