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둘레길 4 페이지 > clubrichtour

걷기/자전거 여행
제목
  • 백두대간 동해소금길 생태문화탐방로
    백두대간 생태문화탐방로는 숯가마터의 문화적 배경과 보부상들이 지친걸음을 멈추고 정겨운 주막에서 한잔 술로 마음을 달래던 주막을 중심으로 4개의 코스로 이루어져 있고, 장군에 얽힌 전설과 비가 오면 흘러내리는 용의 눈물인 용루폭포는 비룡음수의 애통함이 여의주를 앞에 두고 승천의 꿈을 잃었다고 전해지며, 고서 “해음결”에는 서학골~상월산에 이르는 이곳은 비룡음수형의 지형으로 기가 넘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생태체험, 교육, 문화가 있는 이색적인 탐방로로 어린이부터 어르신까지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스토리가 있는 공간으로 힐링하고 감성이 넘치는 다양한 체험을 하게 된다
    717 2022.07.15
  • 연남동 경의선 숲길
    서울특별시 마포구 연남동 가좌역에서부터 용산구 효창동 효창공원앞역까지 이어진 6.3km 길이의 공원. 옛 경의선(용산선) 폐철길을 공원으로 탈바꿈시킨 서울의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경의선 지하화에 따라 생긴 8만여 제곱미터의 부지를 한국철도시설공단으로부터 50년간 무상 임대하여 조성되었다. 가장 긴 연남동 구간은 미국 센트럴파크처럼 사람이 많이 오가는 곳이 되어, 연남동의 이름을 따 연트럴파크라는 별명이 붙었다. 이 이름의 영향으로 노원구에 조성된 경춘선 숲길은 '공트럴파크'[1] 라는 별명이 붙었다. 일부 구간에는 경의선 시절의 레일 및 건널목을 재현해 놓았다. 옛 폐차량을 체험 목적으로 전시한 곳도 있다.[2] 궁금하면 전 구간을 걸어보자.
    717 2022.07.15
  • 횡성호수길 3코스 치유길
    횡성호수길은 횡성호란 아름다운 호수와 이를 둘러싼 주변의 산을 테마로 하여 갑천면 대관대리 일원에 총 27km, 6코스로 조성되었다. 그 중 3코스는 치유의 길로 숲의 경치에 흠뻑 취하며 산림욕을 즐길 수 있다.
    716 2022.07.15
  • 한탄강 어울길 1코스 뗏마루길
    - 근홍교에서 복원로, 뗏마루길을 지나 멍우리나들길 입구에 이르는 길
    715 2022.07.15
  • 신흥구간 오솔길
    6개의 스토리텔링으로 이루어져 있는 신흥구간 오솔길로서 학교 가는 길로 스토리가 시작되는 이 길은 신흥리 임맛, 머그나무골에 거주하는 학생들의 통학로로 이용되었으며, 지금은 폐교가 된 지경초등학교까지 4km의 거리를 이 길을 이용하여 등하교하였다. 학교에 가기 싫을 때면 친구들과 풀섶에 어울려서 도시락을 먹고 어둠이 짙은 늦은 하굣길이면 어머니가 마중을 나오던 아련한 추억의 길이다. 이 길을 시작으로 호박골 심부자집 참나무 길, 진달래꽃 군락지로 막을 내린다.
    713 2022.07.15
  • 횡성호수길 6코스 회상길
    횡성호수길은 횡성호란 아름다운 호수와 이를 둘러싼 주변의 산을 테마로 하여 갑천면 대관대리 일원에 총 27km, 6코스로 조성되었다. 6코스는 정감있는 포장길과 앞동산의 정취가 느껴지는 구간이다.
    713 2022.07.15
  • 감악산 숲길
    감악산 숲길은 경기도 오악(五嶽)의 하나인 감악산 주변으로 봉암저수지, 원당저수지, 신암저수지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조성되어 수덕(水德)을 상징하는 감악산과 아름다운 저수지를 감상 할 수 있는 최적의 숲길이다.
    제1구간(8.1km)은 초록지기마을(봉암저수지)에서 출발하여 숲속체험장, 원댕이 쉼터, 선일재, 구름재쉼터, 원당저수지 쉼터를 지나 다시 초록지기마을(봉암저수지)로 돌아오는 코스이다. 숲길 주변으로 ‘조소앙 선생 기념공원’, 천연기념물 제278호인 ‘남면 느티나무’, 봉암저수지, 원당저수지 등의 볼거리가 있으며, 숲길을 걸으면서 숲속체험장, 원댕이 쉼터, 가마터, 선일재, 구름재쉼터 등을 체험 할 수 있다. 또한 신비스러운 감악산을 각 저수지에서 바라보는 모습이 보는 장소마다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어서 또 다른 감동을 준다.
    712 2022.07.15
  • 보은 삼년산성길
    <2019년6월 이달의추천길>
    산성의 나라라 불렸을 만큼 수많은 산성이 있는 우리나라에서 산성마니아들이 세 손가락 안에 꼽는 명불허전의 산성 답사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제 찾아도 한적하여 안온한 마음으로 편안하게 산책을 즐길 수 있다. 신라의 삼국통일에서 결정적 역할을 한 것도 이 삼년산성에서 출동한 군사들이었다. 지금은 적군의 창칼을 막는 역할을 내려놓고 이곳을 찾는 현대인들을 외부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해주는 충실한 안식처가 되어 있다.
    712 2022.07.15
  • 비슬산 둘레길 2구간 옥연지송해공원둘레길
    전국 100대 명산 중 하나인 비슬산 주위의 아름다운 자연과 역사, 문화자원 등을 특성 있는 스토리로 엮어 도보길로 조성하였습니다.

