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2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손전
    725 2023.02.27
    남해안 지역 무속에서 사제무가 손에 들고 신간(神竿)으로 사용하는 무구. 손대 혹은 적심대라고도 한다.
  • 영집
    648 2023.02.27
    제주도 무혼굿에서 쓰이는 종이로 만드는 무구로, 영혼이 와서 머문다는 집. ‘영실’ 또는 ‘[독집](/topic/독집)’이라고도 한다.
  • 조상화
    654 2023.02.27
    무속의례에서 진설되는 황색의 함박꽃.
  • 탑등
    556 2023.02.27
    굿당 좌측에 매달아 놓는 굿당 장식물로 굿이 진행되는 동안 굿당의 위엄을 지킨다.
  • 감흥화
    1495 2023.02.27
    [감흥신령](/topic/감흥신령)을 상징하는 꽃.
  • 769 2023.02.27
    호남 지역 무속의례에서 망자의 영혼을 상징화한 종이 무구. 망자의 신체로 상징되어 의례 시에는 망자와 동일시되는 무구이다. 망자천도굿인 씻김굿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작된다.
  • 만성수부채
    637 2023.02.27
    황해도 큰무당들이 사용하는 부채. 만 [가지](/topic/가지) 성수[神]님들을 모신 부채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만감응부채라고도 한다.
  • 살장
    667 2023.02.27
    [한지](/topic/한지) 한 장을 여러 모양으로 오린 후, 굿판의 신들이 좌정하는 [당클](/topic/당클) 앞에 [가리개](/topic/가리개)처럼 설치하는 [기메](/topic/기메).
  • 송송개
    675 2023.02.27
    황해도굿에서 굿청을 장식하는 개(蓋).
  • 오방신장기
    618 2023.02.27
    무당이 굿에서 사용하는 다섯 색깔의 깃발로 주로 운수를 점치는 무구. 오방신장기는 신장거리에서 사용되지만 대감거리와 [장군](/topic/장군)거리 등에서도 사용하기 때문에 대감기 또는 장군기라고도 한다.
  • 지전
    533 2023.02.27
    종이를 돈 모양으로 재단한 것으로, 현물화폐가 아닌 저승에서 망자가 사용할 저승화폐를 상징화한 무구. 지전(紙錢)은 [한지](/topic/한지)나 [창호지](/topic/창호지)를 가늘게 접어 엽전의 원형이 길게 이어지도록 오린 것을 여러 가닥 모아 만든 조형물이다. 불교에서는 음전(陰錢)·우전(寓錢)이라고도 한다. 지전은 황해도·서울경기·동해안에서는 금전·은전으로, 호남 지역에서는 넋전·돈전, 제주도에서는 그 형태에 따라 지전·발지전·통지전이라고 부른다.
  • 통기
    524 2023.02.27
    [창호지](/topic/창호지)를 오려 통 모양으로 만든 깃발. 통기는 그 모양이 통 모양의 깃발인 데서 비롯되었다. 크기에 따라 대통기, 소통기라고 하지만 대개 통기라고 하면 대통기를 말한다.
  • 걸립명두
    970 2023.02.27
    [걸립신](/topic/걸립신)을 위한 명두.
  • 넋당석
    711 2023.02.27
    씻김굿에서 망자를 저승으로 보낼 때 그 영혼을 싣고 간다고 여기는 무구.
  • 매화
    669 2023.02.27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에 쓰이는 것으로 매화꽃의 형태를 재현한 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