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10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자삼
    617 2023.02.27
    동해안 지역 [무악](/topic/무악)의 무가 이름이자 이를 반주하는 [장단](/topic/장단) 명칭. 무가를 가리킬 때는 흔히 ‘자삼염불’이라고도 한다.
  • 장삼
    632 2023.02.27
    서울굿에서 착용하는 장삼은 불교의 법의인 장삼을 본 따 만들어 [무복](/topic/무복)으로 착용한 것으로 어깨와 허리에 승려의 법의인 [가사](/topic/가사)를 의미하는 붉은색 띠를 함께 두른다.
  • 전안상
    554 2023.02.27
    전안은 전내(殿內)를 가리키는 말로 신당 안에서 가장 중심에 있는 신령을 가리키며, 전안상은 이 신령을 위해 차린 상차림.
  • 제석
    582 2023.02.27
    자손의 점지나 출산을 도와주고 자손의 명(命)과 복(福)을 관장한다고 믿어지던 가정신앙의 신격 중 하나.
  • 제주 큰굿
    648 2023.02.27
    제주도 무속의례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굿. 제주 큰굿은 경륜이 있는 큰 심방을 수심방[首巫]으로 하여 굿법을 지키며 연행되는 ‘차례차례 재차례 굿’이다. 이 굿은 2001년 8월 16일 제주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2월 22일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의 유교식 [마을](/topic/마을)제사.
  • 조군영적지
    529 2023.02.27
    조왕신앙의 실행을 독려하는 서적.
  • 조선신가유편
    698 2023.02.27
    손진태(孫晉泰)가 현지조사를 바탕으로 펴낸 한국 최초의 무가집으로 1930년 일본 동경의 향토연구사에서 간행하였다.
  • 중구차례
    522 2023.02.27
    음력 9월 9일에 지내는 차례(茶禮). 설, 삼짇날, 단오, 유두, 추석, 동지 등과 함께 명절에 지내는 절사(節祀) 가운데 하나이다. [구일차례](/topic/구일차례)(九日茶禮) 또는 중구제사(重九祭祀)라고도 한다.
  • 진도 채씨 무계
    566 2023.02.27
    진도의 채(蔡)씨 출계(出系)를 통해 전승되는 무업(巫業)의 계보.
  • 참신
    561 2023.02.27
    [마을](/topic/마을)신이 오신 것으로 여기고 인사를 드리는 절차.
  • 철륭제
    511 2023.02.27
    집과 [마을](/topic/마을)의 터를 눌러주고 지켜 주는 수호신인 철륭에게 지내는 제의. 철륭은 전라도 지역에서 불리는 터주의 명칭이다. 터주는 터에 집을 짓고 사는 사람들을 관장하는 지신(地神)이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월오동 서원말에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을 기해 올리는 장승제. 흔히 ‘선도산 할아버지 할머니 장승제’라고 한다.
  • 측신모시기
    494 2023.02.27
    [가신](/topic/가신)(家神) 중에서 변소에 사는 측신(廁神)을 위하는 제의.
  • 큰굿상
    519 2023.02.27
    [마을](/topic/마을)의 대동굿, [진적굿](/topic/진적굿), 오귀굿 등 큰굿에서 준비되는 [제상](/topic/제상)으로서 일정한 규모와 격식을 갖춘 상차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