    비슬산둘레길은 ‘숲길’, ‘마을길’, ‘옛길’, ‘임도’등 기존길을 ‘아름다운 길’, ‘걷고 싶은 길’ 이라는 조성 원칙하에 연결하여 탄생하였습니다.

    비슬산둘레길을 따라가다 보면 비슬산자락의 풍광과 함께 정겨운 시골의 정취, 유서 깊은 사찰과 역사문화자원을 체험하고 느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711 2022.07.15
  • 초례산 숲속 힐링길
    대구신서혁신도시 동호유적공원과 인접한 동곡지 북쪽능선을 따라 초례봉으로 올라갔다가, 나불지로 내려오는 완만한 능선을 따라 혁신도시와 환성산, 팔공산, 소동산, 능천산을 조망하는 명품 트레킹코스
    709 2022.07.15
  • 울릉둘레길 1구간
    저동에서 출발해 울릉도의 북쪽해안을 걷는 구간이다. 저동에서 내수전을 지나 석포까지는 울릉도의 옛길을 복원하였다. 석포나 섬목에서 현포항까지는 바다 곁을 지난다. 산과 숲, 바다와 바위섬이 고루 어우러진다. 울릉도의 어촌 마을을 만나는 즐거움도 각별하다.
    708 2022.07.15
  • 백두대간트레일 인제 1구간
    산림청은 다양한 산행문화 향유와 산림의 보전적 활용을 도모하고자 국가숲길과 지역숲길을 연계한 전국 숲길 네트워크 구축을 계획하였고, 이중 국가트레킹길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5대 트레일(백두대간·DMZ·낙동정맥·서부종단·남부횡단트레일)’을 구상하였습니다. 이러한 구상에따라 5대 트레일(백두대간, DMZ, 낙동정맥, 서부종단, 남부횡단) 중 하나인 백두대간 트레일은 산림생태계의 보고인 백두대간을 보존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백두대간을 따라 서쪽 트레일과 동쪽 트레일로 나뉘어 2020년까지 총2,165km로 조성될 예정입니다. 트레일(trail)이란 산림휴양법에 의해 구분된 숲길의 한 종류로써, 산줄기를 따라 길게 조성된 오솔길과 같은 개념으로 시점과 종점이 연결되는 둘레길과는 구별되는데 그첫번재 시범구간으로 인제국유림관리소에서 양구군 해안면 후리부터 인제군 대암산 심적골을 경유하여 홍천군 내면 광원리까지 113km를 2012년 완공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707 2022.07.15
  • 제암산 자연휴양림 더늠길
    <2019년8월 이달의추천길>
    -제암산의 허리를 두른 더늠길은 무장애탐방로다.
    -전 구간에 나무 데크를 깔아 누구나 쉽고 편하게 걸을 수 있다.
    -더늠길은 제암산과 일림산 등 등산 코스와 연결된다.
    -보성군 웅치면의 제암산 자락에 자리한 제암산자연휴양림은 수려한 경관 속에 편의 시설과 모험 시설 등을 잘 갖춘 모범적인 휴양림이다.
    707 2022.07.15
  • 천생산성 산림욕장
    해발 407m의 천생산은 산봉우리가 일자형으로 생긴 특이한 모양으로 사면이 석벽으로 되어있는 천생산성은 금오산성과 함께 외적의 침입시 국방의 요충지 역할을 하였다. 임진왜란때에는 홍의장군 곽재우가 이곳에서 왜군과 수많은 전투를 치루었고 그때의 유적이 아직도 많이 남아 있다. 산중턱에는 산림욕장이 있고 산입구에는 한여름에도 시원한 바람이 나오는 얼음골이 있어 가족과 함께 들릴 수 있는 적당한 곳이다.
    706 2022.07.15
  • 남파랑길 1코스
    갈맷길 3-1구간, 3-2구간과 중첩되는 구간으로서 해파랑길 시종점인 오륙도 해맞이 공원에서부터 부산 중구 부산대교까지 이어지는 구간이다. 신선이 노닐던 신선대 및 부산항의 역동적인 파노라마을 만끽할 수 있는 구간이며 세계에서 하나뿐인 UN기념공원 및 부산박물관, 영화 “친구”로 유명한 부산 일대의 명소를 함께 체험할 수 있다. 아름다운 해안경관과 우리나라 제1의 항구도시 부산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구간이다.
    706 2022.07.15